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로소소마목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 Staphylea colchica | ||||||||||
생물 분류 | ||||||||||
---|---|---|---|---|---|---|---|---|---|---|
| ||||||||||
과 | ||||||||||
|
크로소소마목은 APG 분류 체계에서 새롭게 인정되고 있는 속씨식물군의 목이다. 장미군(Rosids) 내에 포함되어 있으며 진정쌍떡잎식물군의 일부이다. 다음의 3개 과가 여기에 속한다:
아래와 같이, 2009년에 발표된 APG III 분류 체계는 이 목에 더 많은 과를 포함시킨다.
- 아플로이아과 (Aphloiaceae)
- 크로소소마과 (Crossosomataceae)
- 게이솔로마과 (Geissolomataceae)
- 구아마텔라과 (Guamatelaceae)
- 통조화과 (Stachyuraceae)
- 고추나무과 (Staphyleaceae)
- 스트라스부르게리아과 (Strasburgeriaceae) - 이전의 익서바과 (Ixerbaceae)를 포함
크론퀴스트 분류 체계에서, 이 과들은 장미목, 제비꽃목, 무환자나무목에 각기 속해 있었다.
게다가 4개의 속 아플로이아속(Aphloia), 게이솔로마속(Geissoloma), 익서바속(Ixerba), 스트라스부르게리아속(Strasburgeria)은 일부의 연구자들[1] 에 의해 크로소소마목의 하위 과로 격상되어 분류되었다.
- 아플로이아과 (Aphloiaceae)
- 게이솔로마과 (Geissolomataceae)
- 익서바과 (Ixerbaceae)
- 스트라스부르게리아과 (Strasburgeriaceae)
계통 분류[편집]
다음은 장미군 속씨식물의 계통 분류이다.[2]
장미군 |
| ||||||||||||||||||||||||||||||||||||||||||||||||||||||||||||||||||||||||||||||||||||||||||||||||
각주[편집]
- ↑ Matthews M.R, Endress P.K, Botan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2005). “Comparative floral structure and systematics in Crossosomatales (Crossosomataceae, Stachyuraceae, Staphyleaceae, Aphloiaceae, Geissolomataceae, Ixerbaceae, Strasburgeriaceae)” 147 (1): 1–46. doi:10.1111/j.1095-8339.2005.00347.x. (Abstract)
- ↑ Angiosperm Phylogeny Group (2016).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V”. 《Botan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doi:10.1111/boj.12385. 2016년 4월 1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