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아제르바이잔 인민정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아제르바이잔 인민정부
آذربایجان ملّی حکومتی
소련의 괴뢰정권

1945년~1946년
문장
문장
수도타브리즈
정치
정치체제마르크스-레닌주의 일당제 공화정
총리자파르 피셰바리
역사
 • 성립1945년 11월
 • 소멸1946년 12월
인문
공용어아제르바이잔어
종교
국교이슬람교
기타
현재 국가이란 이란

아제르바이잔 인민정부(아제르바이잔어: Azərbaycan Milli Hökuməti, 페르시아어: آذربایجان میلّی حکومتی), 러시아어: Азербайджанское народное правительство)는 이란 서부에 위치한 이란령 아제르바이잔에 거주하던 아제르바이잔인이 수립한 소련의 괴뢰 정권이다.

역사

[편집]

1941년 6월, 독일이 소련과 체결한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을 일방적으로 파기하고 소련을 침공하면서 예방조치로, 또한 랜드리스 물자를 전달하기 위한 보급로로 사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1941년 8월 25일 영국과 소련은 합동으로 이란을 침공하였다.[1] 이 때문에 레자 샤 팔라비는 퇴위되어 모리셔스로 망명하였으며, 그의 아들 모하마드 레자 팔라비 왕세자가 이란의 새 군주가 되었다. 1942년 1월에는 영소이 "삼자 조약"을 통하여 현 군 주둔은 점령의 목적이 아니며, 이란은 연합국의 일원이고 종전 6개월 내에 이란 영토에서 철수하겠다고 합의했다.[1]

전쟁 기간 내내 영미는 이란을 나치 독일과 맞서 싸우는 소련에 군수 물자를 제공하는 중요한 보급로 역할로 이용했다. 3만명에 달하는 미군 비전투 요원과 보급물자가 이란을 거쳐갔으며, 나중에는 "승리의 다리"라는 말이 붙여지기도 했다. 1943년 테헤란 회담에서는 영미소 빅3가 이란의 미래 주권과 영토 보전을 보장해주었으며 전후 재건과 개발을 위한 자금 지원도 약속했다.[1]

이란의 점령은 독일 항복 이후 열린 포츠담 회담에서 전후 끝난다고 말했지만, 소련의 이오시프 스탈린은 앞서 테헤란 회담에서 합의한 처칠의 연합국 철수안에 대해 반대했다.[2] 하지만 소련군은 합의 기한인 3월 2일을 넘겨도 철수하지 않았으며 오히려 군사를 남쪽으로 진격시켰다. 1945년 12월 말 군대와 비밀경찰을 동원하여 이란 영토 내에 친소 "인민공화국"인[1] 자파르 피셰바리의 아제르바이잔 인민 정부와 카지 무함마드마하바드 공화국을 독립시켰다.

1945년 9월, 이란 길란 주의 오랜 기간 혁명 운동의 지도자 노릇을 하던 자파르 피셰바리는 아제르바이잔인 민주당(ADP)를 창당한다. 이 당은 이란령 아제르바이잔 사이로 빠르게 세를 넓혔고, 소련군이 이란군을 방해하는 방법으로 지원해주며 현지에서 쿠데타를 시도했다.[3] 1945년 9월 첫 주 아제르바이잔인 민주당은 이란령 아제르바이잔을 완전 장악하고 사회민주주의 개혁을 약속했으며, 이란의 공산당인 투데흐당 지역지부를 전부 해체하겠다고 선포했다.[4][5]

1945년 9월 말 첫 전당대회에서 아제르바이잔인 민주당은 1945년 11월 말까지 각 주에 남아있는 모든 이란 정부 직책을 장악하고 농민민병대를 세울 것이라고 공인했고 "39개 주의 연합으로 이루어진" 이란령 아제르바이잔이 자치공화국으로 독립할 것이라고 공표했다.[6] 이 단명한 공화국의 초대이자 유일한 총리는 아흐마드 코흐다리였다.

소련은 처음엔 이 자치공화국을 지원하고 이란군을 동원한 이란 정부의 통제 시도를 방해하는 등 여러 방면으로 지원을 하였으나 이 지원은 오래가지 않았다. 소련군이 철수한 이후 1946년 12월 이란군이 이 지역을 장악하여 피셰바리와 그의 내각진들은 소련으로 망명하였다.[7][8]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George Lenczowski, American Presidents and the Middle East, (1990), p. 7-13
  2. Harry S. Truman, Memoirs, Vol. 1: Years of Decision (1955), p.380, cited in Lenczowski, American Presidents, p.10
  3. Ervand Abrahamian. "Communism and Communalism in Iran: The Tudah and the Firqah-I Dimukrat", International Journal of Middle East Studies, Vol. 1, No. 4. (Oct., 1970), p. 291
  4. Sepehr Zabih. The Communist Movement in Iran, Berkeley, 1966, p. 99
  5. Ervand Abrahamian. Iran between Two Revolutions, Princeton, 1982, pp. 217-218
  6. Fred H. Lawson. "The Iranian Crisis of 1945-1946 and the Spiral Model of International Conflict", International Journal of Middle East Studies, Vol. 21, No. 3. (Aug., 1989), p. 316
  7. Azerbaijan Crisis (1947-1948)
  8. “Iran in World War II”. 2009년 10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0월 15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