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백과:한국 위키미디어 협회/위키 꿀팁 공유의 날
위키백과를 편집하면서 단순 반복 작업에 지칠 때가 있습니다.
다른 언어 위키백과의 문서의 내용을 한국어 위키백과에 특정 부분만 쏙쏙 번역하는 방법. 공용에 어지럽게 널려있는 파일들을 깔끔하게 분류 별로 집어넣을 수 있는 방법. 이런 것들을 간단하게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면 믿어지시나요?
한국 위키미디어 협회 회원이 되고자 하는 위키미디어 사용자 분들도 환영합니다! |
개요[편집]
- 일시 : 2023년 7월 1일 (토) 오후2시 ~ 6시
- 장소 : 신도림역 다온 소회의실
- 주제 : 위키 편집을 편하게 하는 다양한 편집 도구 사용법
- 준비물 : 개인별 노트북 지참
시간 | 발표 및 시연 | 발표자 |
---|---|---|
2:00 ~ 2:30 | 가벼운 티타임 | |
2:30 ~ 3:10 | 쉽고 빠른 위키미디어 공용 파일 이동 | 이강철 |
3:20 ~4:00 | 매끄러운 번역을 위한 소소한 팁 | 이범수 |
4:10 ~4:50 | 위키 내부 번역기의 유용한 팁 | 진주완 |
5:00 ~ 6:00 | 자유 활동 |
참가 신청[편집]
- Jjw (토론)
- *Youngjin (토론)
- Song Chang-seok (토론)
- LubięPolska(루비엥폴스카) (토론)
- YellowTurtle9 (토론)
- Vela* (토론 / 기여)
- Striker9498 (토론)
- 뚜껑이 (토론)
- 이강철 (토론)
사진[편집]
활동 내용[편집]

7월 1일 한국 위키미디어 협회 회원의 날 위키 꿀팁 공유의 날 모임이 서울 신도림역 다온 소회의실에서 열렸습니다.
첫번째 주제인 '쉽고 빠른 위키미디어 공용 파일 이동’의 경우, 파일 이동 및 분류 생성의 편리를 어떻게 더할 수 있는지에 대한 도움말이었습니다.
두번째 및 세번째 주제는 둘다 번역에 대해 다루고 있었지만 꿀팁의 내용은 완전히 달랐습니다.
두번째 주제인 ‘매끄러운 번역을 위한 소소한 팁’은 위키 바깥에서 활용할 수 있는 번역기 소개, 타국어에 대응하는 한국어 단어 정하기, 여러 언어권에서 활동하는 인물의 인명 정하기 등을 다루었습니다.
세번째 주제인 위키 내부 번역기의 유용한 팁은 위키백과에 탑재된 ‘위키 내부 번역기’를 좀더 실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꿀팁을 나누었습니다. 이미 타언어판에 대응되는 한국어 위키백과 문서가 있더라도 내부 번역기를 활용할 수 있는 방법, 내부 번역기의 아쉬운 점을 보완할 수 있는 유용한 스킬을 나누었습니다.
어떤 꿀팁과 조언들이 오갔는지 아래에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 쉽고 빠른 위키미디어 공용 파일 이동
이강철 발표자는 위키미디어 공용에서 환경설정을 열어, 파일 이동 및 분류 편집이 쉽도록 함께 설정하였습니다.
검색 인터페이스를 Special:MediaSearch에서 Special:Search로 바꾼다
- 분류검색 및 생성에 도움이 된다.
소도구의 ‘인터페이스:파일과 분류’에서 ‘분류를 문서의 맨 위에 놓습니다.'에 체크한다.
- 사진의 분류를 확인할 때 매번 화면 맨아래까지 스크롤 하지 않아도 된다
소도구의 분류용 도구에서 Cat-a-lot과 HotCat에 체크한다.
- 화면 오른쪽 아래에 생긴 Cat-a-lot을 켜고 사진의 이름을 선택하면, 여러 사진의 분류를 이동·추가·제거 할 수 있다.
- 매끄러운 번역을 위한 소소한 팁
이범수 발표자는 번역에 도움이 되는 여러 위키 밖 도구를 소개하였습니다.
자가학습 AI를 통해 번역결과를 개선한 DeepL 번역기
다른 언어를 입력하면 한국어 발음을 제시해주는 한글라이즈
이범수 사용자 스스로 개척한 프랑스어 표기 팁
또한 어떤 개념을 부르는 단어의 한국어 번역어가 없을 경우, 한자 문화권인 중국어, 일본어 위키백과에서 어떤 표현을 사용하고 있는지 참고하는 것이 좋다고 하였습니다.
예시 - 영미 단위계 중 제국 단위계 (Imperial units)
- 한국어 위키백과 - (문서 없음)
- 중국어 위키백과 - 英制单位 (영제단위)
- 일본어 위키백과 - 帝国単位 (제국단위)
두번째 주제에서는 참가자들의 의견 개진이 활발했습니다.
YellowTurtle님은 축구 인명 및 지명 등을 번역할 경우가 많으신데, 특히 축구선수의 경우 아래와 같은 고민점이 있다고 하였습니다.
- 한 명의 축구선수가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리그를 여러차례 이적했을 경우에도 널리쓰이는 표기를 따른다.
- 축구선수의 출생지의 언어와 활동 지역의 언어가 다른 경우, 대체로 선수의 의향에 따른다.
- 예를 들어 브라질 출신 축구선수의 모어는 브라질식 포르투갈어이고, 프랑스 리그에서 활동하고 있다면, 브라질식 포르투갈어 발음으로 읽는다.
- 그럼에도 축구선수가 영어식 발음을 사용하겠다고 할 경우에도 그 뜻을 존중해준다.
- 축구 선수의 성과 이름이 서로 다른 언어의 발음을 따를 수 있다.
- 예) 거스 히딩크 (Guss-영어 발음, Hiddink-네달란드어 발음)
실제로 위의 한글라이즈를 사용하여 여러 축구선수의 인명을 시험해 보았습니다.
- 위키 내부 번역기의 유용한 팁
진주완 이사장님이 소개한 ‘위키 내부 번역기의 유용한 팁’은 번역기를 어떻게 하면 효율적으로 번역하는데 써먹을 수 있을까에 대해 다루었습니다.
첫번째 팁은 위키 내부 번역기는 별도의 저장공간을 사용하기에 또 하나의 연습장 처럼 사용할 수 있고, 게시 버튼을 누르기 전까지,위키백과 사용자 기여 기록에 남지 않기 때문에 유용합니다.
두번째 팁은 한국어 위키백과에 이미있는 문서를 보완할 때, 내부 번역기를 사용하는 방법입니다.이미 있는 문서도 번역 시작 버튼을 눌러 번역할 수 있지만 위키백과에 바로 저장할 수 없습니다.

그렇지만 장을 적절히 한국어 문법에 맞게 번역한 후, 복사하여 위키백과의 런던 아이 문서를 시각편집기 모드로 열어서 붙여넣으면 출처까지 함께 붙여넣을 수 있습니다. 한국어 위키백과에 있는 문서에 새로운 사실을 부분부분 번역해서 추가할 때 유용합니다.
세번째 팁은 번역기에서 자동으로 연결되었지만 잘못 번역된 위키백과 내부링크를 적절하게 고쳐주는 방법입니다.
링크되어 있는 부분을 눌러, 오른쪽에 표시되는 편집 버튼을 누른 후 아래의 검색 창에 표시된 올바른 명칭을 Ctrl+C 하고,완료 버튼을 눌러줍니다. 그상태에서 Ctrl+V를 눌러 붙여넣으면 올바른 명칭으로 변경됩니다.
예를 들어 London Eyes 문서를 번역 할 때, 잘못 번역된 '남쪽 기슭'에 마우스 커서를 놓은 후 편집 버튼을 누릅니다.

오른쪽에 켜진 링크 편집창의 돋보기 옆의 '사우스뱅크'를 Ctrl+C로 복사한 후 완료 버튼을 누릅니다.

Ctrl+V를 누릅니다. 남쪽 기슭이 사우스뱅크로 수정됩니다.

회원의 날에 참여한 회원들은 직접 위키백과의 내부 번역기가 추천한 문서를 선택해 번역하며 자유 활동을 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