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랑
빈랑 | |
---|---|
빈랑 열매 | |
생물 분류ℹ️ | |
역: | 진핵생물 |
계: | 식물계 |
(미분류): | 속씨식물군 |
(미분류): | 외떡잎식물군 |
(미분류): | 닭의장풀군 |
목: | 종려목 |
과: | 종려과 |
속: | 종려속 |
종: | 빈랑 |
학명 | |
Areca catechu | |
린네 | |
빈랑의 분포 | |
빈랑(檳榔, 학명: Areca catechu, 필리핀어: bunga 붕가, 인도네시아어: pinang 피낭[*], 말라얄람어: അടക്ക 아다카, 칸나다어: ಅಡಿಕೆ 아디케, 태국어: หมาก 막[*])은 필리핀 원산으로[1][2][3] 태평양 연안, 동남아시아, 동아프리카, 남아시아 등 열대지방 일부에서 자라는 종려나무의 일종이다.[4][5] 씨앗인 빈랑자(檳榔子, areca nut, betel nut)를 약용한다.
인도, 태국, 중화민국에서는 베틀후추(betel piper)잎에 빈랑자를 싸서 식후나 평소에 씹는 습관이 있다. 인도에서는 빤(paan)이라고 부른다.
영어명칭이 betel nut이지만 베틀후추와는 전혀 다른 식물이다.
어원
[편집]‘빈랑(檳榔)’이란 이름은 말레이어 ‘피낭(pinang)’을 음역한 것이다. 고대 중국에서는 《이물지》(3세기) 등에 빈랑에 대한 기록이 있다.
쓰임새
[편집]식용
[편집]빈랑 씨앗인 빈랑자(檳榔子)와, 그 껍질인 대복피(大腹皮)은 한의학에서 약재로 쓰인다. 한의학적으로 빈랑자의 약성은 따뜻하며 맛은 맵고 쓰다. 또한 대복피의 약성은 조금 따뜻하며 맛은 맵다. 대복피보다 빈랑자의 약성이 조금 더 강하다.[6] 빈랑자는 대소변을 잘 보게 하여 변비와 부종을 치료하고, 구충제 효과와 함께 흉·복부의 팽만 증상을 완화시켜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6]
빈랑은 강한 각성효과가 있어 중화민국, 인도, 미얀마 등에서 기호품으로 많이 소비된다. 술, 담배, 카페인 음료 다음으로 많이 소비되는 향정신성 물질이라고도 전해진다.[7]
그러나 IARC와 WHO의 발표에 따르면 담배의 포함여부에 상관없이 구강암을 증가시키며 그 원인은 빈랑 때문이라 알려져 있다.[8] 때문에 WHO에서는 빈랑을 발암물질로 분류하고 있다.[9] 인도 정부는 이 열매가 포함된 제품 겉면과 광고에 '건강에 해롭다'는 문구를 삽입하게 하는 등의 규제 정책을 취하고 있다.[9] 중화민국 정부 역시 빈랑 판매를 규제 및 금지하는 조치를 취하고 있다.[7]
또한 빈랑을 씹으면 붉은 침이 고이는데, 사람들이 이 침을 거리에 함부로 뱉으면서 도시 위생과 청결을 해친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9]
갤러리
[편집]-
빤을 만드는 재료들. 오른쪽 상단의 반달모양의 것이 풋빈랑자를 자른 것이며 아래쪽 녹색이 베틀후추잎으로 이 두가지가 주요 재료이며 사진의 그 외 다른 재료들이 첨가된다.
-
남인도에서 포장되어 판매되는 빈랑자
-
인도에서 빤을 만들어 파는 가게의 모습
-
빤을 씹은 후 길에 침을 뺕은 모습
각주
[편집]- ↑ “Areca catechu”. 《Germplasm Resources Information Network (GRIN)》 (Agricultural Research Service(ARS),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USDA)). 2008년 3월 2일에 확인함.
- ↑ Zumbroich, Thomas J. (2007–2008). “The origin and diffusion of betel chewing: a synthesis of evidence from South Asia, Southeast Asia and beyond”. 《eJournal of Indian Medicine》 1: 87–140.
- ↑ “Areca catechu L.”. 《Plants of the World Online》. Royal Botanic Gardens Kew. 2023년 5월 2일에 확인함.
- ↑ Jones, D. (2001), Palms Throughout The World, Reed New Holland, Australia.
- ↑
- Baker, William; Dransfield, John (2016). “Beyond Genera Palmarum: progress and prospects in palm systematics”. 《Botan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Oxford University Press) 182 (2): 207–233. doi:10.1111/boj.12401. ISSN 0024-4074. S2CID 88254797.
- This review cites this research.
- Heatubun, Charlie; Dransfield, John; Flynn, Thomas; Tjitrosoedirdjo, Sri; Mogea, Johanis; Baker, William (2011). “A monograph of the betel nut palms (Areca: Arecaceae) of East Malesia”. 《Botan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Oxford University Press) 168 (2): 147–173. doi:10.1111/j.1095-8339.2011.01199.x. ISSN 0024-4074. S2CID 82477722.
- ↑ 가 나 http://www.yeongnam.com/jsp/view.jsp?nkey=20161101.010210757130001
- ↑ 가 나 http://www.asiatoday.co.kr/kn/view.php?r=articles/20160907010004384
- ↑ Beatrice Secretan; 외. (2009). “A review of human carcinogens”. 《The Lancet Oncology, see table for Group 1 carcinogen agents》 10 (11): 1033–1034. doi:10.1016/S1470-2045(09)70326-2. PMID 19891056.
- ↑ 가 나 다 https://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1&aid=0008771137[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이 글은 식물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