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랑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빈랑

빈랑 열매
빈랑 열매
생물 분류ℹ️
역: 진핵생물
계: 식물계
(미분류): 속씨식물군
(미분류): 외떡잎식물군
(미분류): 닭의장풀군
목: 종려목
과: 종려과
속: 종려속
종: 빈랑
학명
Areca catechu
린네
빈랑의 분포

빈랑(檳榔, 학명: Areca catechu, 필리핀어: bunga 붕가, 인도네시아어: pinang 피낭[*], 말라얄람어: അടക്ക 아다카, 칸나다어: ಅಡಿಕೆ 아디케, 태국어: หมาก [*])은 필리핀 원산으로[1][2][3] 태평양 연안, 동남아시아, 동아프리카, 남아시아 등 열대지방 일부에서 자라는 종려나무의 일종이다.[4][5] 씨앗인 빈랑자(檳榔子, areca nut, betel nut)를 약용한다.

인도, 태국, 중화민국에서는 베틀후추(betel piper)잎에 빈랑자를 싸서 식후나 평소에 씹는 습관이 있다. 인도에서는 빤(paan)이라고 부른다.

영어명칭이 betel nut이지만 베틀후추와는 전혀 다른 식물이다.

어원[편집]

‘빈랑(檳榔)’이란 이름은 말레이어 ‘피낭(pinang)’을 음역한 것이다. 고대 중국에서는 《이물지(영어판)》(3세기) 등에 빈랑에 대한 기록이 있다.

쓰임새[편집]

식용[편집]

빈랑 씨앗인 빈랑자(檳榔子)와, 그 껍질인 대복피(大腹皮)은 한의학에서 약재로 쓰인다. 한의학적으로 빈랑자의 약성은 따뜻하며 맛은 맵고 쓰다. 또한 대복피의 약성은 조금 따뜻하며 맛은 맵다. 대복피보다 빈랑자의 약성이 조금 더 강하다.[6] 빈랑자는 대소변을 잘 보게 하여 변비부종을 치료하고, 구충제 효과와 함께 흉·복부의 팽만 증상을 완화시켜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6]

빈랑은 강한 각성효과가 있어 중화민국, 인도, 미얀마 등에서 기호품으로 많이 소비된다. , 담배, 카페인 음료 다음으로 많이 소비되는 향정신성 물질이라고도 전해진다.[7]

그러나 IARCWHO의 발표에 따르면 담배의 포함여부에 상관없이 구강암을 증가시키며 그 원인은 빈랑 때문이라 알려져 있다.[8] 때문에 WHO에서는 빈랑을 발암물질로 분류하고 있다.[9] 인도 정부는 이 열매가 포함된 제품 겉면과 광고에 '건강에 해롭다'는 문구를 삽입하게 하는 등의 규제 정책을 취하고 있다.[9] 중화민국 정부 역시 빈랑 판매를 규제 및 금지하는 조치를 취하고 있다.[7]

또한 빈랑을 씹으면 붉은 침이 고이는데, 사람들이 이 침을 거리에 함부로 뱉으면서 도시 위생과 청결을 해친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9]

갤러리[편집]

각주[편집]

  1. Areca catechu. 《Germplasm Resources Information Network (GRIN)》 (Agricultural Research Service(ARS),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USDA)). 2008년 3월 2일에 확인함. 
  2. Zumbroich, Thomas J. (2007–2008). “The origin and diffusion of betel chewing: a synthesis of evidence from South Asia, Southeast Asia and beyond”. 《eJournal of Indian Medicine》 1: 87–140. 
  3. Areca catechu L.”. 《Plants of the World Online》. Royal Botanic Gardens Kew. 2023년 5월 2일에 확인함. 
  4. Jones, D. (2001), Palms Throughout The World, Reed New Holland, Australia.
  5. Baker, William; Dransfield, John (2016). “Beyond Genera Palmarum: progress and prospects in palm systematics”. 《Botan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Oxford University Press) 182 (2): 207–233. doi:10.1111/boj.12401. ISSN 0024-4074. S2CID 88254797. 
    This review cites this research.
    Heatubun, Charlie; Dransfield, John; Flynn, Thomas; Tjitrosoedirdjo, Sri; Mogea, Johanis; Baker, William (2011). “A monograph of the betel nut palms (Areca: Arecaceae) of East Malesia”. 《Botan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Oxford University Press) 168 (2): 147–173. doi:10.1111/j.1095-8339.2011.01199.x. ISSN 0024-4074. S2CID 82477722. 
  6. http://www.yeongnam.com/jsp/view.jsp?nkey=20161101.010210757130001
  7. http://www.asiatoday.co.kr/kn/view.php?r=articles/20160907010004384
  8. Beatrice Secretan; 외. (2009). “A review of human carcinogens”. 《The Lancet Oncology, see table for Group 1 carcinogen agents》 10 (11): 1033–1034. doi:10.1016/S1470-2045(09)70326-2. PMID 19891056. 
  9. https://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1&aid=0008771137[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