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약 다항식: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편집 요약 없음
16번째 줄: 16번째 줄:
== 성질 ==
== 성질 ==
=== 가우스 보조정리 ===
=== 가우스 보조정리 ===
다항식 <math>p(x),q(x)\in R[x]</math>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math>R</math>가 유일 인수 분해 정역이라고 하자. 다항식 <math>p(x),q(x)\in R[x]</math>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math>\operatorname c(p(x)q(x))=\operatorname c(p(x))\operatorname c(q(x))</math>
:<math>\operatorname c(p(x)q(x))=\operatorname c(p(x))\operatorname c(q(x))</math>
특히, 두 원시 다항식의 곱은 원시 다항식이다. 이를 '''가우스 보조정리'''(Gauß補助定理, {{llang|en|Gauss's lemma}})라고 한다.
특히, 두 원시 다항식의 곱은 원시 다항식이다. 이를 '''가우스 보조정리'''(Gauß補助定理, {{llang|en|Gauss's lemma}})라고 한다.

2017년 12월 16일 (토) 23:56 판

수학에서, 기약 다항식(旣約多項式, 영어: irreducible polynomial)은 더 낮은 차수다항식으로 표시되지 않는 다항식이다.

정의

정역이라고 하자.

차수 1 이상의 다항식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면, 기약 다항식이라고 한다.

  • (기약원) 임의의 에 대하여, 라면, 이거나 이다.

원시 다항식

유일 인수 분해 정역이라고 하자.

다항식 내용(內容, 영어: content) 은 계수의 최대 공약수이다.

내용이 가역원인 다항식(즉, 계수가 서로소인 다항식)을 원시 다항식이라고 한다.

성질

가우스 보조정리

가 유일 인수 분해 정역이라고 하자. 다항식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특히, 두 원시 다항식의 곱은 원시 다항식이다. 이를 가우스 보조정리(Gauß補助定理, 영어: Gauss's lemma)라고 한다.

증명:

두 원시다항식 의 곱

이 원시다항식이 아니라고 가정하자. 그러면 어떤 소수 공약수로 존재한다.

라고 하면, 이고, 임의의 에 대해 각각 이다. 의 전개에서, 외의 남은 항 또는 를 만족하므로(그렇지 않으면 이어서 모순이다), 모두 이다. 도 성립함에 따라 이다. 따라서 또는 이며, 이는 모순이다. 그러므로 가정은 참이 아니며, 는 원시다항식이다.

환론적 성질

유일 인수 분해 정역이라고 하자. 다항식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 에서 기약 다항식이다.
  • 에서 기약 다항식이다.

기약성 판정법

다항식의 기약성의 판정법에는 아이젠슈타인 판정법이 있다.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