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토바쿠온/프로구아닐
복합약 | |
---|---|
아토바쿠온 | 항말라리아제 |
프로구아닐 | 항말라리아제 |
식별 정보 | |
CAS 등록번호 | 156879-69-5 |
ATC 코드 | P01BB51 |
PubChem | 11954242 |
ChemSpider | 21230364 |
처방 주의사항 | |
허가 정보 | |
임부투여안전성 | B2(오스트레일리아) |
법적 상태 | |
투여 방법 | 경구 투여 |
아토바쿠온/프로구아닐(Atovaquone/proguanil)은 말라론(Malarone) 등의 상품명으로 판매되는 약물로, 말라리아, 특히 클로로퀸 내성 말라리아의 예방 및 치료에 쓰이는 고정용량 복합 약제이다.[2][3] 구성 성분은 아토바쿠온과 프로구아닐이다.[3] 중증 혹은 합병증이 동반된 말라리아에는 권장되지 않는다.[3] 경구 투여한다.[3]
흔한 부작용에는 복통, 구토, 설사, 기침, 가려움증이 있다.[3] 보고된 사례가 있는 심각한 부작용에는 아나필락시스, 스티븐스-존슨 증후군, 환각, 간 손상 등이 있다.[3][4] 그러나 부작용은 대체로 가벼운 수준이다.[5] 임신이나 수유 중 사용이 안전한지는 현재 불명확하다.[6] 콩팥 기능이 좋지 못한 환자에서 말라리아 예방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권장되지 않는다.[4] 아토바쿠온은 말라리아 원충의 미토콘드리아의 전자 전달을 방해하여 막 전위를 붕괴시킨다. 프로구아닐은 프로구아닐의 대사산물인 사이클로구아닐이 이수소엽산 환원효소를 차단하여, 원충의 핵산 합성과 세포 복제를 저해한다.[3]
미국에서는 2000년 사용이 승인되었다.[3] 2011년 이후로는 복제약으로 이용 가능하게 되었다.[7]
내성
[편집]아토바쿠온 단독 사용 시, 사이토크롬 b 돌연변이를 가진 원충 비율이 자연에서 높기 때문에 치료 실패율이 높다. 이는 아토바쿠온의 지용성이 크고 섭취가 느려, 약제가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는 농도에 원충이 노출되는 시간이 길어지기 때문이라고 여겨진다.[8] in vivo에서 특정 돌연변이(Y268S, Y268C)가 아토바쿠온/프로구아닐 내성을 일으킨다고 보고되었으나,[9][10][11] 그 외에 내성을 유발하는 기전은 알려지지 않은 상태이다.[12]
부작용
[편집]부작용은 대개 가볍게 끝난다.[5] 일부 환자가 기침, 설사, 두통, 식욕부진, 구강 궤양, 구역, 복통, 구토, 쇠약 등을 호소하기도 하지만, 대부분 환자에서는 부작용이 나타나지 않거나 이 부작용 중 소수만이 발생한다.[5]
작용 기전
[편집]아토바쿠온은 말라리아 원충의 전자 전달계에 존재하는 사이토크롬 bc1 복합체를 선택적으로 억제하여 미토콘드리아 막 전위를 무너뜨린다.[13] 말라리아의 전자 전달계는 ATP 합성에는 크게 기여하지 않으므로, 작용할 때 전자 전달계 기능을 필요로 하는 다이하이드로오로테이트 탈수소효소가 간접적으로 억제되는 것이 약물 기전이라고 생각된다. 이 효소는 피리미딘 생합성에 필요하다.[14]
프로구아닐은 대사되어 사이클로구아닐이 되며, 사이클로구아닐이 이수소엽산 환원효소 억제제로 작용하여 원충의 티미딘 합성을 막는다.[15]
각주
[편집]- ↑ “Atovaquopro Lupin (Generic Health Pty Ltd)”. 《Therapeutic Goods Administration (TGA)》. 2022년 9월 28일. 2022년 10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4월 29일에 확인함.
- ↑ Nakato H, Vivancos R, Hunter PR (November 2007).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and safety of atovaquone proguanil (Malarone) for chemoprophylaxis against malaria”. 《The Journal of Antimicrobial Chemotherapy》 60 (5): 929–936. doi:10.1093/jac/dkm337. PMID 17848375.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Atovaquone and Proguanil Hydrochloride Monograph for Professionals”. 《Drugs.com》 (영어). American Society of Health-System Pharmacists. 2016년 12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9월 12일에 확인함.
- ↑ 가 나 《British national formulary : BNF 76》 76판. Pharmaceutical Press. 2018. 604쪽. ISBN 9780857113382.
- ↑ 가 나 다 “Malarone Side Effects: Common, Severe, Long Term”. 《Drugs.com》 (영어). 2019년 8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9월 12일에 확인함.
- ↑ “Atovaquone / proguanil Use During Pregnancy”. 《Drugs.com》 (영어). 2019년 8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9월 12일에 확인함.
- ↑ “Generic Malarone Availability”. 《Drugs.com》 (영어). 2019년 8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9월 12일에 확인함.
- ↑ Srivastava IK, Vaidya AB (June 1999). “A mechanism for the synergistic antimalarial action of atovaquone and proguanil”. 《Antimicrobial Agents and Chemotherapy》 43 (6): 1334–1339. doi:10.1128/AAC.43.6.1334. PMC 89274. PMID 10348748.
- ↑ Färnert A, Lindberg J, Gil P, Swedberg G, Berqvist Y, Thapar MM, 외. (March 2003). “Evidence of Plasmodium falciparum malaria resistant to atovaquone and proguanil hydrochloride: case reports”. 《BMJ》 326 (7390): 628–629. doi:10.1136/bmj.326.7390.628. PMC 151974. PMID 12649236.
- ↑ Fivelman QL, Butcher GA, Adagu IS, Warhurst DC, Pasvol G (February 2002). “Malarone treatment failure and in vitro confirmation of resistance of Plasmodium falciparum isolate from Lagos, Nigeria”. 《Malaria Journal》 1: 1. doi:10.1186/1475-2875-1-1. PMC 111499. PMID 12057021.
- ↑ Schwartz E, Bujanover S, Kain KC (August 2003). “Genetic confirmation of atovaquone-proguanil-resistant Plasmodium falciparum malaria acquired by a nonimmune traveler to East Africa”. 《Clinical Infectious Diseases》 37 (3): 450–451. doi:10.1086/375599. PMID 12884171.
- ↑ Wichmann O, Muehlen M, Gruss H, Mockenhaupt FP, Suttorp N, Jelinek T (June 2004). “Malarone treatment failure not associated with previously described mutations in the cytochrome b gene”. 《Malaria Journal》 3: 14. doi:10.1186/1475-2875-3-14. PMC 425592. PMID 15186499.
- ↑ Fry M, Pudney M (April 1992). “Site of action of the antimalarial hydroxynaphthoquinone, 2-[trans-4-(4'-chlorophenyl) cyclohexyl]-3-hydroxy-1,4-naphthoquinone (566C80)”. 《Biochemical Pharmacology》 43 (7): 1545–1553. doi:10.1016/0006-2952(92)90213-3. PMID 1314606.
- ↑ Srivastava IK, Rottenberg H, Vaidya AB (February 1997). “Atovaquone, a broad spectrum antiparasitic drug, collapses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 in a malarial parasite”.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72 (7): 3961–3966. doi:10.1074/jbc.272.7.3961. PMID 9020100.
- ↑ “Our prescription medicines | GSK US” (PDF). 2011년 9월 4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9월 28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