란자나 문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란자나
원래 이름 Rañjanā
유형 아부기다
표기 언어 네와르어
산스크리트어
티베트어
사용 시기 1100년경 – 현재
계통 원시 시나이 문자
 페니키아 문자
  아람 문자
   브라흐미 문자
    굽타 문자
     싯담 문자[1]
      네팔 문자
       란자나
후계 문자 소욤보 문자
자매 문자 프라칼릿 문자
부지몰 문자
ISO 15924 Ranj

란자나 문자(Rañjanā script (Lantsa[2]))는 11세기에 개발된 아부기다 문자 체계로[3] 20세기 중반까지 네팔에서 티베트에 이르는 지역에서 카트만두 계곡의 유서 깊은 주민인 네와르족산스크리트어네와르어를 쓰기 위해 사용되었다. 오늘날에는 인도의 불교 사원, 중국, 특히 티베트 자치구, 쓰촨성, 윈난성, 칭하이성, 간쑤성, 몽골, 일본의 불교 사원에서도 사용된다.[3] 보통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쓰지만 쿠탁샤르 형태는 위에서 아래로 쓴다.[3] 이 문자는 또한 네팔의 표준 서예 문자로 여겨진다.

개발[편집]

란자나 문자는 1100년경에 개발된 브라흐미계 문자이다. 인도에서 사용되었으며 네팔에서 네와르인들이 네와르어를 쓰기 위해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2] 이 문자는 또한 대부분의 마하야나바지야나 수도원에서도 사용된다.[4] 쁘라찰리트 네팔 문자와 함께 네팔의 문자 중 하나로 여겨진다.[5]

카피타나가르의 비크수 아난다가 금 잉크로 쓴 빈야경네팔 삼밧 345년(서기 1215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6]

문자[편집]

모음[편집]

a अ aḥ अः ā आ āḥ आः i इ ī ई u उ ū ऊ ṛ ऋ ṝ ॠ
ḷ ऌ ḹ ॡ e ए ai ऐ o ओ au औ ã अँ aṃ अं ay अय् āy आय् ey एय्

자음[편집]

k क kh ख g ग gh घ ṅ ङ
c च ch छ j ज jh झ ñ ञ
ṭ ट ṭh ठ ḍ ड ḍh ढ ṇ ण
t त th थ d द dh ध n न
p प ph फ b ब bh भ m म
y य r र l ल v व
ś श ṣ ष s स h ह
kṣ क्ष tr त्र jñ ज्ञ

모음 분음부호[편집]

란자 문자에서 모음 आ ā, ए e, ऐ ai/ē, ओ o, औ au/ō를 나타내는 결합 기호의 모양은 8개의 자음 ख kha, ग ga, n ञ nya, ठ ṭha ण ṇa, थ tha, ध dha, श sha와 결합될 때(또는 이들 중 하나가 조합의 첫 번째 자음인 경우)다른 형태를 취한다[7] (또한 आ ā 또는 ī를 나타내는 세로 기호는 자음 क ka, ज्ञ ja 또는 ठ ṭha와 결합될 때 더 짧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숫자[편집]

0 ० 1 १ 2 २ 3 ३ 4 ४ 5 ५ 6 ६ 7 ७ 8 ८ 9 ९

사용[편집]

란자나 문자는 주로 힌두교와 불교 경전과 산스크리트어로 된 문학을 작성하는데 사용되며, 네와르족 공동체에서 사용하는 산스크리트어 및 불교 혼합 산스크리트어로 쓰여진다. 란자나 문자는 네팔에서 네와르어로 된 "높은 신분" 문서(결혼 초대장, 증명서 등)를 인쇄하거나 네와르어로 된 책 표지에도 사용되고 있다.[8][9] 마하야나와 바지야나 불교 전통에서는 성관음옴 마니 파드메 훔 만트라, 타라보살의 옴 타레 투타레 투레 스바하(Om tare tuttare ture svaha) 만트라, 문수보살의 옴아라파차나디(Om a ra pa ca na dhi) 만트라 등 다양한 만트라를 작성하는데 쓰이고 있다.[10][11][12] 이 문자는 힌두교 경전에서도 사용된다.[13]

중국 불교와 다른 동아시아 불교에서 만트라와 다라니의 표준 산스크리트 문자는 란자나 문자가 아닌 당나라 때 중국에서 널리 전파된 초기 싯담 문자였다.[14] 물론 중국 제국 말기에 티베트 불교의 영향으로 란자나 문자가 대중화되어 동아시아 전역에서도 이 문자가 발견되지만 싯담 문자만큼 흔하지는 않다.[15] 베트남에서 란자나 문자는 특히 Huế와 같은 중부 지역의 승려들이 불교 의식에서 자주 사용힌다. 부적은 종종 준제보살의 만트라인 "옴 마니 파드메 훔" 또는 "옴 찰레 출레 춘디 스바하(Om cale cule cundi svaha)"라고 읽는 란자나 만트라를 사용하여 만들어진다. 이 문자는 또한 베트남 토속 무당들에 의해 중국에서 건너온 도교 민속 종파인 로반파이(Lỗ Ban phái, 목수의 조사인 노반의 이름을 따옴)와 같은 부적을 사용할 때 채택되었다.[16]

티베트[편집]

란자나 문자가 티베트에 소개되었을 때 라니자(Lanydza, 틀:Bo)로 불렸는데, 이는 단순히 산스크리트어 산스크리트어: लञ्ज 또는 Lañja('꼬리'또는 '발'을 의미)를 티베트어로 표기한 것이다.[17] 라니자는 오늘날 네팔에서 쓰이는 표준 란자나어와는 다소 차이가 있다. 특히 일부 자음과 합자의 모양이 다르며 모음 분음 부호는 일반적으로 자음 ख kha, ग ga, n ञ nya, ठ ṭha ण ṇa, ध dha श sha 와 -위에서 설명한 대로- ठ 문자를 제외하고는 바뀌지 않는다. 숫자나 숫자의 모양도 다르다.

티베트에서는 불교 문헌을 산스크리트어로 쓸 때 라니자 변형이 사용된다.[18] 이러한 문헌의 예로는 성묘길상진실명경 금강반야바라밀경, 소품반야경 등이 있다. 라니자 문자는 마하뷰트파티(Mahāvyutpatti)와 같은 일부 산스크리트어-티베트어 사전의 사본과 인쇄판에서도 발견된다. 그리고 산스크리트어 제목에도 종종 라니자로 쓰여지고 티베트 문자에서 음역과 번역이 뒤따르는 티베트어 문장의 제목 페이지에도 자주 사용된다. 이 문자는 또한 봉헌을 위하 불상과 부도에 삽입된 만트라다라니, 그리고 특정한 만다라를 그리는 데에도 사용된다(일본의 싯담 문자 사용과 유사).

라니자는 종종 마니차의 바깥, 그리고 티베트 사원의 문, 벽, 대들보, 기둥에서 장식적으로 자주 보인다.

라니자(Lanydza)라는 용어는 다음과 같은 수많은 대체 철자가 존재한다.:

  • Lanja
  • Landzha
  • Lantsa
  • Lantsha
  • Lentsa
  • Lendza

모노그램 (쿠탁샤르)[편집]

자나 바할의 정면에 있는 쿠탁샤르 모노그램

쿠탁샤르(Kutākshar)는 란자나 문자의 모노그램이며, 모노그램으로 쓸 수 있는 네팔 문자 중 하나이다.

20세기 이후 현대 네팔[편집]

20세기 중반에 쓰이지 않게 되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적극적으로 사용이 증가했다. 카트만두, 랄리트푸르, 바크타푸르, 티미, 키르티푸르, 바네파 등 많은 지방 자치 단체에서 간판, 표지판 등에 사용된다. 카트만두에서는 문자를 홍보하기 위한 정기적인 프로그램이 열리고 언어 보존을 위한 훈련 수업이 열린다. 이 문자는 네팔 바사 운동에 의해 지지되고 있으며 신문과 웹사이트의 제목에 사용되고 있다.

네팔-독일 프로젝트는 란자나 문자의 필사본을 보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19]

이 문자를 위한 유니코드 블록도 에버타입에 의해 제안되었다.[20]

사진첩[편집]

각주[편집]

  1. Masica, Colin (1993). 《The Indo-Aryan languages》. 143쪽. 
  2. Omniglot틀:Sps
  3. Jwajalapa틀:Sps 보관됨 2007-03-10 - 웨이백 머신
  4. Folk tales from the Himalayan kingdom of Nepal: Black rice and other stories, p.47, Kesar Lall, Ratna Pustak Bhandar
  5. Nepalese Inscriptions in the Rubin Collection
  6. Nagarjuna Institute: Buddhist Sites of Nepal - Hiraynavarna Mahavihara
  7. Shakya, Robison (2002). 《Alphabet of the Nepalese Script:Nepāla lipi varṇamālā》. Nakabahila Lalitpur: Motirāj Śhākya, Thayakalaya. 23쪽. ISBN 9993334367. 
  8. “Preliminary proposal for encoding the Rañjana script in the SMP of the UCS” (PDF). 2006. 3649. 
  9. [1], Preservation of Sanskrit Buddhist Manuscripts in the Kathmandu Valley: Its importance and future, Min Bahadur Shakya
  10. Teachings og Buddha틀:Sps
  11. Dharma Haven틀:Sps
  12. Ranjana font틀:Sps
  13. Asian art
  14. Chattopadhayaya, Alaka (1999). Atisa and Tibet: Life and Works of Dipamkara Srijnana: p. 201
  15. Jiang, Wu (2008). Enlightenment in Dispute: The Reinvention of Chan Buddhism in Seventeenth-Century China: p. 146
  16. “Ma Phương :: Tinh Hoa Đông Phương”. 《maphuong.com》. 2021년 8월 24일에 확인함. 
  17. “lany+dza”. 《Dharma Dictionary》. Tsadra Foundation. 2022년 3월 19일에 확인함. 
  18. Ranjana script and Nepal Bhasa (Newari) language
  19. Ranjana Script틀:Sps
  20. Preliminary proposal for encoding the Rañjana script in the SMP of the UCS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