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노페 (위성)
시노페 Sinope | ||
![]() | ||
발견 | ||
---|---|---|
발견자 | 세스 반스 니컬슨 | |
발견일 | 1914년 7월 21일 | |
명칭 | ||
임시 이름 | Jupiter IX | |
다른 이름 | Jupiter IX | |
궤도 성질 | ||
모행성 | 목성 | |
궤도 긴반지름(a) | 23,540,000 km[1] | |
근점(q) | 18,237,600 km | |
원점(Q) | 30,191,200 km | |
공전 주기(P) | 724.1 일 (1.95 년)[1] | |
평균 공전 속도 | 2.252 km/s | |
궤도 경사(i) | 128.11° (황도 기준) 153.12° (목성 적도 기준)[1] | |
궤도 이심률(e) | 0.25[1] | |
물리적 성질 | ||
반지름 | ~19 km[2][3] | |
부피 | ~28,700 km3 | |
평균 밀도 | 2.6 g/cm3 (추정)[2] | |
질량 | 7.5×10kg | 16|
표면 중력 | 0.014 m/s2 (0.001 g) | |
탈출 속도 | ~0.023 km/s | |
반사율 | 0.04 (추정)[2][3] | |
평균 온도 | ~124 K |
시노페(Sinope, /sɪˈnoʊpi/[4] )는 세스 반스 니컬슨이 릭 천문대에서 1914년에 발견한 목성의 역행하는 불규칙 위성이고 이름은 그리스 신화의 시노페에서 따왔다.
시노페는 1975년까지 현재의 이름을 받지 못했다.[5][6] 그 전에는 간단하게 목성 IX로 알려졌고 1955년에서 1975년까지 "하데스"라고 부르기도 했다.[7]
시노페는 2000년에 메가클리테가 발견되기 전까지 알려진 목성의 위성 중 가장 멀리 있는 위성이었다. 현재 목성에서 가장 먼 거리에 있는 위성은 S/2003 J2이다.
궤도[편집]
시노페의 궤도는 목성에서 엉뚱하고 많이 기울어진 역행하는 궤도이다. 이는 2000년 1월의 궤도적 요소이고,[1] 그 궤도는 태양과 행성의 섭동때문에 계속해서 바뀌고 있다. 가끔씩 파시파에 그룹에 속한다고 믿기도 했지만, 주어진 평균 기울기와 다른 색깔에 의해 시노페가 독립적으로 포획되었고, 그 그룹의 기원이 일치하지 않는 관계가 없는 독립적인 것이 될 수 있었다.[3][8]
시노페는 파시파에와 같이 오랫동안 목성과 영년광도함수에 있다고 알려졌다. 그러나 시노페는 동조에서 빠질 수 있고 동조하고 안 하는 107년의 주기를 가졌다.[9]
물리적 특성[편집]
시노페의 지름은 대략 38 km이다.(반사율 0.04로 추정됨)[3] 그 위성은 회색인 파시페와는 달리 붉은 색(색 지수 B-V=0.84, R-V=0.46)이다.[8]
적외선 스펙트럼은 D타입 소행성과 비슷하고 파시페와는 다르다.[10] 이 물리적 요인의 차이는 다른 그 그룹의 핵심 위성들과 다른 기원을 가진다고 추측된다.
같이 보기[편집]
- 불규칙 위성
- 천체력 IAU-MPC NSES
각주[편집]
- ↑ 가 나 다 라 마 Jacobson, R. A. (2000). “The Orbits of the Outer Jovian Satellites”. 《Astronomical Journal》 120 (5): 2679–2686. Bibcode:2000AJ....120.2679J. doi:10.1086/316817. 2019년 12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5월 19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Planetary Satellite Physical Parameters”. JPL (Solar System Dynamics). 2008년 10월 24일. 2008년 12월 12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Sheppard, S. S.; and Jewitt, D. C.; An Abundant Population of Small Irregular Satellites Around Jupiter Archived 2003년 8월 5일 - 웨이백 머신, Nature, Vol. 423 (May 2003), pp. 261-263
- ↑ http://dictionary.reference.com/browse/Sinope
- ↑ Nicholson, S. B. (April 1939). “The Satellites of Jupiter”. 《Publications of the Astronomical Society of the Pacific》 51 (300): 85–94. Bibcode:1939PASP...51...85N. doi:10.1086/125010. (in which he declines to name the recently discovered satellites (pp. 93–94))
- ↑ IAUC 2846: Satellites of Jupiter 1974 October (naming the moon)
- ↑ Payne-Gaposchkin, Cecilia; Katherine Haramundanis (1970). 《Introduction to Astronom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ISBN 0-13-478107-4.
- ↑ 가 나 Grav, T.; Holman, M. J.; Gladman, B. J.; and Aksnes, K.; Photometric Survey of the Irregular Satellites, Icarus, Vol. 166 (2003), pp. 33-45
- ↑ Nesvorný, D.; Beaugé, C. & Dones, L. (2004). “Collisional Origin of Families of Irregular Satellites”. 《The Astronomical Journal》 127 (3): 1768–1783. Bibcode:2004AJ....127.1768N. doi:10.1086/382099.
- ↑ Grav, T.; Holman, M. J. (2004). “Near-Infrared Photometry of the Irregular Satellites of Jupiter and Saturn”. 《The Astrophysical Journal》 605 (2): L141–L144. arXiv:astro-ph/0312571. Bibcode:2004ApJ...605L.141G. doi:10.1086/420881.
외부 링크[편집]
![]() |
이 글은 천체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