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종실록
성종강정대왕실록 (成宗康靖大王實錄) | |
---|---|
대한민국의 국보 151호 조선왕조실록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 |
구성 | 297권 47책 |
소재지 | 서울 관악구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부산 연제구 국가기록원 역사기록관 |
등록 구분 |
1973년 12월 31일 국보 지정 1997년 10월 세계기록유산 지정 |
《성종강정대왕실록》(成宗康靖大王實錄) 또는 《성종실록》(成宗實錄)은 1469년 음력 11월부터 1494년 음력 12월까지 조선 성종 시대의 사실을 기록한 실록이다. 총 297권 47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조선왕조실록》의 일부를 이룬다.
한편 조선의 첫 사화인 무오사화는 이 실록의 사초가 발단이 되어 일어난 사건이다.
개요
[편집]1469년(성종 즉위년) 음력 11월부터 1494년(성종 25년) 음력 12월까지 총 25년 1개월에 걸친 성종 시대의 국정 전반에 관한 역사적 사실을 편년체로 기록한 실록이다. 총 297권 47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조선왕조실록》의 일부를 이룬다. 원본은 활자본이다.
1495년(연산군 1년) 음력 4월 19일 당시 영의정 노사신과 우의정 정괄 등이 《성종실록》의 편찬을 건의하자, 연산군이 이를 받아들여 편찬하게 하였다.[1] 편찬 작업 도중 무오사화가 발생하였으나 실록 편찬 자체는 큰 지장 없이 진행되었으며, 1499년(연산군 4년) 음력 5월에 완성을 보아 실록 편찬자들에게 포상하였다.[2]
편찬에 참여한 인원은 영관사에 신승선, 감관사에 어세겸과 성준 등 총 89명이다. 처음에 신승선이 총재관을 맡다가 후에 성준으로 교체된 것으로 보인다.
임진왜란 때 전주사고본을 제외한 나머지 실록이 소실되어 1603년(선조 36년)부터 1606년(선조 39년) 사이에 모든 실록을 다시 인쇄하였다. 이때 《성종실록》도 3부가 다시 간행되어 전주사고본 및 교정본을 포함하여 총 5부가 있게 되었으나, 1624년(인조 2년) 이괄의 난 때 춘추관에 둔 1부는 소실되었다. 이후 1929년부터 1932년까지 경성제국대학에서 영인본을 간행하였다.[3]
무오사화
[편집]당시 《성종실록》의 사관으로 참여하던 김일손은 세조가 아들 덕종의 후궁 귀인 권씨와 귀인 윤씨를 범하려 했다는 내용을 사초에 기록하였다. 이에 김일손을 심문하였는데,[4] 이튿날 김일손이 《조의제문》까지 사초에 실은 것이 밝혀졌다.[5] 특히 《조의제문》을 세조가 단종의 보위를 찬탈한 것을 초나라 의제에 빗대어 비난하기 위해 실었다고 주장한 유자광은, 김일손의 스승 김종직의 문집에서 《조의제문》이 실린 것을 찾아내었다. 유자광은 이를 발전시켜 무오사화를 일으켰다.[6] 후일 김일손 등은 참형을 당하였고, 이 사초를 보고도 즉시 보고하지 않은 어세겸, 이극돈, 유순, 윤효손 등은 파직을 당하였다.[7]
한편 무오사화는 다른 사화들과는 달리 "사화(史禍)"로 표기하기도 하는데, 이는 무오사화의 원인이 《성종실록》의 사초에서 비롯되었기 때문이다.[8]
특징 및 평가
[편집]- 《성종실록》은 제14권에 해당하는 1472년(성종 3년) 음력 1월 기사부터는 기사량에 상관 없이 1개월분을 1권으로 만들었기 때문에, 역대 《조선왕조실록》 중 권수가 가장 많다.[3][9]
- 실록은 1권을 1책으로 묶는 것이 일반적이나, 《성종실록》은 2~6권이 1책으로 묶인 경우가 있다.[10]
-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 대한민국의 국보로 지정되지 않은 실록이 일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중 《성종실록》은 총 7책이며, 밀랍본이다. 표지가 바뀐 제63권과 화재로 약간 훼손된 제96~99권 등이 있다.[10]
- 《성종실록》의 밀랍본 중 총 11책은 대한민국 국립문화재연구소에 의해 상태 불량으로 분류되었다.[11]
- 《성종실록》은 유교적 이념을 바탕으로 각종 문물 제도가 정비된 성종 시대의 역사적 사실 뿐 아니라, 조선 초기의 역사 및 문화 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는다.[3]
출처
[편집]- ↑ 연산군일기 4권, 연산 1년 4월 19일 임신 2번째기사
- ↑ 연산군일기 32권, 연산 5년 3월 10일 기사 2번째기사
- ↑ 가 나 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성종실록〉항목
- ↑ 연산군일기 30권, 연산 4년 7월 12일 병오 2번째기사
- ↑ 연산군일기 30권, 연산 4년 7월 13일 정미 3번째기사
- ↑ 《네이버캐스트》〈무오사화〉[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연산군일기 30권, 연산 4년 7월 27일 신유 1번째기사
- ↑ 《한국민족문화대백과》〈무오사화〉항목
-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실록〉항목
- ↑ 가 나 박상현 (2016년 12월 20일). “<조선왕조실록> ①국보 지정서 빠진 60여책 더 찾았다”. 《연합뉴스》. 2017년 1월 15일에 확인함.
- ↑ 박상현 (2016년 12월 20일). “<조선왕조실록> ③손상 밀랍본 어쩌나…15년째 제자리걸음”. 《연합뉴스》. 2017년 1월 15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