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스티딘올 탈수소효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히스티딘올 탈수소효소
히스티딘올 탈수소효소(hisd)의 구조는 도메인 스와핑 및 유전자 복제와 관련이 있다.
식별자
EC 번호1.1.1.23
CAS 번호9028-27-7
데이터베이스
IntEnzIntEnz view
BRENDABRENDA entry
ExPASyNiceZyme view
KEGGKEGG entry
MetaCycmetabolic pathway
PRIAMprofile
PDB 구조RCSB PDB PDBj PDBe PDBsum
유전자 온톨로지AmiGO / QuickGO

히스티딘올 탈수소효소(영어: histidinol dehydrogenase) (EC 1.1.1.23)는 다음과 같은 화학 반응촉매하는 효소이다.

L-히스티딘올 + 2 NAD+ ⇄ L-히스티딘 + 2 NADH + 2 H+

히스티딘올 탈수소효소의 2가지 기질은 L-히스티딘올, NAD+이며, 3가지 생성물L-히스티딘, NADH, H+이다.

히스티딘올 탈수소효소는 산화환원효소 부류에 속하며, 특히 공여체가 CH-OH기이고 수용체가 NAD+ 또는 NADP+인 효소에 속한다. 히스티딘올 탈수소효소는 세균, 균류식물에서 히스티딘생합성에서의 말단 단계, 즉 L-히스티딘올의 히스티딘으로의 4-전자 산화를 촉매한다.

4-전자 탈수소효소에서 단일 활성 부위는 2개의 분리된 산화 단계를 촉매한다. 기질알코올중간생성물알데하이드로 산화시키는 단계, 알데하이드를 생성물, 이 경우에는 히스티딘으로의 산화시키는 단계가 포함된다.[1] 반응은 단단하게 결합된 또는 공유 결합된 중간생성물을 통해 진행되며, 2개의 NAD+ 분자가 필요하다.[1] 대부분의 탈수소효소들과는 대조적으로 기질은 NAD+ 조효소에 앞서서 결합된다.[1] 시스테인(Cys) 잔기는 두 번째 산화 단계의 촉매 메커니즘과 관련이 있다.[1]

세균에서 히스티딘올 탈수소효소는 단일 사슬 폴리펩타이드이다. 균류에서 히스티딘올 탈수소효소는 히스티딘 생합성의 3가지 상이한 단계들을 촉매하는 다기능성 효소의 C-말단 도메인이다. 식물에서 히스티딘올 탈수소효소는 에서 단백질 전구체발현되며 엽록체로 이동한다.[2][3][4]

명명법[편집]

히스티딘올 탈수소효소의 계통명은 L-히스티딘올::NAD+ 산화환원효소(영어: L-histidinol:NAD+ oxidoreductase)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다른 이름으로는 L-히스티딘올 탈수소효소(영어: L-histidinol dehydrogenase)가 있다.

유전자의 공동 조절[편집]

히스티딘올 탈수소효송 유전자(HIS4)는 아미노산 선택압 하에 있으면 인접한 유전자를 공동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5]

구조 연구[편집]

2007년을 기준으로 이러한 부류의 효소에 대해 PDB 접근 코드 1K75, 1KAE, 1KAH, 1KAR의 4가지 구조가 해결되었다.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Grubmeyer CT, Gray WR (August 1986). “A cysteine residue (cysteine-116) in the histidinol binding site of histidinol dehydrogenase”. 《Biochemistry》 25 (17): 4778–84. doi:10.1021/bi00365a009. PMID 3533140. 
  2. Nagai A, Ward E, Beck J, Tada S, Chang JY, Scheidegger A, Ryals J (May 1991). “Structural and functional conservation of histidinol dehydrogenase between plants and microbes”. 《Proc. Natl. Acad. Sci. U.S.A.》 88 (10): 4133–7. Bibcode:1991PNAS...88.4133N. doi:10.1073/pnas.88.10.4133. PMC 51612. PMID 2034659. 
  3. Cowan-Jacob SW, Rahuel J, Nagai A, Iwasaki G, Ohta D (November 1996). “Crystallization and preliminary crystallographic analysis of cabbage histidinol dehydrogenase”. 《Acta Crystallogr. D》 52 (Pt 6): 1188–90. doi:10.1107/S0907444996008396. PMID 15299582. 
  4. Barbosa JA, Sivaraman J, Li Y, Larocque R, Matte A, Schrag JD, Cygler M (February 2002). “Mechanism of action and NAD+-binding mode revealed by the crystal structure of L-histidinol dehydrogenase”. 《Proc. Natl. Acad. Sci. U.S.A.》 99 (4): 1859–64. Bibcode:2002PNAS...99.1859B. doi:10.1073/pnas.022476199. PMC 122284. PMID 11842181. 
  5. “보관된 사본”. 2017년 7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7월 21일에 확인함. 

더 읽을거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