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격
향격(向格, lative case, lat) 또는 방향격(方向格)은 동작이 향하는 곳을 가리키는 문법적 격의 일종이다.[1] 처격과 일치하기도 한다. 핀란드어, 에르자어, 모샤어, 초원 사미어와 같은 우랄어족이나 체즈어, 베즈타어, 크와르시어와 겉은 체즈어계열 언어, 라즈어나 라주리어와 같은 남캅카스어족 등에서 발견된다. 한국어나 일본어 등의 고립어에서도 발견된다.
예시[편집]
핀란드어[편집]
핀란드어에서 향격은 대개 구식이 되었지만, 많은 부사들에서 나타난다.
- alas "아래로", kauas/kauemmas "멀리", pois "(going) away", and rannemmas “육지로”
향격조사는 대개 -s이다.[1]
현대 핀란드어에서, 향격은 더 복잡한 위치격 체계에 대체되었고, 원래의 접미사 -s도 다른 향격이나 위치격 조사에 합쳐져 재내격, 탈외격, 향내격, 전환격으로 바뀌었다.
체즈어[편집]
향외격[편집]
문법에서, 향외격(영어: Allative case/ˈælətɪv/; 축약 all; 라틴어 allāt-, afferre "~로 가져오다"에서 유래)는 위치격의 한 종류이다. 영어에서 allative라는 단어는 방향을 고려하지 않는 대다수 언어에서 향격과 동의어로 사용된다.
핀란드어[편집]
핀란드어(우랄어족)에서, 향외격은 다섯 번째의 위치격으로, "~위로"의 의미를 가진다. 핀란드어에서 이 격은 -lle로 나타난다. 다음은 이 예시이다.
- pöydälle "식탁 위로".
또, 향외격은 "장소 근처에서"의 의미로 근접격의 보어로 쓰인다.
- koululle "학교 근처까지".
시간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사용된다.
- ... lähti ruokatunnille("... 점심 시간에").
몇몇 행동들은 이 격을 요구한다.
- . kävely - mennä kävelylle "산책 - 산책을 가다".
이 격은 "to"나 "for"을 뜻하기도 한다.
- minulle "내게/나를 위해"
핀란드어와 에스토니아어의 다른 위치격은 다음과 같다.
발트어군 언어들[편집]
리투아니아어와 라트비아어에서는 향외격이 원시인구어에서 분기한 이후부터 쓰여 왔지만, 현대에는 거의 쓰이지 않고 있다. 리투아니아어에서 향외격은 -opi에서 축약된 -op를 통해 나타난다. 라트비아어에서 이는 -up에 해당한다. 두 현대어에서 향외격의 흔적은 부사가 된 몇몇 관용표현들에서 나타난다. :리투아니아어 išėjo Dievop ("신에게 가다", 죽었다), velniop! ("지옥 같다!"), nuteisti myriop ("사형선고"), rudeniop ("가을로"), vakarop ("오후로"), Latvian mājup ("집으로"), kalnup ("언덕 위로"), lejup ("언덕 아래로"). [출처 필요]
그리스어[편집]
미케네 그리스어에서, -de가 향외격을 표시했다.[2] e.g. te-qa-de, *Tʰēgʷasde, "테베로" (Linear B: 𐀳𐀣𐀆). 이 접사는 Athḗnaze와 같은 몇 고대 그리스어 단어에서 살아남았다. ,[3] from accusative Athḗnās + -de.
성서 히브리어[편집]
성서 히브리어에서 명사에 붙는 ה ָ– /-ɔh/ 접미사가 (he 또는 he locale)향외격으로서 기능했다.[4]
영어[편집]
영어에서 접미사 -ward/-wards는 새로 신설되었으나 분포가 제한된 향외격으로 생각할 수 있다. [출처 필요] 이 접미사는 몇 명사에서 파생되어 몇 형용사와 부사에서 행동의 방향을 나타낸다.
Wanyi[편집]
소멸한 호주원주민언어 wanvi어에도 향외격이 있었다. xes -kurru/wurru.
라틴어[편집]
마을과 작은 섬의 대격은 향외격과 비슷한 방식으로 행동의 방향을 표지하는 데 쓰였다.[5]
Udmurt[편집]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
같이 보기[편집]
더 읽기[편집]
- Karlsson, Fred (2018). 《Finnish - A Comprehensive Grammar》.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ISBN 978-1-138-82104-0.
- Anhava, Jaakko (2015). “Criteria For Case Forms in Finnish and Hungarian Grammars”. 《journal.fi》. Helsinki: Finnish Scholarly Journals Online.
각주[편집]
- ↑ 가 나 Mäkinen, Panu. “Finnish Grammar - Adverbial Cases”. 《users.jyu.fi》. University of Jyväskylä. 2015년 3월 6일에 확인함.
- ↑ Ventris, Michael and John Chadwick. Documents in Mycenaean Greek
- ↑ Ἀθήναζε. Liddell, Henry George; Scott, Robert; 《An Intermediate Greek–English Lexicon》, 페르세우스 프로젝트.
- ↑ Waltke, Bruce, and Michael O'Connor, Introduction to Biblical Hebrew Syntax (Winonana Lake, IN: Eisenbrauns, 1990), 185-86.
- ↑ Allen and Greenough, sect. 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