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봉상 (1916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봉상
李鳳商
신상정보
별칭 아호는 석정(石鼎)
출생 1916년 7월 27일(1916-07-27)
일제 강점기 조선 경성부
사망 1970년 8월 4일(1970-08-04)(54세)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직업 서양화가
학력 경성사범학교
활동기간 1929년 ~ 1970년
주요 작품
영향

이봉상(李鳳商, 1916년 7월 27일 ~ 1970년 8월 4일)은 대한민국의 서양화가이다. 아호는 석정(石鼎)이다.

생애[편집]

경성부 출신으로 서울대학교 사범대학의 전신인 경성사범학교를 졸업했다. 독학으로 미술을 공부하여 1929년 조선미술전람회에 유화 작품을 입선시키면서 등단했다.

일제 강점기 말기에 친일 미술단체인 단광회에 참여했고, 관제 전시회인 결전미술전에도 〈진격〉, 〈짧은 휴식〉 등의 작품을 출품하여 2008년 민족문제연구소가 정리한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미술 부문에 선정되었다.

한국 전쟁 중에는 1952년 이중섭 등과 함께 피난지인 부산에서 기조전(其潮展)을 열었고, 이후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교수와 학과장을 지냈다. 서양화 구상 계열에서 대한민국 화단에 많은 영향을 미쳤으며 미술평론가로도 활발히 활동했다. 젊은 화가들을 위해 설치한 앙가주망 작업실에서는 이만익, 윤명로 등의 화가가 배출되기도 했다.[1]

이봉상은 비교적 오랜 기간 활동하면서 화풍에도 시기에 따른 변화를 보였다. 초기에는 사실주의에 입각한 인상파적 작품을 남겼고, 1950년대 이후에는 야수파를 연상시키는 대담한 붓질과 색채로 표현주의적인 성향을 보였다. 후기에는 설화적 소재를 도입하면서 점차 추상성이 강조되는 방향으로 변화했다. 흰색으로 두터운 바탕을 먼저 만든 뒤 그 위에 이미지를 구성하는 기법도 선보였는데, 이는 박수근이 시도한 기법과 유사하다.[2]

인간 관계[편집]

서양화가 임응구(林應九, 1907년 9월 13일 출생 ~ 1994년 사망)의 아우인 사진작가 임응식(林應植, 1912년 11월 11일 출생 ~ 2001년 1월 18일 사망)과 오랜 친구 관계를 맺었다.

같이 보기[편집]

참고자료[편집]

각주[편집]

  1. 이세기 (2001년 6월). “우리만의 어법, 한국적인 화풍 이룩한 화가 李滿益” (PDF). 《문화예술》. 2005년 4월 27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10월 31일에 확인함. 
  2. 오광수 (2002년 4월 30일). 〈제5장 박수근 예술의 특성〉. 《박수근》. 서울: 시공사. ISBN 89-527-104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