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음차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갑오개혁 이후부터 한국 공문서에서는 한글이 주된 언어로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1895년 5월 8일 '공문식' 제10조를 통해 한글이 대표문자의 위치를 확고히 하였고, 이두문은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되었다.[1] 특히 공문서는 국한문 중심으로 사용되었는데, 서방세계와 관계를 맺기 시작하며 협정문 등에 사용되는 외래어를 음차하는 데 용이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19세기 후반~일제시기 자주 사용된 외래어 이름이나 지명, 용어의 한자 음차나 한글 음차는 오늘날 알아보기가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예를 들어 로마는 '羅馬(라마)'라 음차한 표현이었고, 프로이센은 '보로서(普魯西)' 또는 '보로사(普魯斯)' 등으로 음차하였다. 이 외에도 오늘날 바자르라 불리는 Saint-amand Bazard는 '빠사-드'라 표현하였다.

이와 같은 근대 시기 한자 또는 한글 음차의 사례들을 모아 보면 아래와 같다.


한자 음차[편집]

국가명[편집]

普魯西(보로서), 普魯斯(보로사) : 프로이센[2]

瑞西(서서) : 스위스[2]

亞米利加(아미리가) : 아메리카(북미를 의미)[2]

和蘭(화란) : 네덜란드(Netherlands)[2]

白義耳(백의이) : 벨기에(Belgium)[2]

西班牙(서반아) : 스페인(Spain)

伊太利(이태리), 意大利(의대리) : 이탈리아(Italiana)

墺地利(오지리), 奧地利(오지리) : 오스트리아(Austria)

希臘(희랍) : 그리스[2]

台灣(태만) : 대만[3]

吐蕃(토번) : 티베트[4]

土耳其(토이기) : 터키[5]

지명[편집]

羅馬(라마) : 로마[2]

巴里(파리) : 파리[2]

倫敦(륜돈) : 런던[2]

伯林(백림) : 베를린[6]

桑香(상항) : 센프란시스코[7][8]

加洲(가주) : 캘리포니아주(State of California)

南加洲(남가주) : (확인필요)[9]

羅省(나성) : 로스엔젤레스(Los Angeles, LA)[9]

天使島(천사도) : Angel Island, 미국 캘리포니아 샌프란시스코항에 있는 섬이다. 1898년 스페인-미국 전쟁 이후부터 20세기 전반기까지 환승역(transit station)으로 기능하였다.[10]

용어[편집]

希伯來(희백래) : 히브리(Hebrew), 히브리어(고대 이스라엘어)[2]

이름[편집]

柳瑞佰(류서백) : Rev.J.S.Nisbet. 선교사[10]

李訥瑞(이눌서) : Rev.W.D.Reynolds. 선교사[10]

馬路德(마로덕) : Rev.L.O.McCutchen. 선교사[10]

裵緯良(배위량) : Rev.W.M.Baird. 선교사[10]

기타[편집]


한글 음차[편집]

국가명[편집]

지명[편집]

푸라이부룩(푸라이부룩 대학) : Freiburg[2]

그라이푸스발트 : Greifswald(독일 소재)[2]

삑(ㅅ+ㅂ+ㅣ+ㄱ)도이아봉(峯) : 빅토리아봉=빅토리아피크. 홍콩에서 가장 높은 곳을 의미함.[6]

꾀릿샐 : 괴를리쯔(Görlitz)[2]

엘풀트 : 엘푸르트(Erfurt)[2]

용어[편집]

까란틔슴 : (확인필요)[2]

시비리사씨오 : (확인필요)[2]

안아리씀 : 아나키즘(anarchism)[2]

빠여릿취 :[2]

대털민히슴("맑스적 대털민히슴") : Determinism(맑스의 역사 결정론, Marx’s the historical determinism)[2]

이름[편집]

빠사-드 : 바자르(Saint-amand Bazard)[2]

로벨트 필 : 로버트 필(Robert Peel)[2]

휘-고, 휘고 : 휴고(Gustav von Hugo)[2]

산시몬 : 생시몽(comte de Saint-Simon)[2]

엔판태 : 앙팡탱(Barthélemy Prosper Enfantin)[2]

쀠새 : P. Puchez[2]

W.텀프손 : 윌리엄 톰슨(William Thompson)[2]

필리포비치 : Eugen Philippović[2]

빼룬스타인 : 베른슈타인(Eduard Bernstein)[2]

A. 빼벨 : 아우구스트 베벨(August Bebel)[2]

W. 리부크내히트 : 빌헬름 리프크네히트(Wilhelm Liebknecht)[2]

쩌레 : 조레스(Jean Léon Jaurès)[2]

기타[편집]

총독일노동당(總獨逸勞動黨) : 전독일노동자동맹(=the Socialist Workers’ Party, 독일사회민주당[the Social Democratic Party of Germany, SPD]의 전신)[2]

스사로 : 스스로[2]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김, 건우 (2008). 《근대 공문서의 탄생》 1판. 소와당. 37-46쪽. 
  2. 김, 현준 (1931). 《현대각국사회주의급사회운동사비판(現代各國社會主義及社會運動史批判)》 1판. 광한서림(廣漢書林). 
  3. 국무위원 김영준(농림부장관), 양송이생산수출사업확장 계획 - 경제장관회의 안건, 1967년 8월
  4. 채, 웅석 (2005). “한국사연구 131”. 《고려 중.후기 충군형과 정역형》 (한국사연구회) (131): 227. 
  5. ≪동아일보≫ 1927년 12월 6일, 「민족문제 (一)」
  6. 김현준 (1922). “독일가는 길에 - 경성으로부터 싱가포르(新嘉坡)에”. 《신생활 9》. 
  7. ≪매일경제≫, 1969년 3월 25일, 「30만불 LC인수」.
  8. “세계한민족문화대전”. 
  9. “조선일보”. 《유미아학생계(留米我學生界)의 소식(消息)》. 1923.5.5. 
  10. 하경덕, 경덕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