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토론:민주주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문서 내용이 다른 언어로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마지막 의견: 7년 전 (People bear1님) - 주제: 국민을 인민이라는 단어로 고쳐야합니다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 182.226.81.151(토론)의 편집을 전부 되돌림: 문서와 관련 없음
편집 요약 없음
36번째 줄: 36번째 줄:


최근 집회에서 어떤 사람을 국모나 국부로 칭하는것을 보면서 한국인들은 민주주의에대한 인식수준이 떨어진다고생각했습니다. 이는 주권에대한 인식부족이 주요원인이라고생각합니다. 따라서 민주주의에대한 개념정립을 바로 세워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사:People bear1|People bear1]] ([[사토:People bear1|토론]]) 2017년 3월 9일 (목) 12:30 (KST)
최근 집회에서 어떤 사람을 국모나 국부로 칭하는것을 보면서 한국인들은 민주주의에대한 인식수준이 떨어진다고생각했습니다. 이는 주권에대한 인식부족이 주요원인이라고생각합니다. 따라서 민주주의에대한 개념정립을 바로 세워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사:People bear1|People bear1]] ([[사토:People bear1|토론]]) 2017년 3월 9일 (목) 12:30 (KST)

== 민주주의는 국민이 왕을 투표로 뽑는 것. ==

민주주의는 국민이 왕을 투표로 뽑는 것.


민주주의(民主主義)란 '국민(國民)'이 '왕'을 '투표'로 뽑는 것을 말한다!


'인민(人民)'이 아닌 '국민(國民)'이고, '왕'을 '뽑는 것'에 관련된 얘기이다!


영어로는 '공화국'의 뜻으로 돼 있는 'republic'이 '민주주의(民主主義)'다!


영어 사전에 민주주의가 'democracy'라고 나오는데, 이건 '미국'에 해당하는 말이고, a democratic country라고 할 때, 민주주의가 나온다!


※ 민주주의(民主主義)
민(民) : 백성 민
주(主) : 임금 주/주인 주
주(主) : 임금 주/주인 주
의(義) : 옳을 의


※ 국민(國民) [명사]
국가를 구성하는 사람. 또는 그 나라의 국적을 가진 사람.
유의어 : 민생, 백성, 생령


※ 인민1(人民) [명사]
1. 국가나 사회를 구성하고 있는 사람들. 대체로 지배자에 대한 피지배자를 이른다.
2. <법률> 국가를 구성하고 있는 자연인.
유의어 : 국민, 민중, 백성


※ "영어로 '공화제'(republic)는 '공공의 것'을 뜻하는 라틴어의 '레스 푸블리카'(res publica)에서 나왔다. 키케로는 이 표현을 '국민의 것'을 일컫는 '레스 포풀리'(res populi)로 풀이했다." (위키백과 '공화제' 어원에서)


※ 민주주의 民主主義
democracy

+ democracy [명사]
민주주의


※ democratic(←democracy) [형용사]
1. (국가・주・제도 등이) 민주주의의, 민주(주의)적인
- a democratic country
2. (조직의 운영이) 평등주의에 입각한[민주적인]
3. (사회가 돈이나 계급으로 나뉘지 않고) 평등한
4. (약어:Dem., D) Democratic(미국) 민주당의


※ "민주주의를 뜻하는 그리스어 데모크라티아(δημοκρατία)는 ‘민중’을 뜻하는 데모스(δῆμος)와 ‘권력’을 뜻하는 크라토스(κράτος)가 합쳐져 생긴 낱말이다." (위키백과 '아테네 민주주의' 어원에서)


※ "민주주의의 기원은 고대 그리스의 폴리스에서 유래하였는데 고대 그리스어의 데모스 (Demos →민중;시민;다수)와 크라티아 (Kratia →;권력;지배)의 합성어인 데모크라티아 (그리스어: δημοκρατία →국민에 의한 지배)가 민주주의의 어원이나 고대 로마의 민주주의는 각 폴리스에 한정된 시민에게만 참정권을 인정했을 뿐이었다. 예컨대 여성이나 노예는 시민으로 인정되지 못하였으며, 그리스인이라고 하여도 다른 폴리스에서 이주한 사람에게는 시민권이 주어지는 일이 드물었다. 아테네를 비롯한 민주제는 군주제 국가나 과두제 국가와 경쟁하며 혼재하였다." (위키백과 '민주주의' 기원에서)


(사전 : 네이버 국어사전, 영어사전에서)


God bless you!

2018년 6월 16일 (토) 12:02 판

정치체제와 갈등

"민주주의는 갈등을 최소한의 사회적 비용으로 관리하기 위한 정치체제이다."

  • 민주주의보다 갈등을 더 줄일 수 있는 정치체제는 존재한다.
  • 사회주의는 갈등을 다르게 정의할 뿐이며 멕시코의 사례는 물질적 비용이 막대하다.

정치학 수업 시간에 가르치는 내용입니다만 이걸 문서에 어떤 형식으로 추가해야 할지 감이 잡히지 않는군요 :/--Demi (토론) 2010년 4월 2일 (금) 15:58 (KST)답변

예를 들면 ==민주주의의 종류== 다음 단락에 이렇게 넣을 수 있겠군요.
== 민주주의와 갈등 간의 관계 ==
민주주의에서 갈등을 바라보는 관점은 다음과 같다.<ref>여기에 출처가 들어감</ref>
"민주주의는 갈등을 최소한의 사회적 비용으로 관리하기 위한 정치체제이다."
그러나 이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반론도 있다.
  • 민주주의보다 갈등을 더 줄일 수 있는 정치체제는 존재한다.
  • 사회주의는 갈등을 다르게 정의할 뿐이며 멕시코의 사례는 물질적 비용이 막대하다.
이상이 저의 의견입니다. --〔아에이오우〕 (토론) 2010년 4월 2일 (금) 16:21 (KST)답변

첫번째 섹션의 제목과 내용

"고대 그리스의 민주주의"보다는 "민주주의의 기원"으로 수정하는것이 더 문서 전체내용에 직접적인 관련을 보여줄듯합니다 아울러 고대 로마 등등의 사례를 더 추가하고 근대에 들어와서의 민주주의에 대한 논의(예컨데, 로크의 정부론이나 루소의 사회계약론등등)를 정리했으면 좋겠습니다

--Hongmt (토론) 2011년 8월 21일 (일) 05:08 (KST)답변

국민을 인민이라는 단어로 고쳐야합니다

국민은 nation의 번역어입니다. 국가에 속하는 의미에 치우칩니다.그렇기에 민주주의에서 뜻하는 내용을 담지못합니다. 현대민주주의에서 people의 적절한 번역어는 인민입니다. 신분의 위계질서가 사라짐을 의미하는 "보통사람"을 뜻하기 때문입니다

단지 그단어가 북쪽에서 주로쓰인다고 공산주의용어가 아닙니다. 인민 이라는 단어에 대하여 정치적 시선이 있음은 분명하게 알겠으나 , 이는 독재정권시절 반공프레임때문입니다.

지금이라도 바로잡아야합니다. 위키백과가 구글의 최상단을 차지할만큼 영향력이 큰 만큼. 여기서라도 바로잡는다면, 인민이라는 단어가 민주주의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큰 만큼. 앞으로 민주주의에 대한 인식이 새로이 바뀔수있다고생각합니다. People bear1 (토론) 2017년 3월 9일 (목) 12:16 (KST)답변

최근 집회에서 어떤 사람을 국모나 국부로 칭하는것을 보면서 한국인들은 민주주의에대한 인식수준이 떨어진다고생각했습니다. 이는 주권에대한 인식부족이 주요원인이라고생각합니다. 따라서 민주주의에대한 개념정립을 바로 세워야한다고 생각합니다. People bear1 (토론) 2017년 3월 9일 (목) 12:30 (KST)답변

민주주의는 국민이 왕을 투표로 뽑는 것.

민주주의는 국민이 왕을 투표로 뽑는 것.


민주주의(民主主義)란 '국민(國民)'이 '왕'을 '투표'로 뽑는 것을 말한다!


'인민(人民)'이 아닌 '국민(國民)'이고, '왕'을 '뽑는 것'에 관련된 얘기이다!


영어로는 '공화국'의 뜻으로 돼 있는 'republic'이 '민주주의(民主主義)'다!


영어 사전에 민주주의가 'democracy'라고 나오는데, 이건 '미국'에 해당하는 말이고, a democratic country라고 할 때, 민주주의가 나온다!


※ 민주주의(民主主義) 민(民)  : 백성 민 주(主)  : 임금 주/주인 주 주(主)  : 임금 주/주인 주 의(義)  : 옳을 의


※ 국민(國民) [명사] 국가를 구성하는 사람. 또는 그 나라의 국적을 가진 사람. 유의어 : 민생, 백성, 생령


※ 인민1(人民) [명사] 1. 국가나 사회를 구성하고 있는 사람들. 대체로 지배자에 대한 피지배자를 이른다. 2. <법률> 국가를 구성하고 있는 자연인. 유의어 : 국민, 민중, 백성


※ "영어로 '공화제'(republic)는 '공공의 것'을 뜻하는 라틴어의 '레스 푸블리카'(res publica)에서 나왔다. 키케로는 이 표현을 '국민의 것'을 일컫는 '레스 포풀리'(res populi)로 풀이했다." (위키백과 '공화제' 어원에서)


※ 민주주의 民主主義 democracy

+ democracy [명사] 민주주의


※ democratic(←democracy) [형용사] 1. (국가・주・제도 등이) 민주주의의, 민주(주의)적인

      - a democratic country

2. (조직의 운영이) 평등주의에 입각한[민주적인] 3. (사회가 돈이나 계급으로 나뉘지 않고) 평등한 4. (약어:Dem., D) Democratic(미국) 민주당의


※ "민주주의를 뜻하는 그리스어 데모크라티아(δημοκρατία)는 ‘민중’을 뜻하는 데모스(δῆμος)와 ‘권력’을 뜻하는 크라토스(κράτος)가 합쳐져 생긴 낱말이다." (위키백과 '아테네 민주주의' 어원에서)


※ "민주주의의 기원은 고대 그리스의 폴리스에서 유래하였는데 고대 그리스어의 데모스 (Demos →민중;시민;다수)와 크라티아 (Kratia →;권력;지배)의 합성어인 데모크라티아 (그리스어: δημοκρατία →국민에 의한 지배)가 민주주의의 어원이나 고대 로마의 민주주의는 각 폴리스에 한정된 시민에게만 참정권을 인정했을 뿐이었다. 예컨대 여성이나 노예는 시민으로 인정되지 못하였으며, 그리스인이라고 하여도 다른 폴리스에서 이주한 사람에게는 시민권이 주어지는 일이 드물었다. 아테네를 비롯한 민주제는 군주제 국가나 과두제 국가와 경쟁하며 혼재하였다." (위키백과 '민주주의' 기원에서)


(사전 : 네이버 국어사전, 영어사전에서)


God bless yo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