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랑쉐렐 정리
보이기
수학에서 플랑쉐렐 정리(때때로 파르세발 –플랑쉐렐 항등식[1])는 1910년 스위스 수학자 미셸 플랑쉐렐이 증명한 조화 해석학의 결과이다. 함수의 제곱 적분은 해당 주파수 스펙트럼의 제곱 적분과 동일하다는 정리이다. 즉, 는 실수에서 정의된 함수이고, 는 주파수 스펙트럼이면,
보다 정확한 공식은 다음과 같다: 함수가 두 르베그 공간 과 모두에 있으면 푸리에 변환은 안에 있고, 푸리에 변환 사상은 L2 노름에 대한 등장사상이다. 이는 으로 제한된 푸리에 변환 사상이 선형 등장사상(때로는 플랑쉐렐 변환이라고도 한다.)에 대한 유일한 확장이 있다. 이 등장사상은 실제로 유니터리 사상이다. 실제로 이는 제곱 적분 가능한 함수의 푸리에 변환에 대해 말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플랑쉐렐의 정리는 n 차원 유클리드 공간 에 명시된 대로 유효하다. 정리는 또한 국소 콤팩트 아벨 균에서 더 일반적으로 유지된다. 특정 기술적 가정을 만족하는 비가환 국소 콤팩트 군에 적합한 플랑쉐렐 정리 버전도 있다. 이것이 비가환 조화 해석학의 주제이다.
푸리에 변환의 유니터리성은 푸리에 급수의 유니터리성을 증명하는 데 사용된 이전(그러나 덜 일반적인) 결과를 기반으로 과학 및 공학 분야에서 종종 파르세발의 정리라고 불린다.
극화 항등식으로 인해 플랑쉐렐의 정리를 두 함수의 내적에 적용할 수 있다. 즉, 만약 과 이 함수이고 가 플랑쉐렐 변환을 나타내면, 이고 만약에 과 가 더욱이 함수이면, 그리고 그래서
같이 보기
[편집]- 구면 함수에 대한 플랑쉐렐 정리
참고자료
[편집]- ↑ Cohen-Tannoudji, Claude; Dupont-Roc, Jacques; Grynberg, Gilbert (1997). 《Photons and Atoms : Introduction to Quantum Electrodynamics》. Wiley. 11쪽. ISBN 0-471-18433-0.
- Plancherel, Michel (1910), “Contribution à l'étude de la représentation d'une fonction arbitraire par des intégrales définies”, 《Rendiconti del Circolo Matematico di Palermo》 30 (1): 289–335, doi:10.1007/BF03014877, S2CID 122509369.
- Dixmier, J. (1969), 《Les C*-algèbres et leurs Représentations》, Gauthier Villars.
- Yosida, K. (1968), 《Functional Analysis》, Springer Verlag.
외부 링크
[편집]- “Plancherel theorem”. 《Encyclopedia of Mathematics》 (영어). Springer-Verlag. 2001. ISBN 978-1-55608-010-4.
- Plancherel's Theorem on Mathwor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