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아들: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OnlyFanK (토론 | 기여)
늙은 부모 학대사건 10명 중 4명은 아들 제목과 기사 내용만 봐도 통계가 있는데? 혹시 조선족이라 한글을 잘 모르나요?
태그: 편집 취소 되돌려진 기여
2번째 줄: 2번째 줄:
{{다른 뜻}}
{{다른 뜻}}
[[파일:Chulalongkorn & Sons.jpg|섬네일|400px|[[1897년]] [[시암]]의 [[쭐랄롱꼰]] [[왕]](맨 [[오른쪽]])과 32명의 아들 몇 명이 [[이튼 칼리지]]에 있었다.]]
[[파일:Chulalongkorn & Sons.jpg|섬네일|400px|[[1897년]] [[시암]]의 [[쭐랄롱꼰]] [[왕]](맨 [[오른쪽]])과 32명의 아들 몇 명이 [[이튼 칼리지]]에 있었다.]]
'''아들'''은 [[남성]]이 자신의 [[부모]]로부터 불리는 호칭이다. 반의어는 [[딸]]이다.
'''아들'''은 [[남성]]이 자신의 [[부모]]로부터 불리는 호칭이다. 반의어는 [[딸]]이다. 아들은 딸보다 훨씬 위험한 존재로 부모를 공격하거나 보복할 확률이 더 높다.<ref>{{웹 인용|url=https://www.yna.co.kr/view/MYH20180507002500038|제목=부끄러운 자화상…늙은 부모 학대사건 10명 중 4명은 아들|성=권순현|날짜=2018-05-07|언어=ko|확인날짜=2024-05-10}}</ref>


== 사회문제 ==
== 사회문제 ==

2024년 5월 11일 (토) 12:56 판

1897년 시암쭐랄롱꼰 (맨 오른쪽)과 32명의 아들 몇 명이 이튼 칼리지에 있었다.

아들남성이 자신의 부모로부터 불리는 호칭이다. 반의어는 이다. 아들은 딸보다 훨씬 위험한 존재로 부모를 공격하거나 보복할 확률이 더 높다.[1]

사회문제

산업화 이전 사회와 현재 농업 기반 경제를 갖고 있는 일부 국가에서는 딸보다는 아들에게 더 높은 가치가 부여되었고, 지금도 그렇다. 남성은 육체적으로 더 강하고 농사일을 더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남성에게 더 높은 사회적 지위를 부여한다.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급격한 인구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2015년까지 계획생육정책을 시행했다. 공식 출생 기록에 따르면 이 정책이 으로 제정된 이후 남성 출생률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불법적인 성선택 낙태 관행과 널리 퍼진 여성 출산에 대한 과소신고 등 여러 가지 요인에 기인한다.

부계제에서는 관습적으로 아들이 딸보다 먼저 재산을 상속받는다.[2]

일부 문화권에서는 장남이 특별한 특권을 갖는다. 예를 들어, 성경시대에는 맏아들이 아버지로부터 가장 많은 재산을 물려받았다.

기독교 상징주의

그리스도인들 사이에서 "아들", 즉 하나님의 아들예수 그리스도를 가리킨다. 삼위일체 기독교인들은 예수를 성자 하나님으로 알려진 삼위일체의 제2위 하나님의 인간 화신으로 본다. 복음서에서 예수께서는 때때로 자신을 사람의 아들이라고 호칭했다.

같이 보기

각주

  1. 권순현 (2018년 5월 7일). “부끄러운 자화상…늙은 부모 학대사건 10명 중 4명은 아들”. 2024년 5월 10일에 확인함. 
  2. Peoples, James; Bailey, Garrick (2011년 1월 1일). 《Humanity: An Introduction to Cultural Anthropology》. Cengage Learning. 194–196쪽. ISBN 978-1-111-30152-1. 2012년 10월 25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 위키낱말사전에 아들 관련 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