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과
보이기
![]() |
![]() | |
100g당 영양가 | |
---|---|
에너지 | 180 kJ (43 kcal) |
11.2g | |
0.2g | |
0.9g | |
†미국 국립학술원의 전문가 권고를 바탕으로 추정된 칼륨의 경우를 제외하고,[1] 모든 수치는 미국의 성인 권장량을 기준으로 한 추정치임.[2] |

용과(龍果, dragon fruit) 또는 피타야(pitaya)는 몇몇 선인장의 열매로, 열대 과일의 하나이다. 긴 선인장 줄기에 달린 열매의 모습이 마치 용이 여의주를 물고 있는 모습을 닮았다 하여 용과라는 이름이 붙었다. 식감은 키위와 유사하며 수분이 많고 은은한 단맛이 난다.
분포
[편집]- 포도나무같은 착생식물인 용과는 중앙아메리카의 멕시코가 원산지인 삼각주선인장속에서 열린다. 현재, 인도네시아 (특히 서부 자와섬), 대만, 베트남, 태국, 필리핀, 스리랑카, 말레이시아,[3] 그리고 더 최근에는 방글라데시에서도 재배되며[4] 대한민국 제주도와 일본의 오키나와 그리고 하와이, 이스라엘, 오스트레일리아 남부와 중국 남부에서도 재배된다.
종류
[편집]용과는 과피(껍질) 및 과육의 색이 다르다.
- 흰용과(Hylocereus undatus)는 껍질이 붉고 과육이 희다.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용과이다.
- 붉은용과(Hylocereus costaricensis)는 껍질과 과육이 모두 붉은 색이다.
- 노란용과(Hylocereus megalanthus)는 껍질이 노랗고 과육이 희다.
영양 정보
[편집]가공하지 않은 용과의 먹을 수 있는 부분은 대부분 물과 탄수화물, 단백질과 지방으로 구성되어 있다.
용과 씨앗으로 짠 기름에 들어있는 지방산의 비율은 다음과 같다[5]
구분 | Hylocereus polyrhizus (붉은용과) |
Hylocereus undatus (흰용과) |
미리스트산 | 0.2% | 0.3% |
팔미트산 | 17.9% | 17.1% |
스테아린산 | 5.49% | 4.37% |
팔미톨레산 | 0.91% | 0.61% |
올레산 | 21.6% | 23.8% |
Cis-박센산 | 3.14% | 2.81% |
리놀레산 | 49.6% | 50.1% |
리놀렌산 | 1.21% | 0.98% |
각주
[편집]- ↑ National Academies of Sciences, Engineering, and Medicine; Health and Medicine Division; Food and Nutrition Board; Committee to Review the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Sodium and Potassium (2019). 〈Chapter 4: Potassium: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Adequacy〉. Oria, Maria; Harrison, Meghan; Stallings, Virginia A.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Sodium and Potassium》. The National Academies Collection: Reports funded by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es Press (US). 120–121쪽. doi:10.17226/25353. ISBN 978-0-309-48834-1. PMID 30844154. 2024년 12월 5일에 확인함.
- ↑ United State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24). “Daily Value on the Nutrition and Supplement Facts Labels”. 《FDA》. 2024년 3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3월 28일에 확인함.
- ↑ “Dragon Fruit: An Exotic, Health-Packed Fruit”. Exotic Fruit for Health. 2011년 8월 23일. 2012년 1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9월 18일에 확인함.
- ↑ Dragon fruit is on its way in Bangladesh 보관됨 2011-09-28 - 웨이백 머신. Viddler.
- ↑ Ariffin AA; Bakar J; Tan CP; Rahman RA; Karim R; Loi CC (2008). “Essential fatty acids of pitaya (dragon fruit) seed oil” (PDF). 《Food Chemistry》 114 (2): 561–64. doi:10.1016/j.foodchem.2008.09.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