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교육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성교육(性敎育)은 인간의 이차 성징, 인간의 생식, 성교, 건강한 성생활, 이성과의 정서적 관계, 성과 관련된 권리와 책임, 피임, 그리고 인간의 성적 행동이 갖는 다른 양상들을 아우르는 넓은 범위의 교육을 지칭한다. 성교육은 일반적으로, 부모나 상담사, 학교 교육 프로그램과 공공 건강 캠페인으로부터 받게 된다.

대한민국의 성교육[편집]

대한민국 청소년의 연령이 평균적으로 낮아지면서 13세~18세 청소년 중 5% 가량이 성경험이 있으며, 성경험이 있는 청소년들의 평균 성경험 시작 연령은 13.2세로 조사되었다.[1] 성경험하는 연령이 낮아짐으로 성교육의 중요성이 높다.

개괄[편집]

성교육은 성의 모든 면을 포함하는 교육으로서, 가족 계획, 생식(수정, 임신, 그리고 출산 때까지의 배아태아의 발달), 뿐만 아니라 성과 관련된 모든 정보(바디 이미지, 성적 지향, 성적 쾌감, 가치, 의사결정, 의사소통, 연애, 관계, 성병, 이에 대한 예방법과 피임법)를 설명하기도 한다.

각주[편집]

  1. '14.2세 되면 성경험' 청소년 성행태조사”. 쿠키뉴스. 2009년 7월 26일. 2013년 12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7월 28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