1997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제6회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 |
---|---|
6ης Παγκόσμιο Πρωτάθλημα Στίβου | |
종목 | ![]() |
세부 종목 | 44 (남 24, 여 20) |
주관 | 국제 육상 경기 연맹 (IAAF) |
개최지 | ![]() |
경기장 | 올림픽 경기장 |
날짜 | 1997년 8월 1일 - 10일 |
참가국 | 197 |
참가 선수 | 1785[1] |
대회 성적 | |
최다 금메달 획득국 | ![]() |
공식 웹사이트 | |
이전 대회 / 다음 대회 | |
![]() | 1999 세비야 ![]() |
제6회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는 국제 육상 경기 연맹(IAAF) 주관으로 1997년 8월 1일부터 8월 10일까지 그리스 아테네에서 열린 국제 육상 대회이다. 올림픽 경기장에서 열린 이 대회에는 197개국 선수 1785명이 참가했다.[2]
대회 하이라이트[편집]
우크라이나의 세르히 부브카가 이 대회 장대높이뛰기에서 자신의 여섯번째이자 마지막 우승을 했다.
결과[편집]
남자[편집]
- 트랙 경기
- 필드 경기
종목 | 금 | 은 | 동 | |||
---|---|---|---|---|---|---|
멀리뛰기 자세히 |
이반 페드로소![]() |
8.42 |
에릭 월더![]() |
8.38 |
키릴 소수노프![]() |
8.18 |
세단뛰기 자세히 |
요엘비 케사다![]() |
17.85 |
조너던 에드워즈![]() |
17.69 |
알리에세르 우루티아![]() |
17.64 |
높이뛰기 자세히 |
하비에르 소토마요르![]() |
2.37 |
아르투르 파르티카![]() |
2.35 |
팀 포사이스![]() |
2.35 |
장대높이뛰기 자세히 |
세르히 부브카![]() |
6.01 |
막심 타라소프![]() |
5.96 |
딘 스타키![]() |
5.91 SB |
포환던지기 자세히 |
존 고디나![]() |
21.44 |
올리버-즈벤 부더![]() |
21.24 |
C. J. 헌터![]() |
20.33 |
원반던지기 자세히 |
라르스 리델![]() |
68.54 |
비르길리우스 알레크나![]() |
66.70 |
위르겐 슐트![]() |
66.14 |
해머던지기 자세히 |
하인츠 바이스![]() |
81.78 |
안드리 스크바루크![]() |
81.46 |
바실리 시도렌코![]() |
80.76 |
창던지기 자세히 |
매리어스 코벳![]() |
88.40 |
스티브 버클리![]() |
86.80 |
코스타스 가치우디스![]() |
86.64 |
10종경기 자세히 |
토마시 드보르자크![]() |
8837 CR/WL/NR |
에두아르드 헤멜레이넨![]() |
8730 |
프랑크 부제만![]() |
8652 |
여자[편집]
메달 집계[편집]
순위 | 나라 | ![]() |
![]() |
![]() |
합계 |
1 | ![]() |
6 | 3 | 8 | 17 |
2 | ![]() |
5 | 1 | 4 | 10 |
3 | ![]() |
4 | 1 | 1 | 6 |
4 | ![]() |
3 | 2 | 2 | 7 |
5 | ![]() |
2 | 4 | 1 | 7 |
6 | ![]() |
2 | 1 | 1 | 4 |
7= | ![]() |
2 | 0 | 0 | 2 |
7= | ![]() |
2 | 0 | 0 | 2 |
9 | ![]() |
1 | 4 | 3 | 8 |
10 | ![]() |
1 | 4 | 1 | 6 |
11 | ![]() |
1 | 3 | 1 | 5 |
12 | ![]() |
1 | 2 | 1 | 4 |
13 | ![]() |
1 | 1 | 2 | 4 |
14= | ![]() |
1 | 1 | 1 | 3 |
14= | ![]() |
1 | 1 | 1 | 3 |
14= | ![]() |
1 | 1 | 1 | 3 |
17= | ![]() |
1 | 1 | 0 | 2 |
17= | ![]() |
1 | 1 | 0 | 2 |
19= | ![]() |
1 | 0 | 1 | 2 |
19= | ![]() |
1 | 0 | 1 | 2 |
19= | ![]() |
1 | 0 | 1 | 2 |
22= | ![]() |
1 | 0 | 0 | 1 |
22= | ![]() |
1 | 0 | 0 | 1 |
22= | ![]() |
1 | 0 | 0 | 1 |
22= | ![]() |
1 | 0 | 0 | 1 |
22= | ![]() |
1 | 0 | 0 | 1 |
27 | ![]() |
0 | 4 | 3 | 7 |
28 | ![]() |
0 | 2 | 2 | 4 |
29= | ![]() |
0 | 1 | 1 | 2 |
29= | ![]() |
0 | 1 | 1 | 2 |
29= | ![]() |
0 | 1 | 0 | 1 |
31= | ![]() |
0 | 1 | 0 | 1 |
31= | ![]() |
0 | 1 | 0 | 1 |
31= | ![]() |
0 | 1 | 0 | 1 |
31= | ![]() |
0 | 1 | 0 | 1 |
31= | ![]() |
0 | 1 | 0 | 1 |
31= | ![]() |
0 | 1 | 0 | 1 |
36= | ![]() |
0 | 0 | 1 | 1 |
36= | ![]() |
0 | 0 | 1 | 1 |
36= | ![]() |
0 | 0 | 1 | 1 |
36= | ![]() |
0 | 0 | 1 | 1 |
36= | ![]() |
0 | 0 | 1 | 1 |
각주[편집]
- ↑ (영어) IAAF Statistic book pp. 16-17
- ↑ (영어) IAAF Statistic book pp. 16-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