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시파에 (위성)
파시파에 Pasiphae | ||
![]() | ||
발견 | ||
---|---|---|
발견자 | 필리버트 자크 멜로트 | |
발견일 | 1908년 1월 27일 | |
궤도 성질 | ||
모행성 | 목성 | |
궤도 긴반지름(a) | 24,094,770 km[1] | |
근점(q) | 16,980,250 km[1] | |
원점(Q) | 31,209,300 km[1] | |
공전 주기(P) | 764.082032 일 (2.092년)[1] | |
평균 공전 속도 | 2.242 km/s | |
궤도 경사(i) | 145.24° (황도 기준) 143.04° (목성의 적도 기준)[1] | |
궤도 이심률(e) | 0.2953[1] | |
물리적 성질 | ||
반지름 | 30 km[2] 또는 19[3] | |
평균 밀도 | 2.6[2] | |
질량 | 3.0×10kg | 17|
표면 중력 | ~0.022 m/s2 (0.002 g) | |
탈출 속도 | ~0.036 km/s | |
반사율 | 0.04[2] 또는 0.10[3] | |
평균 온도 | ~124 K |
파시파에(영어: Pasiphae /pəˈsɪfə.iː/[4], 그리스어: Πασιφάη, 일반적으로 "Pasiphaë"라고 표기한다[5])는 목성의 역행 불규칙 위성이다. 파시파에는 영국 천문학자인 필리버트 자크 멜로트가 1908년 발견했으며,[6][7] 파시파에라는 이름은 그리스 신화에서 미노스의 아내이자 미노타우로스의 어머니인 파시파에의 이름을 따서 붙여졌다.
발견
[편집]파시파에는 1908년 2월 28일 그리니치 천문대에서 처음 촬영되었고, 1월 27일 촬영되었던 사진과 비교하여 파시파에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었다. 파시파에는 1908 CJ라는 임시 이름을 부여받았었고, 이 때는 파시파에가 목성의 위성인지 또는 소행성인지 식별할 수 없었다. 파시파에가 목성의 위성이라는 것은 같은 년 4월 10일날 확인되었다.[8]
파시파에는 현재의 "파시파에"라는 이름을 1975년까지 가지지 못했었는데,[9] 그 전에는 단순히 목성 VIII로 불렸고, 1955 ~ 1975년 사이의 기간에는 가끔씩 "포세이돈"이라고도 불렸다.[10]
궤도
[편집]
파시파에는 궤도 경사와 이심률이 높은 역행 궤도를 돌며, 궤도 경사가 144.5° ~ 158.3°가량인 위성들의 모임인 파시파에 군의 이름의 유래가 되었다.[11] 파시파에의 궤도 정보는 2000년 1월의 정보이며,[1] 이는 목성이나 태양으로부터의 궤도 섭동 현상으로 인해 계속해서 변하고 있다.
파시파에는 또한 목성과 100년 주기의 궤도 공명, 파시파에의 궤도 근점 경도를 목성의 궤도 근일점 경도와 일치시키려는 현상이 일어남이 알려져 있다.[12]
물리적 성질
[편집]파시파에의 지름은 약 60 km로, 히말리아와 엘라라에 이어 세 번째로 큰 불규칙 위성이다.
적외선 대역에서의 스펙트럼 분석을 통해, 파시파에는 스펙트럼 상으로 큰 특징이 없으며, 파시파에가 소행성으로부터 유래했다는 설을 뒷받침한다. 파시파에는 다른 파시파에 군 위성들과 함께, 목성의 중력에 잡힌 소행성으로부터 유래하였다고 추측되고 있다.[13][14]
가시광 대역에서 파시파에는 회색(색지수 B-V=0.74, R-V=0.38)으로 나타나며, 이는 C형 소행성과 유사하다.[15]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Jacobson, R. A. (2000). “The Orbits of the Outer Jovian Satellites”. 《Astronomical Journal》 120 (5): 2679–2686. Bibcode:2000AJ....120.2679J. doi:10.1086/316817. 2019년 12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4월 17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Planetary Satellite Physical Parameters”. JPL (Solar System Dynamics). 2008년 10월 24일. 2008년 12월 12일에 확인함.
- ↑ 가 나 Williams, Dr. David R. (2007년 11월 23일). “Jovian Satellite Fact Sheet”. National Space Science Data Center. 2008년 12월 12일에 확인함.
- ↑ http://dictionary.reference.com/browse/pasiphae?r=75
- ↑ http://planetarynames.wr.usgs.gov/Page/Planets
- ↑ Melotte, P. J. (1908). “Note on the Newly Discovered Eighth Satellite of Jupiter, Photographed at the Royal Observatory, Greenwich”.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68 (6): 456–457. Bibcode:1908MNRAS..68..456.. doi:10.1093/mnras/68.6.456.
- ↑ Perrine, C. D.; Perrine, C. D. (June 1908). “Recent Observations of the Moving Object Near Jupiter, Discovered at Greenwich by Mr. J. Melotte”. 《Harvard College Observatory Bulletin》 20: 184–185. Bibcode:1908PASP...20..184M. doi:10.1086/121815.
- ↑ Cowell, P. H. (1908). “Note on the Discovery of a Moving Object Near Jupiter”.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68: 373. Bibcode:1908MNRAS..68..373.. doi:10.1093/mnras/68.5.373.
- ↑ IAUC 2846: Satellites of Jupiter 1974 October 7 (naming the moon)
- ↑ Payne-Gaposchkin, Cecilia; Katherine Haramundanis (1970). 《Introduction to Astronom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ISBN 0-134-78107-4.
- ↑ Sheppard, S. S.; David C. Jewitt; Carolyn C. Porco; Jupiter's Outer Satellites and Trojans 보관됨 2007-06-14 - 웨이백 머신, in Jupiter: The Planet, Satellites and Magnetosphere, edited by Fran Bagenal, Timothy E. Dowling, and William B. McKinnon, Cambridge Planetary Science, Vol. 1,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0-521-81808-7, 2004, pp. 263-280
- ↑ Nesvorný, D.; Beaugé, C.; Dones, L. (2004). “Collisional Origin of Families of Irregular Satellites”. 《The Astronomical Journal》 127 (3): 1768–1783. Bibcode:2004AJ....127.1768N. doi:10.1086/382099.
- ↑ Brown, M. E. (2000). “Near-Infrared Spectroscopy of Centaurs and Irregular Satellites”. 《The Astronomical Journal》 (The American Astronomical Society) 119 (2): 977–983. Bibcode:2000AJ....119..977B. doi:10.1086/301202.
- ↑ Sheppard, S. S.; and Jewitt, D. C.; An Abundant Population of Small Irregular Satellites Around Jupiter 보관됨 2003-08-05 - 웨이백 머신, Nature, Vol. 423 (May 2003), pp. 261-263
- ↑ Tommy Grav; Matthew J. Holman; Brett J. Gladman; Kaare Aksnes; Photometric Survey of the Irregular Satellites, Icarus, Vol. 166 (2003), pp. 33-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