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
![]() | |
---|---|
화석 범위: 백악기 전기 | |
![]() 복원도 | |
생물 분류ℹ️ | |
역: | 진핵생물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조룡강 |
목: | 용반목 |
아목: | 수각아목 |
하목: | 카르노사우루스하목 |
상과: | 알로사우루스상과 |
과: |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과 |
속: |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속 (Stromer, 1931) |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Carcharodontosaurus)는 중생대 백악기 전기에 살았던 육식공룡이다. 몸길이 12~12.5m, 무게는 7t으로 추정되며, 머리 길이만 해도 1.4m나 되었다. 이름의 의미는 "상어 이빨 도마뱀"으로, 상어의 이빨과 닮은 바나나 크기의 이빨에서 나온 이름이다.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는 모로코 켐켐층에서 발견되었으며, 이 지층의 최상위 포식자로 군림했을 것이다. 대부분의 다른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과 공룡들과 비슷하게 두개골은 좁고 가늘고, 이빨은 스테이크 나이프와 비슷해서 날카로운 이빨로 살점을 베어내는 방식으로 사냥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가장 큰 육식공룡으로 자주 거론되는 스피노사우루스와 같은 시기에 살았지만, 주요 먹이와 서식지가 겹치지 않았기 때문에 대중매체에 알려진 것과는 다르게 서로간의 마찰은 거의 없었을 것이다. 또한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의 주 사냥감으로 알려진 오우라노사우루스와는 서로 다른 시기에 살았기 때문에 공존하지도 않았다.
묘사
[편집]크기
[편집]에른스트 스트로머는 그의 표본 IPHG 1922 X46(현재 타메리랍토르라는 별개의 속으로 분류됨)을 바탕으로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가 티라노사우루스과 고르고사우루스와 크기가 비슷하다고 가설을 세웠다. 이 표본은 길이 8~9m로 추정되며, 현재의 완모식 표본(SGM Din-1)보다 15% 작다. 이 표본이 폭격으로 소실된 이후 새로 발견된 SGM Din-1이 완모식 표본으로 대체되었으며, 길이는12~12.5m, 체질량은 약 5~7mt로 추정된다.[1][2][3][4] 이로 인해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 사하리쿠스(C.saharicus)는 알려진 가장 큰 수각류 공룡과 육상 육식동물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5][2] 이후에 발견된 또다른 종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 이구이덴시스(C.iguidensis)는 더 이른 시기에 서식했다. 길이는 10m, 체질량은 4mt정도였으며, 모식종 사하리쿠스(C.saharicus)보다 작았다.[2]
고생물학
[편집]사냥 및 먹이
[편집]카르노사우루스하목의 치열은 뚜렷하며,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과 치아는 뚜렷하게 얇고 칼날 같은 치아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 치아는 얇고 뼈와 같은 단단한 표면에 대한 충격을 지속할 수 없을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위험은 치아의 치열에서 관찰되는 직선 가장자리, 약간의 반복된 끝, 그리고 정현파 모양으로 인해 더욱 악화된다. 이러한 특성에도 불구하고 치아는 여전히 작은 수각류보다 훨씬 더 견고하며 전체 크기 때문에 더 많은 압력을 받을 수 있다.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는 또한 치아 교체율이 높아 치아를 유지하는 데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는 기존의 뼈를 부수는 포유류와 달리 손상된 치아를 쉽게 교체할 수 있었다.[6][7]비슷한 경우의 알로사우루스에서는 뼈를 부수는 물림의 증거가 관찰되었으며, 물림 자국에서 볼 수 있듯이 다른 개체와 함께 의식적으로 얼굴을 물거나 스테고사우루스의 골반을 물었을 가능성이 있다.[8][9][10]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와 아크로칸토사우루스, 티라노사우루스 등 다른 거대한 수각류의 물린 힘이 분석되었다. 연구에 따르면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과는 같은 크기 등급임에도 불구하고 티라노사우루스보다 물린 힘이 훨씬 낮았다. 2022년 논문에서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 사하리쿠스의 앞쪽 물린 힘은 11,312뉴턴으로 추정되었으며, 뒤쪽 물린 힘은 25,449뉴턴이었다. 이는 티라노사우루스보다 훨씬 낮아서 뼈를 먹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11][12] 수각류의 두개골에 대한 유한한 요소 설명도 이루어졌으며, 이는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가 티라노사우루스과보다 부드러운 음식을 먹었다는 생각을 더욱 뒷받침한다.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 스피노사우루스, 아크로칸토사우루스의 사분면 근처 두개골의 뒤쪽 부분에서 많은 스트레스가 회복되었다. 이 수각류의 두개골은 작은 속에 비해 상대적인 스트레스 양이 더 많았다. 이는 거대한 분류군 (예: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의 두개골이 단단한 체격을 만드는 대신 무게를 절약하기 위해 큰 공압 구조를 가지고 있어 불안정했음을 나타낸다. 그러나 스피노사우루스와 수코미무스는 더 큰 물건 대신 가벼운 작은 먹이만 섭취할 수 있다는 더 큰 스트레스 값을 경험했으며,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의 더 강한 두개골은 스트레스를 유지하면서 물 수 있었다.[13]
볏 함수
[편집]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 알로사우루스, 아크로칸토사우루스와 같은 수각류는 목적이 알려지지 않은 눈물샘이 커졌다. 고생물학자 대니얼 추어는 이 볏이 개체 간의 "머리 부딪힘"에 사용되었다고 가설을 세웠지만, 얼마나 내구성이 있는지는 연구되지 않았다.[14]
각주
[편집]- ↑ Henderson, D.M.; Nicholls, R. (2015). “Balance and Strength—Estimating the Maximum Prey-Lifting Potential of the Large Predatory Dinosaur Carcharodontosaurus saharicus”. 《The Anatomical Record》 298 (8): 1367–1375. doi:10.1002/ar.23164. PMID 25884664. S2CID 19465614.
- ↑ 가 나 다 Paul, Gregory S. (2016). 《The Princeton Field Guide to Dinosaurs》. Princeton University Press. 103–104쪽. ISBN 978-1-78684-190-2. OCLC 985402380.
- ↑ Seebacher, Frank (2001년 3월 26일). “A new method to calculate allometric length-mass relationships of dinosaurs”. 《Journal of Vertebrate Paleontology》 21 (1): 51–60. doi:10.1671/0272-4634(2001)021[0051:ANMTCA]2.0.CO;2.
- ↑ Hurlburt, G. S.; Ridgely, R. C.; Witmer, L. M. (2013년 7월 5일). 〈Relative size of brain and cerebrum in Tyrannosaurid dinosaurs: an analysis using brain-endocast quantitative relationships in extant alligators〉. Parrish, M. J.; Molnar, R. E.; Currie, P. J.; Koppelhus, E. B. 《Tyrannosaurid Paleobiology》. Indiana University Press. 134–154쪽. ISBN 978-0-253-00947-0. 2013년 10월 20일에 확인함.
- ↑ Coria, Rodolfo A.; Currie, Philip J.; Ortega, Francisco; Baiano, Mattia A. (2020년 7월 1일). “An Early Cretaceous, medium-sized carcharodontosaurid theropod (Dinosauria, Saurischia) from the Mulichinco Formation (upper Valanginian), Neuquén Province, Patagonia, Argentina”. 《Cretaceous Research》 111: 104319. Bibcode:2020CrRes.11104319C. doi:10.1016/j.cretres.2019.104319. hdl:11336/122794. S2CID 214475057.
- ↑ Van Valkenburgh, Blaire (1988). “Incidence of Tooth Breakage Among Large, Predatory Mammals”. 《The American Naturalist》 131 (2): 291–302. doi:10.1086/284790. JSTOR 2461849. S2CID 222330098.
- ↑ Van Valkenburgh, Blaire (2008). “Costs of carnivory: tooth fracture in Pleistocene and Recent carnivorans”. 《Biolog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96 (1): 68–81. doi:10.1111/j.1095-8312.2008.01108.x. S2CID 85623961.
- ↑ Hone, David W. E.; Rauhut, Oliver W. M. (2010). “Feeding behaviour and bone utilization by theropod dinosaurs”. 《Lethaia》 43 (2): 232–244. Bibcode:2010Letha..43..232H. doi:10.1111/j.1502-3931.2009.00187.x. S2CID 86037076.
- ↑ Tanke, Darren H.; Currie, Phillip J. (1998). “Head-biting behavior in theropod dinosaurs: Paleopathological evidence”. 《Gaia》 (15): 167–184. doi:10.7939/R34T6FJ1P. S2CID 90552600.
- ↑ Drumheller, Stephanie K.; McHugh, Julia B.; Kane, Miriam; Riedel, Anja; D’Amore, Domenic C. (2020년 5월 27일). “High frequencies of theropod bite marks provide evidence for feeding, scavenging, and possible cannibalism in a stressed Late Jurassic ecosystem”. 《PLOS ONE》 15 (5): e0233115. Bibcode:2020PLoSO..1533115D. doi:10.1371/journal.pone.0233115. PMC 7252595. PMID 32459808.
- ↑ Sakamoto, Manabu (2022년 7월 12일). “Estimating bite force in extinct dinosaurs using phylogenetically predicted physiological cross-sectional areas of jaw adductor muscles”. 《PeerJ》 10: e13731. doi:10.7717/peerj.13731. PMC 9285543. PMID 35846881.
- ↑ Gignac, Paul M.; Erickson, Gregory M. (2017년 5월 17일). “The Biomechanics Behind Extreme Osteophagy in Tyrannosaurus rex”. 《Scientific Reports》 7 (1): 2012. Bibcode:2017NatSR...7.2012G. doi:10.1038/s41598-017-02161-w. PMC 5435714. PMID 28515439.
- ↑ Rayfield, Emily J. (2011). 〈Structural performance of tetanuran theropod skulls, with emphasis on the Megalosauridae, Spinosauridae and Carcharodontosauridae〉. 《STUDIES ON FOSSIL TETRAPODS》. Palaeontological Association. 241–253쪽. hdl:1983/aaaea1c8-8c3a-4f99-abd6-982b47664aac. ISBN 978-1-4443-6189-6.
- ↑ Chure, Daniel (2000). “On the orbit of theropod dinosaurs.”. 《Gaia》 15: 233–240.
외부 링크
[편집]- Stromer, Ernst (1934). “Ergebnisse der Forschungsreisen Prof. E. Stromers in den Wüsten Ägyptens. II. Wirbeltier-Reste der Baharije-Stufe (unterstes Cenoman). 13. Dinosauria” (PDF). 《Abhandlungen der Bayerischen Akademie der Wissenschaften Mathematisch-naturwissenschaftliche Abteilung》. Neue Folge (독일어) 22: 1–79.
- Taquet, Philippe (1976). 《Géologie et paléontologie du gisement de Gadoufaoua (aptien du Niger)》 (프랑스어). Éditions du Centre national de la recherche scientifique. ISBN 978-2-222-02018-9.
- Nothdurft, William; Smith, Josh (2002). 《The Lost Dinosaurs of Egypt》. New York: Random House Publishing Group. ISBN 978-1-58836-117-2.
- Ibrahim, Nizar; Sereno, Paul C.; Varricchio, David J.; Martill, David M.; Dutheil, Didier B.; Unwin, David M.; Baidder, Lahssen; Larsson, Hans C. E.; Zouhri, Samir; Kaoukaya, Abdelhadi (2020). “Geology and paleontology of the Upper Cretaceous Kem Kem Group of eastern Morocco”. 《ZooKeys》 (928): 1–216. Bibcode:2020ZooK..928....1I. doi:10.3897/zookeys.928.47517. PMC 7188693. PMID 323627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