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칼루이트
이칼루이트 ᐃᖃᓗᐃᑦ City of Iqaluit | |
---|---|
2010년 6월의 이칼루이트 | |
별칭 | Frobisher Bay |
행정 | |
국가 | ![]() |
지역 | 키키크탈루크 지역(Qikiqtaaluk Region) |
행정 구역 | 누나부트 준주 |
역사 | |
설립 | 1942 |
지리 | |
면적 | 52.50 km2 |
세부 면적 | 9.55 km2 |
시간대 | EST (UTC-5) EDT (UTC-4), 서머 타임 |
인문 | |
인구 | 7,740명(2016년) |
인구 밀도 | 150명/km2 |
상징 | |
표어 | Iqalummiut |
지역 부호 | |
우편번호 | X0A 0H0, X0A 1H0 |
지역번호 | 867 |
웹사이트 | http://www.city.iqaluit.nu.ca/ |
이칼루이트(이누크티투트어: ᐃᖃᓗᐃᑦ, 영어, 프랑스어: Iqaluit)는 캐나다 누나부트 준주의 주도로, 배핀섬 남쪽 해안에 위치해 있다. 북극권의 바깥에 위치하고 있지만 매우 가까우며, 툰드라 기후에 속한다.
역사
[편집]해당 지역은 수천 년간 이누이트의 낚시 장소로 사용되어 왔기 때문에 이누이트어로 많은 물고기의 장소라는 뜻인 "이칼루이트"라는 이름이 붙게 되었다.[1] 1576년, 영국의 탐험가 마틴 프로비셔(Martin Frobisher)가 이곳에 도달했고, 그는 이곳을 중국으로 향하는 육로로 생각했다.
이후 1942년에는 미 공군 기지가 지어졌고, 이때 활주로로 쓰이기 알맞은 평야 지역을 선정하는 것을 돕던 이누이트족 출신 나카수크(Nakasuk)가 최초로 영구 거주를 하게 되었다. ICBM의 개발로 이칼루이트 지역의 전략적 중요성이 낮아지자 미 공군은 1963년 이 지역에서 철수했지만, 당시 프로비셔 만(Frobisher Bay) 지역으로 불리던 이칼루이트 지역은 동부 북극권 지역의 행정, 교통상 중심지로 남게 되었다. 1987년, 시의 이름이 "프로비셔 만"에서 "이칼루이트"(Iqaluit)로 변경되었다.
주민
[편집]2016년의 인구조사에 따르면, 2011년 조사의 수치보다 15.5% 증가한 수치인 7,740명이 이칼루이트에 거주한다.[2] 이는 캐나다의 주도 중 가장 작은 인구 수이다. 인구의 대부분은 도시의 중심지에 모여 산다.
이칼루이트 인구의 민족집단별 비율은 다음과 같다:
- 61.2% 캐나다 원주민; 59.1% 이누이트, 1.0% 퍼스트 네이션, 1.0% 원주민-유럽인 혼혈(메티, Métis)
- 34.4% 백인(유럽계)
- 1.1% 흑인(아프리카계)
- 1.1% 동남아시아계; 0.9% 필리핀계
- 0.9% 동아시아계; 0.8% 중국계, 0.2% 한국계
- 0.8% 남아시아계
- 0.2% 라틴 아메리카계
- 0.2% 아랍계
- 0.2% 혼혈; 메티(Métis)를 포함할 시 1.1%
연도 | 인구 | ±% |
---|---|---|
1971 | 2,014 | — |
1981 | 2,333 | +15.8% |
1991 | 3,552 | +52.3% |
1996 | 4,220 | +18.8% |
2001 | 5,236 | +24.1% |
2006 | 6,184 | +18.1% |
2011 | 6,699 | +8.3% |
2016 | 7,740 | +15.5% |
언어
[편집]이칼루이트에는 지배적인 언어가 있지 않다. 45.4%의 주민이 영어를 모어로 밝혔으나, 45.4%가 또한 이누크티투트어를 모어로 밝혔다. 하지만 주민의 97.2%가 영어를 구사할 수 있는데 반해, 주민의 53.1%만이 이누크티투트어를 구사할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되어 영어가 전반적으로 주된 언어로 생각될 수 있다. 인구의 4.8%는 프랑스어를 모어로 가지기도 한다.
교육
[편집]25세 이상의 인구 중 5.7%가 고등교육을 받았고, 59.8%는 중등과정 이상의 교육을 받았다. 한편 24.3%는 자격증, 졸업장, 학위를 가지고 있지 않다.
기후
[편집]이칼루이트 (이칼루이트 공항)의 기후 | |||||||||||||
---|---|---|---|---|---|---|---|---|---|---|---|---|---|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역대 최고 기온 °C (°F) | 3.9 (39.0) |
5.7 (42.3) |
4.2 (39.6) |
7.2 (45.0) |
13.3 (55.9) |
22.7 (72.9) |
26.8 (80.2) |
25.5 (77.9) |
18.4 (65.1) |
9.1 (48.4) |
5.6 (42.1) |
3.8 (38.8) |
26.8 (80.2) |
일평균 최고 기온 °C (°F) | −22.0 (−7.6) |
−22.9 (−9.2) |
−17.6 (0.3) |
−8.9 (16.0) |
−0.3 (31.5) |
7.0 (44.6) |
12.0 (53.6) |
11.1 (52.0) |
5.6 (42.1) |
−0.5 (31.1) |
−7.5 (18.5) |
−14.7 (5.5) |
−4.9 (23.2) |
일일 평균 기온 °C (°F) | −26.0 (−14.8) |
−27.0 (−16.6) |
−22.4 (−8.3) |
−13.5 (7.7) |
−3.2 (26.2) |
3.9 (39.0) |
8.1 (46.6) |
7.5 (45.5) |
2.9 (37.2) |
−3.2 (26.2) |
−11.1 (12.0) |
−18.9 (−2.0) |
−8.6 (16.5) |
일평균 최저 기온 °C (°F) | −29.9 (−21.8) |
−31.0 (−23.8) |
−27.2 (−17.0) |
−18.1 (−0.6) |
−6.1 (21.0) |
0.7 (33.3) |
4.2 (39.6) |
3.8 (38.8) |
0.2 (32.4) |
−5.8 (21.6) |
−14.7 (5.5) |
−23.0 (−9.4) |
−12.2 (10.0) |
역대 최저 기온 °C (°F) | −45.0 (−49.0) |
−49.0 (−56.2) |
−44.7 (−48.5) |
−34.2 (−29.6) |
−26.1 (−15.0) |
−10.2 (13.6) |
−2.8 (27.0) |
−2.5 (27.5) |
−12.8 (9.0) |
−27.1 (−16.8) |
−36.2 (−33.2) |
−43.4 (−46.1) |
−45.6 (−50.1) |
최저 체감온도 기록 | −65.5 | −66.4 | −62.1 | −53.1 | −36.0 | −18.8 | −7.2 | −8.6 | −18.6 | −42.9 | −56.8 | −60.1 | −66.4 |
평균 강수량 mm (인치) | 16.3 (0.64) |
14.0 (0.55) |
21.4 (0.84) |
22.7 (0.89) |
21.0 (0.83) |
48.7 (1.92) |
39.8 (1.57) |
61.7 (2.43) |
50.8 (2.00) |
30.2 (1.19) |
18.5 (0.73) |
16.2 (0.64) |
361.2 (14.22) |
평균 강우량 mm (인치) | 0.4 (0.02) |
0.1 (0.00) |
0.0 (0.0) |
0.0 (0.0) |
3.3 (0.13) |
46.1 (1.81) |
44.4 (1.75) |
65.5 (2.58) |
43.9 (1.73) |
12.3 (0.48) |
0.7 (0.03) |
0.0 (0.0) |
216.6 (8.53) |
평균 강설량 cm (인치) | 19.4 (7.6) |
15.1 (5.9) |
20.6 (8.1) |
23.8 (9.4) |
23.0 (9.1) |
3.8 (1.5) |
0.0 (0.0) |
0.1 (0.0) |
8.5 (3.3) |
21.1 (8.3) |
25.9 (10.2) |
28.8 (11.3) |
190.0 (74.8) |
평균 강수일수 (≥ 0.2 mm) | 12.1 | 10.7 | 12.4 | 12.8 | 10.6 | 12.3 | 12.4 | 14.3 | 15.7 | 13.2 | 12.5 | 12.8 | 151.5 |
평균 강우일수 (≥ 0.2 mm) | 0.06 | 0.06 | 0.06 | 0.06 | 1.7 | 10.7 | 13.1 | 14.8 | 13.2 | 3.8 | 0.24 | 0.0 | 57.7 |
평균 강설일수 (≥ 0.2 cm) | 10.1 | 8.8 | 8.7 | 9.6 | 8.7 | 2.1 | 0.06 | 0.12 | 3.7 | 9.8 | 11.9 | 12.7 | 86.3 |
평균 상대 습도 (%) | 68.1 | 67.6 | 68.9 | 74.6 | 77.3 | 74.6 | 72.9 | 73.5 | 75.2 | 78.7 | 78.4 | 74.3 | 73.7 |
평균 월간 일조시간 | 32.4 | 94.0 | 172.2 | 216.5 | 180.5 | 200.2 | 236.8 | 156.8 | 87.9 | 51.4 | 35.6 | 12.6 | 1,476.8 |
가능 일조율 | 18.5 | 39.0 | 47.4 | 48.2 | 31.9 | 32.5 | 39.3 | 31.0 | 22.4 | 16.8 | 17.7 | 8.9 | 29.5 |
출처: 캐나다 환경기후변화부 (평년값: 1991년~2020년, 극값: 1946년~현재, 일조: 1981년~2010년)[3][4] |
교통
[편집]이칼루이트는 캐나다에서 유일하게 다른 도시까지 고속도로로 연결되어 있지 않은 주도이다. 도시에 위치한 이칼루이트 공항(Iqaluit Airport)는 대부분의 제트기를 착륙시킬 수 있는 활주로를 지닌 현대식 시설이다.
대부분의 주요 도로는 아스팔트로 포장되어 있으나, 작은 도로들은 자갈 등으로 된 비포장도로인 것이 일반적이다. 시내의 표지판에는 영어와 이누크티투트어로 동시에 안내 사항이 쓰여있는 경우가 많다.

각주
[편집]- ↑ About Iqaluit: History & Milestones
- ↑ "Census Profile, 2016 Census". Statistics Canada. 2017-03-02 확인됨.
- ↑ “Iqaluit (composite station threads)”. 《Canadian Climate Normals 1991–2020 Data》. 캐나다 환경기후변화부. 2024년 4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9월 29일에 확인함.
- ↑ “Iqaluit A”. 《Canadian Climate Normals 1981–2010》. 캐나다 환경기후변화부. 2011년 10월 31일. Climate ID: 2402590. 2017년 5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2월 24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영어) 공식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