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목시펜
체계적 명칭 (IUPAC 명명법) | |
---|---|
(Z)-2-[4-(1,2-Diphenylbut-1-enyl)phenoxy]-N,N-dimethylethanamine | |
식별 정보 | |
CAS 등록번호 | 10540-29-1 |
ATC 코드 | L02BA01 |
PubChem | 2733526 |
드러그뱅크 | DB00675 |
ChemSpider | 2015313 |
화학적 성질 | |
화학식 | C26H29NO |
분자량 | 371.515 g/mol 563.638 g/mol (시트르산 salt) |
유의어 | TMX; ICI-46474 |
약동학 정보 | |
생체적합성 | ? |
단백질 결합 | 99% |
동등생물의약품 | ? |
약물 대사 | 간 (CYP3A4, 2C9, 2D6) |
생물학적 반감기 | 5-7일[1] |
배출 | 대변: 65% 소변: 9% |
처방 주의사항 | |
임부투여안전성 | B3(오스트레일리아)D(미국) |
법적 상태 | |
투여 방법 | 경구 투여 |
타목시펜(tamoxifen, 상표명: 놀바덱스 등)은 여성의 유방암을 예방하고 여성과 남성의 유방암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되는 약물이다.[2] 다른 종류의 암에 대해서도 연구되고 있다.[2] 알브라이트 증후군에도 사용되고 있다.[3] 타목시펜은 유방암의 경우 일반적으로 날마다 경구로 5년간 섭취한다.[3]
심각한 부작용으로는 자궁암, 뇌졸중, 시력 문제, 폐색전증 위험의 사소한 증가가 있다.[3] 일반적인 부작용으로는 불규칙적인 월경, 체중 감소, 일과성 열감이 있다.[3] 임신이나 모유 수유 중에 투여하면 태아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3] 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제(SERM)이며 유방암 세포의 성장을 퇴화시킴으로써 동작한다.[3][4] 트리페닐에틸렌 그룹에 속한다.[5]
타목시펜은 1962년에 도라 리처드슨(Dora Richardson)에 의해 처음 개발되었다.[6][7] 의료제도에 필수적인 가장 효과적이고 안전한 의약품 목록인 WHO 필수 의약품 목록에 등재되어 있다.[8] 타목시펜은 제네릭 의약품으로 구매가 가능하다.[3] 개발도상국의 도매가는 일일 대략 US$0.07–0.23이다.[9] 미국 내 비용은 일일 대략 $1이다.[3] 2016년 미국에서 200만 건 이상 처방되어 더불어 238번째로 많이 처방을 받은 약물이었다.[10]
의학적 사용
[편집]월경통
[편집]타목시펜은 월경통이 있는 환자에서 혈류를 개선하고 자궁의 수축력은 감소시켜 통증을 줄여주는 데에 쓰인다.[11]
유방암
[편집]타목시펜은 폐경 전후의 여성 모두에서 에스트로겐 수용체 양성(ER+)인 조기 유방암과 진행 유방암에 사용한다.[12] 다만 폐경 후의 질출혈, 자궁내막용종, 자궁내막증식증, 자궁내막암의 위험은 반대로 올라간다. 타목시펜을 레보노게스트렐 방출 자궁내장치와 함께 사용하면 1~2년 동안의 질출혈 위험은 증가하지만 자궁내막용종과 증식증의 위험을 다소 줄일 수 있으며, 자궁내막암 위험에는 영향이 없다고 알려져 있다.[13] 또한 남성의 유방암 치료에 쓰이는 가장 흔한 호르몬제이기도 하다.[14] FDA에서는 유방암 발생 위험이 높은 여성에서 유방암 예방을 위해 사용하도록 승인하고 있다.[15] 또한 한쪽 유방에 암이 생긴 뒤 반대쪽에 발생하는 유방암을 감소시키는 데에도 승인된 상태이다. 타목시펜 치료는 10년간 시행하도록 권고된다.[16]
2006년 랄록시펜과 타목시펜의 효과를 비교한 대규모 임상연구에서는 랄록시펜도 유방암 발생률을 낮추는 데에 효과적이라고 결론 내렸다. 평균 6.75년간 추적관찰한 이후의 결과에서는 랄록시펜을 복용하는 여성에서 타목시펜과 비교했을 때 침습성 유방암의 예방 효과는 76% 정도이며, 반면 자궁암의 발생 위험은 45% 적고 혈전 발생 위험은 25% 적다고 알려졌다.[17][18][19]
난임
[편집]무배란 장애가 있는 여성의 난임을 치료하기 위해 타목시펜을 배란유도에 이용할 수 있다. 월경 주기 3~7일째에 투여한다.[20]
타목시펜은 난임이 있는 남성의 생식력 증가에도 이용되는데, 에스트로겐 수용체를 길항하여 시상하부-뇌하수체-생식샘 축(HPG 축)을 활성화시키고 결국 황체화호르몬(LH)과 난포자극호르몬(FSH)의 분비를 증가시켜 고환의 테스토스테론 생산을 늘린다.[21]
여성형유방증
[편집]타목시펜은 여성형유방증의 예방과 치료에 사용된다.[22][23] 예방 목적으로 저용량을 투여할 수 있으며, 유두의 통증이나 민감해지는 느낌처럼 증상이 나타나는 시점에 사용하기도 한다. 클로미펜이나 기타 방향화효소 억제제 등의 다른 약은 호르몬 관련 부작용을 피하기 위해 비슷한 목적으로 타목시펜 대신 사용할 수 있다.
각주
[편집]- ↑ “Tamoxifen”. 《Drugs.com》. 2013년 11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가 나 “Tamoxifen Citrate”. 《NCI》. August 26, 2015. 4 January 2016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8 November 2015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Tamoxifen Citrate”. 《The American Society of Health-System Pharmacists》. 2014년 1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7 Nov 2015에 확인함.
- ↑ “Selective estrogen receptor modulators”. 9 December 2013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8 November 2015에 확인함.
- ↑ Dueñas-Díez, edited by Antonio Cano Sanchez, Joaquim Calaf i Alsina, José-Luis (2006). 《Selective Estrogen Receptor Modulators a New Brand of Multitarget Drugs》. Berlin, Heidelberg: Springer-Verlag Berlin Heidelberg. 52쪽. ISBN 9783540347422.
- ↑ Quirke, Viviane M. (2017년 9월 12일). “Tamoxifen from Failed Contraceptive Pill to Best-Selling Breast Cancer Medicine: A Case Study in Pharmaceutical Innovation”. 《Front. Pharmacol.》 8: 620. doi:10.3389/fphar.2017.00620. PMC 5600945. PMID 28955226.
- ↑ Jordan VC (Jan 2006). “Tamoxifen (ICI46,474) as a targeted therapy to treat and prevent breast cancer”. 《British Journal of Pharmacology》. 147 Suppl 1 (Suppl 1): S269–76. doi:10.1038/sj.bjp.0706399. PMC 1760730. PMID 16402113.
- ↑ “WHO Model List of Essential Medicines (19th List)” (PDF). 《World Health Organization》. April 2015. 13 December 2016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8 December 2016에 확인함.
- ↑ “Tamoxifen Citrate”. 《International Drug Price Indicator Guide》. 2018년 1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1월 28일에 확인함.
- ↑ “The Top 300 of 2019”. 《clincalc.com》. 2018년 12월 22일에 확인함.
- ↑ Thomas B, Magos A (2009). “Modern management of dysmenorrhoea”. 《Trends in Urology, Gynaecology & Sexual Health》 14 (5): 25–29. doi:10.1002/tre.120.
- ↑ Jordan VC (October 1993). “Fourteenth Gaddum Memorial Lecture. A current view of tamoxifen for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breast cancer”. 《British Journal of Pharmacology》 110 (2): 507–517. doi:10.1111/j.1476-5381.1993.tb13840.x. PMC 2175926. PMID 8242225.
- ↑ Romero SA, Young K, Hickey M, Su HI (December 2020). “Levonorgestrel intrauterine system for endometrial protection in women with breast cancer on adjuvant tamoxifen”.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12 (2): CD007245. doi:10.1002/14651858.CD007245.pub4. PMC 8092675. PMID 33348436.
- ↑ “Breast cancer in men”. 《CancerHelp UK》. Cancer Research UK. 2007년 9월 28일. 2008년 12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3월 22일에 확인함.
- ↑ Center for Drug Evaluation and Research (2005년 7월 7일). “Tamoxifen Information: reducing the incidence of breast cancer in women at high risk”.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07년 6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7월 3일에 확인함.
- ↑ Burstein HJ, Temin S, Anderson H, Buchholz TA, Davidson NE, Gelmon KE, 외. (July 2014). “Adjuvant endocrine therapy for women with hormone receptor-positive breast cancer: american society of clinical oncology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cused update”.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32 (21): 2255–2269. doi:10.1200/JCO.2013.54.2258. PMC 4876310. PMID 24868023.
- ↑ National Cancer Institute (2006년 4월 26일). “Study of Tamoxifen and Raloxifene (STAR) Trial”. U.S.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2007년 7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7월 3일에 확인함.
- ↑ University of Pittsburgh. “STAR Study of Tamoxifen and Raloxifen”. 2007년 6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7월 3일에 확인함.
- ↑ Love S (2006년 4월 22일). “Study Finds New Use for Raloxifene: Reducing Breast Cancer in High-Risk Postmenopausal Women”. 2009년 8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3월 19일에 확인함.
- ↑ Steiner AZ, Terplan M, Paulson RJ (June 2005). “Comparison of tamoxifen and clomiphene citrate for ovulation induction: a meta-analysis”. 《Human Reproduction》 20 (6): 1511–1515. doi:10.1093/humrep/deh840. PMID 15845599.
- ↑ Chua ME, Escusa KG, Luna S, Tapia LC, Dofitas B, Morales M (September 2013). “Revisiting oestrogen antagonists (clomiphene or tamoxifen) as medical empiric therapy for idiopathic male infertility: a meta-analysis”. 《Andrology》 1 (5): 749–757. doi:10.1111/j.2047-2927.2013.00107.x. PMID 23970453. S2CID 38345293.
- ↑ Lapid O, van Wingerden JJ, Perlemuter L (2013). “Tamoxifen therapy for the management of pubertal gynecomastia: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Pediatric Endocrinology & Metabolism》 26 (9–10): 803–807. doi:10.1515/jpem-2013-0052. PMID 23729603. S2CID 2101602.
- ↑ Viani GA, Bernardes da Silva LG, Stefano EJ (July 2012). “Prevention of gynecomastia and breast pain caused by androgen deprivation therapy in prostate cancer: tamoxifen or radiotherapy?”. 《International Journal of Radiation Oncology, Biology, Physics》 83 (4): e519–e524. doi:10.1016/j.ijrobp.2012.01.036. PMID 22704706.
외부 링크
[편집]- (영어) 타목시펜 - Curlie
- U.S.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Medical Genetics Summaries - Tamoxifen Therapy and CYP2D6 Genotyp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