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테이너선
보이기

컨테이너선( - 船, 영어: container ship)은 컨테이너를 나르는 전용 화물선이다.
재래의 화물선은 잡화를 하나하나 쌓았으나, 규격형의 상자인 컨테이너에 화물을 넣고 그것을 적하물(積荷物)로 하면, 하역의 수수(手數)를 줄이는 이점이 있다. 천후(날씨)에 관계없이 하역이 되며, 하역 작업의 기계화가 되므로 정박 기간도 단축된다. 이로 인해 수송능력이 2배 이상으로 향상되고, 도난 예방도 되며 화물제작비도 대폭 절감되고 다시 철도 수송으로 직결할 수 있는 등, 수송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혁신적인 방법의 하나이다. 초기에는 수용량이 많지 않았으나 조선업의 발달로 더 커지게 되었다.
대형 컨테이너 선박 재원
[편집]- 대형 컨테이너 선박 재원[1]
선종 | TEU | DWT(톤) | 길이(m) | 선폭(m) | 흘수(m) |
---|---|---|---|---|---|
P&O Nedlloyd Southampton | 6,674 | 87,900 | 300 | 42.8 | 14.0 |
Sovereign Mearsk(1) | 6,600 | 98,000 | 347 | 42.8 | 14.5 |
Suez-Max ship | 11,989 | 157,935 | 400 | 50.0 | 17.0 |
15,000 TEU container ship | 15,000 | 220,000 | 400 | 66.0 | 15.0 |
Malacca-Max container ship | 18,154 | 242,800 | 400 | 66.0 | 21.0 |
컨테이너 선박의 단계별 세대추이
[편집]
- 컨테이너 선박의 단계별 세대추이[1]
구분 | 제1세대 | 제2세대 | 제3세대 | 제4세대 | 제5세대 | 제6세대 | 제7세대 | 제8세대 |
---|---|---|---|---|---|---|---|---|
길이(m) | 190 | 210 | 210 ~ 290 | 270 ~ 300 | 290 ~ 320 | 305 ~ 310 | 350 ~ 400 | 400 ~ |
속력(노트) | 16 | 23 | 23 | 24 ~ 25 | 25 | 25 | 26.5 | 25.5 |
선폭(m) | 27 | 32 | 32.5 | 32 ~ 35 | 35 ~ 40 | 40 ~ 45 | 45 ~ 50 | 50 ~ 60 |
흘수(m) | 9 | 10 | 11.5 | 13 ~ 14 | 15 | 15 ~ 16 | 15 ~ 16 | 16 ~ 20 |
적재량(TEU) | 1,000 | 2,000 | 3,000 | 4,000 내외 | 5,000 내외 | 6,000 내외 | 8,000 내외 | 10,000 이상 |
갑판적 | 2단 | 2 ~ 3단 | 3단 | 3 ~ 4단 | 4 ~ 5단 | 6단 | 6단 | 6 ~ 7단 |
9열 | 10 ~ 12열 | 11 ~ 13열 | 11 ~ 13열 | 12 ~ 14열 | 14 ~ 17열 | 17 ~ 18열 | 18 ~ 22열 | |
창내적 | 5 ~ 6단 | 6 ~ 7단 | 7 ~ 8단 | 8단 | 8단 | 8 ~ 9단 | 9단 | 9단 |
6 ~ 7열 | 7 ~ 9열 | 8 ~ 10열 | 9 ~ 11열 | 10 ~ 12열 | 12 ~ 14열 | 14열 | 14 ~ 18열 | |
시기 | 1960년대 | 1970년대 | 1980년대 | 1984년 | 1992년 | 1996년 | 2000년 | 2005년 이후 |
선형 | 개조선 | Full Container | Panamax | Post Panamax | Post Panamax | Super Post Panamax | Suezmax | Malaccamax |
- 1노트는 시속 1.852 km
각주
[편집]- ↑ 가 나 국토해양부 항만정책과 (2011년 12월). “2011 항만편람”. 한국항만협회. 2016년 3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7월 9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위키미디어 공용에 컨테이너선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참고 자료
[편집]![]() |
이 글은 선박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