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테이너

협동일관용기(영어: intermodal container 인터모달 컨테이너[*])는 화물운송에 주로 시용하는, 쇠로 만든 큰 상자로, 협동일관운송에 사용될 목적으로 설계해 제조되는 표준화된 선적용기다. 한국어로는 통상 그냥 컨테이너(container)라고 한다. 영어로는 컨테이너(container), 카고(cargo), 프레이트(freight), 국제표준 컨테이너(ISO containter) 등 각종 명칭으로 통칭한다. 협동일관이란 서로 다른 운송수단, 즉 선박· 철도·트럭를 막론하고 옮겨 실을 때마다 내용물을 꺼냈다가 다시 포장할 필요 없이 이 컨테이너째로 싣고 내릴 수 있다는 의미다.[1] 현재 협동일관운송은 전세계적으로 아주 대규모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중심을 이 컨테이너가 지키고 있다. 물론 그보다 작은 규모에서의 운송에서도 널리 쓰인다. 컨테이너를 운송하는 화물선을 컨테이너선이라 한다.
컨테이너는 그 종류도 다양하고 각 종류마다 표준화되어 있다. 하지만 전 세계 컨테이너의 90%는 내후성강으로 만들어 길이 20 피트(6 미터) 또는 그 두 배인 40 피트(12 미터)인 컨테이너가 차지하고 있다. 이 컨테이너를 소위 건화물(dry freight) 컨테이너, 또는 범용(general purpose) 컨테이너라고 부른다.[2][3] 건화물 컨테이너의 높이는 8 피트 6 인치(2.6 미터) 또는 9 피트 6 인치(2.9 미터)이며, 그 중 후자를 하이큐브(Hi-Cube) 컨테이너라고도 한다.[4]
2012년 기준으로 전세계에 2050만 여개의 컨테이너가 있다.[5] 컨테이너 화물은 전통적인 개품산적화물을 크게 대체했다. 2010년 기준 전 세계 해운무역의 60%가 컨테이너 운송이다.[6][7] 컨테이너로 대체되지 않은 전통 화물방식으로는 산적화물이 있다.
규격[편집]
형태는 보통 직육면체로 되어있고, 소유자와 연번 등을 나타내는 ISO 6346에 따른 표시가 문에 표시되어 있다.
크기[편집]
표준형(TEU)은 길이 20 피트 (6.1m), 폭 8 피트(2.4 m), 높이 8.5 피트(2.6 m)이나, 길이에 따라 40 피트(12.2 m), 40 피트 하이큐빅(높이9.5 피트(2.9 m)), 45 피트(13.7 m), 48 피트(14.6 m)와 53 피트(16.2 m) 등도 있다.
길이 | 폭 | 높이 | |||
---|---|---|---|---|---|
피트 | 미터 | 피트 | 미터 | 피트 | 미터 |
10′ | 3.048 | 8′ | 2.438 | 8'6" | 2.591 |
20′ | 6.096 | 8′ | 2.438 | 8'6" | 2.591 |
40′ | 12.192 | 8′ | 2.438 | 8'6" | 2.591 |
45′ | 13.716 | 8′ | 2.438 | 8'6" | 2.591 |
*1 피트 = 30.48 센티미터 |
무게[편집]
종류 | 규격별 | “공” 컨테이너 | “적” 컨테이너 |
---|---|---|---|
철제컨테이너(Standard) | 20′ | 2.08 ~ 2.25 | 20.32 |
40′ | 3.88 ~ 4.05 | 30.48 | |
철제컨테이너(Hard Top) | 20′ | 2.50 ~ 2.70 | 20.32 |
40′ | 3.90 ~ 4.10 | 30.48 | |
알미늄 컨테이너 | 20′ | 2.08 | 20.32 |
40′ | 2.91 ~ 3.09 | 30.48 |
용도[편집]
용도에 따라 형태가 다르다.[9]
일반 컨테이너[편집]
온도 조절기가 달려있지 않는 일반 화물의 운반에 쓰는 전형적인 컨테이너. 옆면은 수직 하중에 강한 요철 철판으로 되어 있다. 드라이 컨테이너(dry container)로도 불린다.
지붕없는 컨테이너[편집]
윗 부분이 열려 있어 기계나 철강 등을 싣는 데 쓰인다. 오픈탑 컨테이너(opentop container)로도 불린다.
사주(四柱) 컨테이너[편집]
기둥만 남기고 옆 벽과 위가 열린 컨테이너로 트럭이나 중장비, 목재류 운반에 쓰인다. 플랫랙 컨테이너(flat rack container)로도 불린다.
냉동 컨테이너[편집]
단열재로 보강되어 냉동장치를 갖추고 과일이나 냉동식품 등을 주로 운반한다. 리퍼 컨테이너(reefer container)로도 불린다.
탱크 컨테이너[편집]
일반 탱크를 갖고 있어 주로 액체 화물을 싣는다
기타[편집]
이동식 사무실이나 집, 전시장, 화장실 등으로 바꾸어 만들어 쓰는 경우도 있다.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 ↑ Lewandowski, Krzysztof (2016). “Growth in the Size of Unit Loads and Shipping Containers from Antique to WWI.”. Packaging Technology and Science. 29 (8–9): 451–478. doi:10.1002/pts.2231. ISSN 1099-1522.
- ↑ Dr. Jean-Paul Rodrigue. “World Container Production, 2007”. 《The Geography of Transport Systems》. Hofstra University. 2013년 7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7월 19일에 확인함.
- ↑ “Global Container Fleet”. 《www.worldshipping.org》. World Shipping Council. 2013. 2015년 5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7월 19일에 확인함.
- ↑ “Container sizes”. Shipsbusiness.com. 2013년 2월 1일에 확인함.
- ↑ “World Container Fleet Overview”. 《csiu.co》. CSI Container Services International. January 2014. 2015년 7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7월 18일에 확인함.
- ↑ “Container Shipping – Statistics & Facts”. 《Statista.com》. Statista Inc. 2014년 12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7월 27일에 확인함.
- ↑ Global Trade – World Shipping Council
- ↑ 국토해양부 항만정책과 (2011년 12월). “2011 항만편람”. 한국항만협회. 2016년 3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7월 9일에 확인함.
- ↑ 박창수 (2007년 3월 28일). “컨테이너 종류도 가지각색”. 《연합뉴스》 (한국일보). 2012년 7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3월 25일에 확인함.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