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사용자:Triican/KBS 대하 드라마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KBS 대하드라마(大河드라마) 시리즈는 한국방송공사(KBS)의 장편 사극 시리즈이다.

개요[편집]

대하(大河)란 명칭의 유래는 대장편 소설의 비대한 전개와 등장인물들을 큰 강의 흐름에 비유한 프랑스의 Roman Flueve(로망플뢰브, '강 소설')이다. 이 로망플뢰브는 대하소설(大河小說)로 번역되었다. NHK의 대형시대극(大型時代劇) 《꽃의 생애》(1963)의 성공으로 제작된 일련의 대하소설 원작의 대규모 사극들을 언론에서 대하드라마란 별칭했는데 이게 안착되어서 NHK 대하드라마 시리즈로 공식화되었다.

KBS 대하드라마의 명칭은 NHK 대하드라마를 KBS가 따라하면서 도입되었다.

NHK 대하드라마와의 관계[편집]

이를 증명하듯이 방송통폐합 이후의 초기작들은 NHK 대하드라마와 판박이었다. 《대명》, 《풍운》, 《개국》은 한 역사적 인물을 중심으로 한 해의 1~12월에 방영하는 약 49~51회의 1년 편성과 더불어서 작중 하이라이트를 모은 연말 총괄편을 방영했다. 그러나 모종의 이유로 방영중지한 이후 2부로 복귀방영해서 44회차로 종방한 《독립문》 부터는 소재 선택 방식, 편성 요일, 편성 시간, 편성 주기 이 모두 NHK 대하드라마와 큰 차이가 생기게 된다.

아직 체계가 잡히기 전인 초대작 《꽃의 생애》, 외주제작으로 만들어진 《류큐의 바람》, 《불타오르다》, 《꽃의 난》, 코로나19로 인해서 불가피하게 편성에 변형이 생긴 《기린이 온다》와 《창천을 찔러라》를 제외하면 NHK 대하드라마는

통사[편집]

초창기(1979~83)[편집]

KBS 대하 드라마 편성 초기에 집필된 KBS계 문헌들을 참고하면 방송통폐합 이후 NHK 대하드라마를 본딴 대형사극을 기획해서 역사적 위인을 중심으로 한 1년 편성을 의도했으며 이로써 편성된 KBS 대하드라마의 초대작은 《대명》이었다. KBS 또한 이러한 계보를 긍정해서 최초의 대하드라마를 《대명》으로 호칭한다.

그러나 방송통폐합 전 1979-80년에 방영한 《토지》 는 마찬가지로 KBS계 문헌에서 《풍운》과 《대명》과 더불어서 '대하드라마'로서 묶인 정황이 확인된다. 특히 《토지》는 NHK 대하드라마로부터 유래된 하이라이트 영상을 편집해서 방영하는 총괄편을 방영한데다가 당시에도 '大河드라마'라 칭해졌음은 KBS연지와 오늘 남은 영상에서 확인할 수 있다.[1] 또한 방송사(史)를 통사로서 엮은 류의 자료에선 《토지》를 초대 대하드라마로 중요하게 언급하는 반면 《대명》은 언급조차 않는다. 당대에도 이 점이 구분되지 않았는지 독립문을 토지, 대명, 풍운, 개국에 이은 다섯번째 대하드라마로 칭하는 기사 또한 존재한다.


1차 방황기(1984~95)[편집]

전성기(1996~07)[편집]

2차 방황기(2008~13)[편집]

중흥기(2014~15)[편집]

3차 방황기(2016~)[편집]

초대작은 1979년의 <토지>이며 가장 최근작은 2023년의 <고려-거란 전쟁>이다.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해서 촬영이 중단되었던 시기를 제외하면 1963년에서 2023년까지 끊기지 않고 방영되었던 NHK 대하 드라마 시리즈와 달리 KBS 대하 드라마는 부침이 많아 휴방기가 잦다는 점이 특징이다. 또한 NHK 대하 드라마 시리즈는 보통 50회차 내외의 회차수로 방영되는 반면 KBS 대하 드라마는 최소 12회에서 최대 2ㅁㅁ회까지 기획과 시청률에 따라서 회차수가 차이가 크다는 점 또한 특징이다.

역대 작품[편집]

  • 아래의 목록은 가능하면 KBS연지와 KBS연감에 수록된 편성 자료를 기준으로 한다.
제목 방영기간 총회차수 원작 극본 연출 시대 주인공 출연진 비고
- 토지 1979.11.12
1980.12.22
48회[주 1] 박경리 박병우 김홍종 일제시대 최서희 한혜숙
서인석
초대 KBS 대하 드라마.
- 파천무 1980.04.13
1980.07.13
12회 유주현 이철향 이진욱 조선 초기 조선 세조 김흥기
신구
윤유선
군부정권의 압력으로 조기종영.
1 대명[편 1] 1981.01.05
1981.12.28
50회 - 이철향 고성원 조선 중기 조선 효종 김흥기
백윤식
초대 KBS1 대하 드라마.
가제가 《봉림대군》이었음.
2 풍운[편 2] 1982.01.10
1982.12.26
51회 유주현 신봉승 황은진 조선 말기 흥선대원군 이순재
김영애
일요일 오후 8시 편성의 시작.
3 개국 1983.01.02
1983.12.18
49회 이태원 이은성 장형일 여말선초 조선 태조 임동진
임혁
김흥기
마지막 NHK 대하식 편성작.
3 독립문 1984.01.01
1984.12.20
44회 - 이철향 이진욱
장기오
조선 말기
구한말
- 임혁
나영희
서인석
2부 연출은 이진욱.
2부에선 가상인물 위주로 바뀜.
5 새벽[편 3] 1985.02.27
1985.12.29
77회 - 김교식
오재호
이진욱
홍성룡
근현대 - 신구
이치우
원래는 200부작을 기획했다고 함.
2부 극본은 오재호.
2부 연출은 홍성룡.
광복 40주년 기획.
6 노다지[편 4] 1986.10.25
1987.05.31
61회 선우휘 박병우 이종수 근현대 - 한혜숙
김진태
하희라
7 이화 1987.06.06
1987.10.18
34회 윌리엄 아서 노블 김항명 김재형 근현대 이화 토지 제작을 위한 임시편성.
유일한 외국인 원작 KBS 대하.
8 토지 1987.10.24
1989.08.06
103회 박경리 김하림
김원석
주일청
류시형
근현대 최서희 최수지
윤승원
9 역사는 흐른다[편 5] 1989.09.03
1990.09.09
54회 - 박병우 이종수 근현대 - 최수지
윤승원
10 여명의 그날[편 6] 1990.09.16
1990.12.16
13회 - 김교식 근현대 - 신구
이영후
백준기
김일성 미화 논란으로 조기종영.
11 왕도[편 7] 1991.01.06
1991.10.05
34회 유현종 김항명 김재형 조선 중기 홍국영 김영철
강석우
김성원
《개국》 이후 최초의 비근현대물.
12 바람꽃은 시들지 않는다[편 8] 1991.10.12
1992.03.28
24회 유안진 이철향 염현섭 근현대 신혜수
정애리
임동진
최초의 해외로케 촬영.
13 삼국기[편 9] 1992.04.12
1993.04.17
54회 이남교 유현종
이상준
최상식
안영동
삼국시대 김유신 서인석
유동근
조경환
최초의 고대 배경 KBS 대하.
14 먼동[편 10] 1993.04.24
1994.04.30
50회 홍성원 김항명 이녹영
김종선
근현대 - 하희라
김진태
15 김구[편 11] 1995.08.05
1995.09.24
16회 - 이봉원
정경아
김충길 근현대 김구 김상중
조상건
광복 50주년 특별 기획드라마.[2]
16 찬란한 여명[편 12] 1995.10.28
1996.11.23
100회 - 신봉승 이녹영 조선 말기 - 이정길
김경아
김갑수
17 용의 눈물[편 13] 1996.11.24
1998.05.31
159회 박종화 이환경 김재형 여말선초 조선 태조
조선 태종
김무생
유동근
18 왕과 비[편 14] 1998.06.06
2000.03.26
186회 - 정하연 김종선 조선 초기 조선 세조
인수대비
임동진
채시라
19 태조 왕건[편 15] 2000.04.01
2002.02.24
200회 - 이환경 김종선 나말여초 고려 태조
궁예
견훤
최수종
김영철
서인석
20 제국의 아침 2002.03.02
2003.01.26
94회 - 이환경 고려 초기 고려 광종 김상중
21 무인시대 2003.02.08
2004.08.15
158회 - 유동윤 고려 중기 이의방
정중부
경대승
이의민
최충헌
서인석
김흥기
박용우
이덕화
김갑수
22 불멸의 이순신 2004.09.04
2005.08.28
104회 김훈
김탁환
윤선주 조선 중기 이순신 김명민
최재성
이재룡
23 서울 1945 2006.01.07
2006.09.10
71회 김훈
김탁환
근현대 -

통사[편집]

초창기(1979~83)[편집]

《토지》(1979~80)와 《파천무》(1980)[편집]

《풍운》(1982)[편집]

《개국》(1983)[편집]

1차 방황기(1984~95)[편집]

《독립문》과 《새벽》(1984~86)[편집]

《토지》(1987~88)[편집]

《왕도》와 《삼국기》(1991~93)[편집]

《여명의 그날》(1995~1996)[편집]

전성기(1996~07)[편집]

《용의 눈물》(1996~98)[편집]

《태조 왕건》(2000~02)[편집]

2차 방황기(2008~13)[편집]

중흥기(2014~15)[편집]

《정도전》(2014)[편집]

《징비록》(2015)[편집]

3차 방황기(2016~)[편집]

1979~1980[편집]

현재는 암묵적으로 1981년의 <대명>이 KBS 대하 드라마 시리즈 초대작으로 취급받지만 그 내막은 훨씬 더 복잡하다. KBS에서는 NHK 대하 드라마와 비슷한 장편 일요사극을 전에 방영한 적이 있었다. 각기 50회차로 완결난 1972년의 임진왜란과 1973년의 삼국통일이 그 예이다. 그러나 이들 작들은 당시에도 대하 드라마라 칭해지지 않았다.

KBS 방영작 중에서 최초로 대하(大河) 드라마라는 명칭으로 불리고 작품 타이틀에도 대하 드라마라는 명칭을 쓴 작은 1979-1980년의 <토지>이다. 월요일 저녁에 방영하는 주간극이라는 차이점이 있으나 <대명> 또한 <토지>에 이어서 편성된 월요일 방영작이었다.

오히려 한국방송70년사를 참고할 시에는 장편 사극 드라마의 주요 작으로 1979년의 토지를 먼저 꼽으며 대명은 아예 배제되고 풍운과 개국을 소개한다. 게다가 12회 전편이 보존된 <파천무>와 본편 48회 중 46회가 보존된 <토지>와 달리 <대명>은 시청자 기증본까지 포함해도 본편 50회 중 불과 4편만 보존되었는데 이러하듯이 최초로 대하(大河)라는 명칭을 쓰지 않았고, 일요일 저녁에 방송한 것도 아닌데다가 자료마저 거의 없는 <대명>이 초대 KBS 대하 드라마작으로 취급받는 것은 좀 뜬금없는 면이 있다.

다만 <대명>은 언론통폐합으로 인해서 KBS가 TBC를 KBS2로 흡수한 이후의 최초 KBS 대하 드라마라는 의의가 있다.

1981~1990[편집]

병자호란과 효종 시대를 배경으로 한 <대명>은 비교적 악평받았으나 조선말 흥선 대원군의 일대기를 극화한 <풍운>과 고려말 태조 이성계의 일대기를 극화한 <개국>은 둘 다 인기가 많았고 호평을 받았다. 다만 이 두 작품 모두 5.16 군사 쿠테타로 인해서 출범된 제5공화국의 정당성을 주장하기 위해 제작된 프로파간다극이라는 지적이 있다.

그러나 <독립문>을 시작으로 80년대의 KBS 대하 드라마는 근현대사 배경작만 방영했다. 1984년의 <독립문>, 1985년의 <새벽>, 1986-1987년의 <노다지>, 1987년의 <이화>, 1987-1988년의 <토지>, 1989-1990년의 <역사는 흐른다> 모두 근현대사가 배경이다. 이중 신문 기사상 호평받고 인기를 끌었다고 언급되는 건 <노다지>와 <토지> 뿐이다.

이러한 근현대사 배경작 위주의 흐름은 NHK 대하 드라마가 근현대사 배경작을 위주로 편성하게 된 1984년과 맞물린다. NHK가 전근대 배경의 수요대형시대극 시리즈로 기존 대하 시청자를 위한 편성을 한 것과 마찬가지로 KBS 또한 조선 배경의 작품들은 <태평무>, <천명>, <하늘아 하늘아>같은 KBS2 일일사극으로 편성했다. 다만 NHK 대하는 1986년의 <생명>을 끝으로 이 근현대사 위주 실험을 끝마치고 <독안룡 마사무네>와 <다케다 신겐>으로 기존의 방향으로 틀었던 것에 비해 KBS 대하는 이 근현대사 위주 편성을 1995년까지 지속했다는 차이가 있다.

1991~2000[편집]

KBS 대하의 근현대사 위주 편성은 90년대 초중반까지 지속되었다. 1991년의 <여명의 그날>이 박정희 미화와 김일성 미화 논란으로 인해서 13회 조기종영당한 이후 조선 중기 배경의 1991년의 <왕도>가 편성되고 1991~1992년의 <바람꽃은 시들지 않는다> 이후 1993년에 최초로 삼국시대를 배경으로 하는 대하 드라마 <삼국기>가 편성되면서 소재 다양성이 생겼지만 <왕도>와 <삼국기> 또한 큰 인기를 끌지 못하고 1993년~1995년까지 <먼동>, <김구>를 방영하며 근현대사 위주 방영으로 KBS는 회귀한다.

1995년에 신봉승이 1982년 <풍운>의 리메이크작이라 할 수 있는 <찬란한 여명>을 집필하면서 KBS는 기존의 근현대사

이와 맞물려서 KBS 1983년에 <풍운> 이후 여말선초 배경의 <개국>을 방영했듯이 1996년에 <찬란한 여명>을 이어서 여말선초 배경의 <용의 눈물>을 방영했는데 한국 사극 역사상 사극 최고 걸작으로 불리는 호평과 시청률상 엄청난 호조를 보이며

2001~2010[편집]

2011~2020[편집]

2021~[편집]

NHK 대하 드라마의 영향과 관계[편집]

주간연속사극[편집]

  • 파천무
  • 바람과 구름과 비
  • 인간의 땅
  • 한명회
  • 명성황후

출처[편집]

각주[편집]

편성 자료[편집]

  1. 《KBS연지 1981》. 한국방송사. 1982.05.22. 82쪽. 放送: 1月 5日~12月 28日(50회) 매주 月 後 9:40~10:40 劇本: 李哲鄕 演出: 高成源...(중략)...出演: 김흥기, 원미경, 김성원, 백일섭, 서승희, 사미자, 이경진, 김동훈, 선우은숙 
  2. 《KBS연지 1983》. 한국방송사. 1983.06.10. 70쪽. 첫회방송 1982年 1月10日. 12月26日 51회로 끝남 / 劇本: 신봉승 / 演出: 황은진...(중략)...出演: 이순재, 김영애, 반효정, 서우림, 민태원, 박칠용등 
  3. 《KBS연지 1986》. 한국방송사. 1986.05.31. 73쪽. *제1TV(토 일) 오후 8:00~9:00 1985년 2월 27일 첫 방송 / 원작 : 김교식 / 극본 김하림 / 연출: 이해욱 / 출연: 박웅 김진해 민지환 박병호 신구 김순철 김영철 
  4. 《KBS연지 1988》. 한국방송사. 1988.05.31. 112쪽. * 제1TV(토~일) 오후 8:00~9:00 1986년 9월 4일 첫방송, 1987년 5월 31일 종방(61회) / 원작: 선우휘 / 극본: 박병우 / 연출: 이종수 / 출연: 한혜숙·김진태·하희라·박혜숙·임성민·최재성·김영철 
  5. 《KBS연지 1991》. 한국방송사. 1991.06.20. 221쪽. *제1TV(일) 오후 9:30~10:30 1989년 9월 3일 첫방송 / 1990년 9월 9일 종방 / 극본: 박병우 / 연출: 이종수 / 출연: 장미희, 유인촌, 김영철 외 
  6. 《KBS연지 1991》. 한국방송사. 1991.06.20. 221쪽. *제1TV(일) 오후 9:30~10:30 1990년 9월 16일 첫방송 / 1990년 12월 16일 종방 / 극본: 김교식 / 연출: 이녹영 / 출연: 신구, 이영후, 태현실 외 
  7. 《KBS연지 1992》. 한국방송사. 1992.06.15. 273쪽. *제1TV(토) 오후 9:30~10:30 1991년 1월 6일 첫방송 / 1991년 10월 5일 종방 / 극본: 김항명 / 연출: 김재형 / 출연자: 김영철, 강석우, 태민영, 정영숙, 김자옥... 
  8. 《KBS연지 1993》. 한국방송사. 1993.06.15. 259쪽. *제1TV(토) 오후 9:45~10:45 1991년 10월 12일 첫방송 / 1992년 3월 28일 종방 / 극본: 이철향 / 연출: 염현섭 / 출연: 정동환, 신혜수, 임동진, 정애리, 나한일, 한은진 
  9. 《KBS연지 1994》. 한국방송사. 1994.06.01. 296쪽. 책임프로듀서: 최상식 / 극본: 유현종, 이상준 / 연출: 최상식, 안영동 / 프로듀서: 윤용훈 / 방송: '92.4.12~93.4.17(총54회) 매주 토요일 밤 9시 40분~10시 40분 / 출연: 서인석, 송영창, 길용우, 유동근, 조경환, 김진태... 
  10. 《KBS연지 1995》. 한국방송사. 1995.06.15. 301-302쪽. 책임프로듀서: 장기오 / 원작: 홍성원 / 극본: 김항명 / 연출: 이녹영, 김종선 / 조연출: 김영진, 이재상 / 프로듀서: 정영철 / 방송: '93.4.24~'94.4.30(총 50회) 매주 토 21:30~22:30 / 출연: 하희라, 김진태, 이동준, 정성모, 임혁, 송영창... 
  11. 《KBS연감 1996》. 한국방송사. 1996. 325쪽. 책임프로듀서:윤흥식 / 극본: 이봉원, 정경아 / 연출: 김충길 / 조연출: 배경수 / 방송: '95.8.5~9.24(총 16회) 매주 토, 일 21:50~22:50 / 출연: 김상중, 조상건, 심양홍, 신혜수, 김미정, 박규채, 정진각, 정운용, 정욱, 임동진 외 
  12. 《KBS연감 1997》. 한국방송사. 1999.06.05. 344쪽. *제1TV(토.일) 21:40~22:40 방송: '95.10.28~'96.11.23(총 100회) / 책임프로듀서: 윤흥식 / 극본: 신봉승 / 연출: 이녹영 / 조연출: 한준서, 이형민, 김정록 / 출연: 김갑수, 하희라, 이정길, 변희봉, 정보석, 이민우, 조재현... 
  13. 《KBS연감 1999》. 한국방송사. 1997.06.14. 316쪽. *제1TV(토,일) 21:45~22:35 방송: 96.11.24~98.5.31(총159회) / 책임 프로듀서: 윤흥식 / 프로듀서: 이교욱/ 원작: 박종화 세종대왕 / 극본: 이환경 / 연출: 김재형 / 조연출: 박만영, 강병택 / 출연: 유동근, 최명길, 김무생, 선동혁, 김영란, 김흥기... 
  14. 《KBS연감 2001》. 한국방송사. 2001.06.30. 314-315쪽. * 제1TV 1998.6.6~2000.3.26. 토~일 21:45~22.35 186회 / 책임프로듀서: 윤흥식 / 프로듀서: 윤용훈 / 연출: 김종선, 윤창범 / 조연출: 김용수, 김성근 / 극본: 정하연 / 출연: 임동진, 채시라, 이진우, 김성령, 김정난, 윤유선... 
  15. 《KBS연감 2003》. 한국방송사. 2003.07.16. 314-315쪽. *제1TV 2001.4.1~2002.2.24. 토~일 21:45~22:35 책임 프로듀서: 안영동 / 프로듀서: 정영철 / 연출: 김종선, 강일수 / 극본: 이환경 

주해[편집]

  1. 1부 21회, 2부 12회, 3부 13회.

참조[편집]

  1. 《KBS연지 1980》. 한국방송사. 1980.03.25. 49쪽. 
  2. 《KBS연감 1996》. 한국방송사. 1996. 323쪽. 광복 50주년 특별 기획드라마 「김구」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