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즈알데하이드
| |||
이름 | |||
---|---|---|---|
우선명 (PIN)
Benzaldehyde[1] | |||
체계명
Benzenecarbaldehyde | |||
별칭
Benzenecarboxaldehyde
Phenylmethanal Benzoic aldehyde | |||
식별자 | |||
3D 모델 (JSmol)
|
|||
ChEBI | |||
ChEMBL | |||
ChemSpider | |||
ECHA InfoCard | 100.002.601 | ||
EC 번호 |
| ||
KEGG | |||
PubChem CID
|
|||
RTECS 번호 |
| ||
UNII | |||
UN 번호 | 1990 | ||
CompTox Dashboard (EPA)
|
|||
| |||
| |||
성질 | |||
C7H6O | |||
몰 질량 | 106.124 g·mol−1 | ||
겉보기 | colorless liquid strongly refractive | ||
냄새 | almond-like | ||
밀도 | 1.044 g/mL, liquid | ||
녹는점 | −57.12[2] °C (−70.82 °F; 216.03 K) | ||
끓는점 | 178.1 °C (352.6 °F; 451.2 K) | ||
6.95 g/L (25 °C)[3] | |||
log P | 1.64[4] | ||
자화율 (χ)
|
-60.78·10−6 cm3/mol | ||
굴절률 (nD)
|
1.5456 | ||
점도 | 1.321 cP (25 °C) | ||
열화학 | |||
표준 생성 엔탈피 (ΔfH⦵298)
|
−36.8 kJ/mol | ||
표준 연소 엔탈피 (ΔcH⦵298)
|
−3525.1 kJ/mol | ||
위험 | |||
물질 안전 보건 자료 | J. T. Baker | ||
GHS 그림문자 | ![]() | ||
신호어 | 경고 | ||
H302 | |||
P264, P270, P301+312, P330, P501 | |||
NFPA 704 (파이어 다이아몬드) | |||
인화점 | 64 °C (147 °F; 337 K) | ||
192 °C (378 °F; 465 K) | |||
폭발 한계 | 1.4–8.5% | ||
반수 치사량 또는 반수 치사농도 (LD, LC): | |||
LD50 (median dose)
|
1300 mg/kg (rat, oral) | ||
관련 화합물 | |||
관련 화합물
|
Benzyl alcohol Benzoic acid | ||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면, 표준상태(25 °C [77 °F], 100 kPa)에서 물질의 정보가 제공됨. | |||
![]() ![]() ![]() | |||
정보상자 각주 | |||
벤즈알데하이드(Benzaldehyde, C7H6O)는 가장 간단한 방향족 알데하이드다. 고편도유의 성분 중 하나이다.
섭취[편집]
벤즈알데하이드는 아몬드와 살구, 체리씨 등에 함유되어 있는 아미그달린을 통하여 얻어진다. 아미그달린은 효소 작용을 통해 벤즈알데하이드와 사이안화 수소, 글루코스로 분해된다.
화학 반응[편집]
벤즈알데하이드는 공기중에서 산화되어 벤조산으로 바뀌며, 수소첨가반응을 통해 벤질알코올이 생성되기도 한다. 무수(無水) 상태의 아세트산나트륨이나 아세트산무수물과 반응할 시 신남산(계피산)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안전성[편집]
70kg의 건장한 성인 남성을 기준으로 벤즈알데하이드의 치사량은 약 50 mL이며 미국 환경보호국에 의해 유해 물질로 지정되어 있다. 물론 각종 식품에 벤즈알데하이드가 향 첨가를 목적으로 쓰이지만, 소량 섭취는 거의 안전하다.
각주[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 《Nomenclature of Organic Chemistry : IUPAC Recommendations and Preferred Names 2013 (Blue Book)》. Cambridge: The Royal Society of Chemistry. 2014. 908쪽. doi:10.1039/9781849733069-FP001. ISBN 978-0-85404-182-4.
- ↑ Haynes, William M. (2014), 《CRC Handbook of Chemistry and Physics》 95판, CRC press, 3–34쪽, ISBN 9781482208689
- ↑ “GESTIS Substance database”.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of the German Social Accident Insurance. 2016년 3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8월 21일에 확인함.
- ↑ “Benzaldehyde_msds”.
![]() |
이 글은 화학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