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포속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Infobox plantae.png
창포속
창포(Acorus calamus)
창포(Acorus calamus)
생물 분류ℹ️
계: 식물계
(미분류): 속씨식물군
(미분류): 외떡잎식물군
목: 창포목
Acorales
Mart., 1835
과: 창포과
Acoraceae
Martinov, 1820
속: 창포속
Acorus
L., 1753
모식종
창포(Acorus calamus L.)

창포속(菖蒲屬, 학명: Acorus 아코루스[*])은 외떡잎식물군단형 창포목(菖蒲目, 학명: Acorales 아코랄레스[*])의 단형 창포과(菖蒲科, 학명: Acoraceae 아코라케아이[*])에 속하는 유일한 이다.[1][2][3]

생물학적 설명[편집]

습지를 선호하는 작은 다년생 뿌리줄기 초본은 강둑, 소궁 주변, 습지 가장자리에 서식한다. 성체 식물의 높이는 일부 곡물 창포 재배종의 경우 10cm부터 일반 창포의 경우 120cm까지 다양하다. 식물의 모든 부분이 희미하고 기분 좋은 향기를 내뿜는다.

뿌리줄기는 굵고, 살금살금, 수평, 갈색을 띠며, 최대 3cm 두께에 속은 화이트 핑크색이며, 먹을 수 있으며, 기분 좋은 계피 또는 만다린 향이 난다. 수평으로 뻗은 뿌리줄기는 바닥에 뿌리가 있고 윗부분에는 잎과 꽃차례가 있다. 줄기는 직립하고 가지가 없고 삼각형이며 날카로운 모서리가 있다.

잎은 길고, 선형의 그물 모양이며, 랜솔레이트 모양의 밝은 녹색이다. 잎은 부채처럼 뿌리줄기에 배열되어 있으며, 모양은 홍채의 잎과 비슷하다. 잎은 주줄기를 감싸며 서로 자라서 잎의 가운데에서 꽃차례가 나타나는 것처럼 보인다. 창포의 잎이 갈라진 틈은 특유의 매운 냄새를 풍기며 습한 음을 낸다.

꽃은 이른 봄에 피며,[4] 꽃은 4~12cm 길이의 원통형 잎자루에 모여 있으며, 많은 꽃들이 하나의 잎자루에서 자란다. 긴 잎(최대 50cm)이 코브 밑부분에서 자란다. 꽃은 양성이며 작고 녹색을 띤 노란색이며, 둘레는 2개의 좁은 비늘 모양의 잎사귀이다. 6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다. 스티그마는 꽃에서 먼저 성숙하는 반면, 다른 꽃은 스티그마가 꽃가루를 받는 능력을 잃은 후에야 열린다. 꽃이 피는 것이 항상 열매의 형성으로 끝나는 것은 아니다.

열매는 다종자이고, 말린 타원형이며, 붉은색 또는 녹색의 열매이다. 열매는 동물이 퍼뜨리는 동물체부착전파성은 창포의 특징이다.

염색체 수: 2n = 24.[5]

효용[편집]

과학 의학, 향수, 식품 산업에서 뿌리줄기에서 추출한 청포 오일을 사용한다(뿌리줄기의 함량은 4.5%에 달한다).[6] 생으로 말린 뿌리줄기와 잎은 민간 의학뿐만 아니라 요리 목적(음식 향료)으로도 사용된다. 19세기에는 건조하고 설탕에 절인 청포의 뿌리줄기가 별미로 여겨졌다.



하위 분류[편집]

계통 분류[편집]

다음은 외떡잎식물군의 계통 분류이다.[7]

외떡잎식물군

창포목

택사목

페트로사비아목

마목

판다누스목

백합목

비짜루목

닭의장풀군

종려목

벼목

생강목

닭의장풀목

2016년 APG IV 분류 체계에서는 창포과만을 포함하는 창포목을 외떡잎식물군 아래에 분류하며,[8] 이는 2009년 APG III 분류 체계, 2003년 APG II 분류 체계 및 1998년 APG 분류 체계의 분류와 동일하다.[9][10][11]

효용[편집]

과학 의학, 향수, 식품 산업에서 뿌리줄기에서 추출한 청포 오일을 사용한다(뿌리줄기의 함량은 4.5%에 달한다).[12] 생으로 말린 뿌리줄기와 잎은 민간 의학뿐만 아니라 요리 목적(음식 향료)으로도 사용된다. 19세기에는 건조하고 설탕에 절인 청포의 뿌리줄기가 별미로 여겨졌다.


각주[편집]

  1. Martius, Carl Friedrich Philipp von. Conspectus regni vegetabilis: secundum characteres morphologicos praesertim carpicos in classes ordines et familias digesti, adjectis exemplis nominibusque plantarum usui medico technico et oeconomico inservientium 6. 1835.
  2. Martinov, Ivan Ivanovič. Tekhno-Botanicheskīĭ Slovar': na latinskom i rossīĭskom iazykakh. Sanktpeterburgie 6. 1820.
  3. Linnaeus, Carl von. Species Plantarum 1: 324. 1753.
  4. “Sweet Flag family (Acoraceae)”. illinoiswildflowers.info. 2022년 12월 25일에 확인함. 
  5. “Chromosome Number Variation in Iranian Populations of Acorus calamus”. researchgate.net. 2022년 12월 25일에 확인함. 
  6. “6 Terrific Reasons Why You Should Have Calamus Essential Oil”. biofinest.com. 2023년 01월 25일에 확인함. 
  7. Angiosperm Phylogeny Group (2016).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V”. 《Botan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doi:10.1111/boj.12385. 2016년 4월 1일에 확인함. 
  8. Angiosperm Phylogeny Group; Byng, James W.; Chase, Mark W.; Christenhusz, Maarten J. M.; Fay, Michael F.; Judd, Walter S.; Mabberley, David J.; Sennikov, Alexander N.; Soltis, Douglas E.; Soltis, Pamela S.; Stevens, Peter F. (2016).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V” (PDF). 《Botan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영어) 181 (1): 1‒20. doi:10.1111/boj.12385. 
  9. Angiosperm Phylogeny Group; Bremer, Birgitta; Bremer, Kåre; Chase, Mark W.; Fay, Michael F.; Reveal, James L.; Soltis, Douglas E.; Soltis, Pamela S.; Stevens, Peter F. (2009).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II” (PDF). 《Botan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영어) 161 (2): 105‒121. doi:10.1111/j.1095-8339.2009.00996.x. 
  10. Angiosperm Phylogeny Group; Bremer, Birgitta; Bremer, Kåre; Chase, Mark W.; Reveal, James L.; Soltis, Douglas E.; Soltis, Pamela S.; Stevens, Peter F. (2003).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I” (PDF). 《Botan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영어) 141 (4): 399‒436. doi:10.1046/j.1095-8339.2003.t01-1-00158.x. 
  11. Angiosperm Phylogeny Group; Bremer, Kåre; Chase, Mark W.; Stevens, Peter F. (1998). “An Ordinal Classification for the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PDF). 《Annals of the Missouri Botanical Garden》 (영어) 85 (4): 531‒553. doi:10.2307/2992015. 
  12. “Identification of Insecticidal Constituents of the Essential Oil of Acorus calamus Rhizomes against Liposcelis bostrychophila Badonnel”. mdpi.com. 2023년 3월 10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