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마인크래프트: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태그: 되돌려진 기여
태그: 되돌려진 기여
4번째 줄: 4번째 줄:


2020년 4월 16일 공개된 마인크래프트의 고퀄리티 버전인 [[광선 추적|RTX]] 버전도 정식 출시되었다.
2020년 4월 16일 공개된 마인크래프트의 고퀄리티 버전인 [[광선 추적|RTX]] 버전도 정식 출시되었다.

==버전==
{{Timeline of release years
|title=자바 에디션 주요 업데이트 출시 연표
|subtitle=공식버전
|range1=2009 – 2010
|range2=2011 – 2021
|range3=2022 - 2022
|range1_color=yellow
|range2_color=red pink
|range3_color=blue
|2009a=프리클래식
|2009b=클래식
|2009c=인데트로바이트더스키오가
|2010a=인데브
|2010b=인프데브

|2010c=알파
|2010d=베타
|2011a=베타
|2011b=배타 1.8, 정식 1.0: "모험 업데이트"
|2012a=1.1 : 작은 네더 업데이트
|2012b=1.2 : 달리기 추가 "업데이트"
|2012c=1.3 : 리소스 업데이트
|2012d=1.4 : 무서움 업데이트
|2013a=1.5: 레드스톤 업데이트
|2013b=1.6: 말 업데이트
|2013c=1.7: 월드 업데이트
|2014=1.8: 풍부함 업데이트
|2016a=1.9: 전투 업데이트
|2016b=1.10: 프로스트번 업데이트
|2016c=1.11: 탐구 업데이트
|2017=1.12: 색의 세계 업데이트
|2018=1.13: 수중 업데이트
|2019a=1.14: 마을과 약탈 업데이트
|2019b=1.15: 윙윙거리는 벌들 업데이트
|2020=1.16: 네더 업데이트
|2021a=1.17: 동굴과 절벽 업데이트 Part 1
|2021b=1.18: 동굴과 절벽 업데이트 Part 2(12월 , 미공개)
}}


== 배포판 ==
== 배포판 ==

2021년 7월 6일 (화) 09:37 판

알렉세이 페르손]]이 개발하고 마이크로소프트 스튜디오가 배급하는 오픈 월드 인디 게임이다. 줄여서 마크라고도 한다. 또한 마인크래프트는 정육면체 블록과 도구를 이용하여 건축, PVE, PvP를 비롯한 다양한 활동을 자유롭게 즐길 수 있다. 싱글 플레이멀티 플레이를 지원하며 다양한 확장 기능을 되었다. 첫 정식판은 자바로 개발되었고, 이후 베드락 에디션C++로 개발되었다. 정식 버전 출시 이전에는 알파, 베타 등의 버전이 있었다.

2020년 10월 14일, 2009년 마인크래프트 출시 이래 유튜브에 마인크래프트 관련 영상이 약 1,913,742개가 올라오며 기네스 세계 기록에서 '유튜브에서 가장 유명한 비디오 게임'이란 이름으로 등록되었다.[1]

2020년 4월 16일 공개된 마인크래프트의 고퀄리티 버전인 RTX 버전도 정식 출시되었다.

배포판

다중 플랫폼 배포판

베드락 에디션

베드락 에디션은 안드로이드, 윈도우 10, XBOX, 닌텐도 스위치 등 다양한 플랫폼을 지원하는 다중 플랫폼 판이다. 기존에 이 플랫폼들에 맞추어 배포된 판들은 모두 베드락 에디션으로 대체되었다. 베드락 에디션의 각 플랫폼별 배포판은 거의 차이가 없다. 기존에 안드로이드와 iOS[2]용으로 개발되었던 포켓에디션의 소스코드를 기반으로 한다. 그러나 자바 에디션과 달리 번역 오류나 시스템 이상이 비교적으로 잦다. 아이템 이름을 예를 들어 자바 에디션의 후렴과가 코러스 열매로 번역되거나 네더라이트가 네테라이트로 번역되는 등 여러 번역 오류가 있었다. [출처 필요]

PC판

자바 에디션

배드락 에디션과 동일하지만 업데이트가 빠르고 컴퓨터로 쉽게 접할수 있는 흔히 아는 마인크래프트이다. 과거 마인크래프트의 메인판이었다. 멀티플레이가 가능하며(BE , PE , Windows 10 Edithon 제외)

마인크래프트 클래식

마인크래프트 클래식은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마인크래프트의 옛 판이다. 더 이상 판올림은 되지 않는다. 크리에이티브 모드와 거의 동일하지만, 몬스터가 출현하지 않고 플레이어가 자연 환경에 데미지를 입지 않는다. 일부 블럭은 다르게 작동한다. 2013년까지는 공식 사이트에서 90분 동안 무료로 체험할 수 있었으나 현재는 공식 사이트에서 무료로 플레이할 수 없다.

Minecraft : Education Edition

교육용으로 출시되었다. 코딩 교육에 알맞게 변형되었다.

마인크래프트 : Windows 10 Edition

마인크래프트 베드락 에디션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에디션이다. 마인크래프트 자바에디션(JE)을 제외한 모든 시리즈와 연동이 가능하다. 다른 에디션과 달리 RTX 베타를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4k

4킬로바이트 이하의 게임을 만드는 4K 게임 프로그래밍 대회(en:Java 4K Game Programming Contest)를 위해 단순화된 판이다.[3] 세계는 크기가 64x64x64로 유한하고 하늘은 검은색이다. 플레이어는 잔디, 흙, 돌, 나무, 잎, 벽돌을 배치하거나 파괴만 할 수 있다.[4]

콘솔판

XBOX 360 에디션

마인크래프트의 엑스박스 360 판은 '4J 스튜디오' 에 의해 개발되어 엑스박스 라이브 아케이드 플랫폼으로 2012년 9월에 출시되었다.[5][6] 이 판은 다른 판과 다른 점이 많다. 조합 방법, 인터페이스, 튜토리얼이 바뀌었고 멀티 플레이를 위한 화면 분할 기능과 엑스박스 라이브를 통한 멀티 플레이 기능 등이 추가되었다.[7] 아이템들을 조합대에 정확하게 배치할 필요 없이 필요한 아이템이 모두 있기만 하면 조합할 수 있다.[8] 360 판에서 세계의 끝은 보이지 않는 벽으로 막혀 있으므로 무한하지 않다. 초기에는 월드가 자동으로 저장이 되지 않아 수동으로 저장했으나 현재는 자동으로 저장된다.[9] 360 판은 처음에 PC 판과 비슷했지만 판올림을 거쳐 지금과 같이 되었다.[5][10][11]

XBOX ONE 에디션

E3 2013이 개최되는 동안 기자회견에서 마이크로소프트가 마인크래프트: XBOX ONE 에디션[12] 트레일러를 공개했다. 엑스박스 360 에디션과 비슷하나 월드의 크기가 매우 크고 성능이 향상되었다. 미니 게임 기능도 추가되어 친구나 다른 사람과 함께 서바이벌 게임 등을 할 수 있다.[13] 초기의 윈도우 10 버전 또한 XBOX ONE 에디션의 한 종류였다.

플레이 스테이션 에디션

플레이 스테이션 3플레이 스테이션 4를 대상으로 출시되었고 플레이 스테이션 스토어에서 구매할 수 있다. 또한 VR 판도 있다.[14]

기타

라즈베리 파이 에디션

마인크래프트가 라즈베리 파이로 이식된 것으로서 2012년 마인콘 행사때 정식으로 공개되었다. 이전 판으로 판내림 된 것과 텍스트 명령어를 통해 게임 월드를 수정할 수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포켓 에디션과 유사하다고 밝혔다. 플레이어는 게임 코드를 열고 게임 세계에서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할 수 있다.[15] 2012년 12월 20일에 유출되었다가 유출한 게시물이 곧바로 삭제되었다.[16] 2013년 2월 11일에 정식으로 출시되었다.[17]

교육 교구로서의 활용

미국 뉴욕 맨해튼의 컬럼비아 예비학교(영어: Columbia Grammar and Preparatory School) 컴퓨터 교사인 조엘 레빈(영어: Joel Levin)은 마인크래프트를 교재로 선택하고 수업의 과정과 결과를 블로그에 공개하였다. 교사인 조엘 레빈 스스로도 "수업 내용에 아랑곳하지 않고 게임에만 집중하거나, 게임을 혼자서만 했기 때문에 협동을 하지 않거나, 파괴하는 요소가 없어 지루해하지 않을까?" 라는 고민을 했으나 그의 딸이 게임에 적응하는 것을 보고 수업을 결심했고, 실제 수업을 진행해 본 결과 따로 전용 수업이 개설될 정도로 인기를 끌었다고 한다.[18] 또한 개발자 스튜어트 덩컨은 자폐증 아이들과 그 가족들을 위해서 어트크래프트(Autcraft)를 만들어 자폐아들을 위한 놀이 및 치료 공간으로 마인크래프트를 활용하기도 했다. 또한 마인크래프트 PE 버전에 '교육 에디션' 이 추가되어 주기율표가 생겨서 과학 공부도 할 수 있게 되었다.[19]

사운드 트랙

마인크래프트의 사운드 트랙인〈Minecraft – Volume Alpha〉(C418 작곡)는 2011년 3월 4일 발매되었다.[20]

Minecraft – Volume Alpha
#제목재생 시간
1.Key1:05
2.Door1:51
3.Subwoofer Lullaby3:28
4.Death0:41
5.Living Mice2:57
6.Moog City2:40
7.Haggstorm3:24
8.Minecraft4:14
9.Oxygène1:05
10.Équinoxe1:54
11.Mice on Venus4:41
12.Dry Hands1:08
13.Wet Hands1:30
14.Clark3:11
15.Chris1:27
16.Thirteen2:56
17.Excuse2:04
18.Sweden3:35
19.Cat3:06
20.Dog2:25
21.Danny4:14
22.Beginning1:42
23.Droopy likes ricochet1:36
24.Droopy likes your face1:56

마인크래프트의 두 번째 사운드 트랙 <Minecraft - Volume Beta> (C418 작곡)는 2013년 11월 9일에 발매되었다.[21]

Minecraft – Volume Beta
#제목재생 시간
1.Ki1:32
2.Alpha10:03
3.Dead Voxel4:56
4.Blind Spots5:32
5.Flake2:50
6.Moog City 23:00
7.Concrete Halls4:14
8.Biome Fest8:18
9.Mutation3:05
10.Haunt Muskie6:01
11.Eleven1:11
12.Floating Trees4:04
13.Aria Math5:10
14.Kyoto4:09
15.Ballad of the Cats4:35
16.Taswell8:35
17.Beginning 22:56
18.Dreiton8:17
19.The End15:04
20.Chirp3:06
21.Wait3:54
22.Mellohi1:38
23.Stal2:32
24.Strad3:08
25.Warmth3:59
26.Ward4:10
27.Mall3:18
28.Blocks5:43
29.Far3:12
30.Intro4:36
31.pigstep(2020네더업데이트)3:56

마인콘

대한민국에서의 성인 게임화

2021년 7월 1일부터 대한민국에서는 만 19세 이상이어야 플레이할 수 있다.[22][23]

각주

  1. “Most popular videogame on YouTube”. 2020년 10월 14일. 2020년 11월 22일에 확인함. 
  2. “World of Minecraft Pocket Edition - Bedrock Engine”. 《MCPE Box》. 
  3. “Notch: Minecraft in less than 4k”. Twitter. 2011년 6월 29일. 2012년 9월 25일에 확인함. 
  4. Donlan, Chris (2011년 11월 25일). “The Friday Game: Minecraft 4k”. 《Edge》. Future plc. 2012년 10월 2일에 확인함. 
  5. Minecraft will feature cross-functionality between the PC and Xbox 360 versions.”. 《Microsoft New Center》. 마이크로소프트. 2011년 6월 6일. 2012년 2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월 11일에 확인함. 
  6. Hryb, Larry (2012년 3월 22일). “Xbox Live's Major Nelson”. 《majornelson.com》. 2013년 1월 11일에 확인함. 
  7. “Minecraft Xbox 360 Edition review at Digital Trends”. 《Digital Trends》. 2012년 5월 7일. 
  8. Makuch, Eddie (2012년 12월 13일). “Minecraft franchise sales hit 17.5 million”. 《GameSpot》. CBS Interactive. 2012년 12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2월 14일에 확인함. 
  9. Meunier, Nathan (2009년 5월 10일). “Minecraft: Xbox 360 Edition”. 《GameSpot》. CBS Interactive. 2013년 12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12월 18일에 확인함. 
  10. Evans-Thirlwell, Edwin (2012년 10월 16일). “Minecraft Xbox 360 update 1.8.2 out today, 10am GMT”. 《Official Xbox Magazine》. Future plc. 2012년 10월 28일에 확인함. 
  11. Evans-Thirlwell, Edwin (2012년 10월 2일). “Minecraft Xbox 360 update 1.8.2 - 4J releases enormous final contents list”. 《Official Xbox Magazine》. Future plc. 2012년 10월 27일에 확인함. 
  12. “E3 2013: Minecraft Coming to Xbox One”. IGN. 2013년 6월 10일. 2013년 6월 10일에 확인함. 
  13. “Minecraft: Xbox One Edition Announce Trailer.”. Microsoft. 2013년 6월 10일. 2013년 6월 11일에 확인함. 
  14. “가상 현실”. 2017년 2월 8일에 확인함. 
  15. Protalinski, Emil (2012년 11월 24일). “Minecraft ported to the Raspberry Pi, to be officially released as Minecraft: Pi Edition”. The Next Web. 2012년 11월 28일에 확인함. 
  16. Owen (2012년 12월 20일). “Download Pi Edition now!”. Mojang. 
  17. Owen (2013년 2월 11일). “Minecraft: Pi Edition is available for download!”. Mojang. 
  18. http://www.gamemeca.com/news/news_view.html?seq=4&ymd=20110404&page=1&point_ck=&search_ym=&sort_type=&search_text=&send=&mission_num=&mission_seq=
  19. https://www.ted.com/talks/stuart_duncan_how_i_use_minecraft_to_help_kids_with_autism?language=ko
  20. http://c418.bandcamp.com/album/minecraft-volume-alpha
  21. http://c418.bandcamp.com/album/minecraft-volume-beta
  22. https://www.techm.kr/news/articleView.html?idxno=85513
  23. 이 일은 셧다운제가 만든것이다. 법적으로 정해져있기에 피할수가 없다. 피할 방법은 단 두개. 첫번째는 마소 계정으로 우회하는법이다. 이것을 사용하면 법적으로 처벌을 받을수도 있다. 두번째는 셧다운제 폐지다. 초딩들끼리는 셧다운제 폐지를 요청하는 사람이 많다고 한다. 그 이유는 12세 게임을 한국에서만 19세부터라서 그렇다고 한다. 진짜 마인크래프트 공식 사이트에 그렇게 적혀잇다. 공식 사이트에서 이렇게 적혀있다. 한국의 플레이어의 경우 만 19세이상부터 가능합니다. https://minecraft.net 마인크래프트 공식 사이트에 적혀잇는 글. 2021 7월 5일에 확인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