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베트어
사용 국가 | 중화인민공화국, 인도, 부탄, 네팔 등 |
---|---|
사용 지역 | 티베트고원 |
언어 인구 | 6,150,000 |
문자 | 티베트 문자 |
언어 계통 | 중국티베트어족 티베트버마어파 티베트카나우리어군 티베트어군 티베트어 |
공용어 및 표준 | |
공용어로 쓰는 나라 | ![]() |
언어 부호 | |
ISO 639-1 | bo
|
ISO 639-2 | tib (B)bod (T)
|
ISO 639-3 | guj – 포괄 부호: 티베트어개별 부호: bod — 중부티베트어adx — 암도 방언khg — 캄 방언
|
![]() |
티베트어 위키백과 |
티베트어(བོད་སྐད་ [ˈbø̞dˌskæd])는 티베트 지방에서 쓰이는 언어이다. 티베트어는 중국령 티베트 자치구에서 약 600만 명, 인도, 네팔 등 그 바깥에 거주하는 15만명 즈음의 티베트인이 모어로서 사용하고 있다.
역사[편집]
고전 티베트어에서는 성조가 없이 복잡한 닿소리를 그대로 소리냈다고 알려져 있지만, 위짱말, 라싸말, 캄바말과 같은 오늘날의 수많은 티벳 언어에는 성조가 없어졌다. 한편, 암도어 같은 몇몇 언어에서는 성조없이 글자 그대로 소리내기도 한다.
문자[편집]
티베트어에 사용되는 티베트 문자는 표음문자이며, 기원은 산스크리트어이다. 기본구성은 자음 30자, 모음 4자이다.
티베트문자는 퇸미 삼보다(Thönmi Sambhoṭa)가 만들었다고 전해지지만, 고대 티베트 문헌에 등장하지 않는 인물이라 창제자는 확실하지 않다.
보조적으로 라틴문자로 나타내는 방법에는 와일표기법, 티베트어병음, 티베트-히말라야서재표기법과 같은 여러 가지가 있다.
파찰음 /ཙ/, /ཚ/, /ཛ/, /ཅ/, /ཆ/, /ཇ/은 마찰음 /ས/, /ཟ/, /ཤ/, /ཞ/으로 합쳐졌다.
사용국가[편집]
중국 (티베트자치구, 암도, 캄지역의 언어)
부탄 (티베트어의 일종인 종카어를 사용)
네팔 (티베트계 소수민족 사용)
미국 (티베트인 망명자 일부 사용)
인도 (티베트 망명 정부에서 사용)
미얀마 (티베트계 소수민족 사용)
발음[편집]
전설 | 후설 | |||
---|---|---|---|---|
평순 | 원순 | 평순 | 원순 | |
고 | i | y | ɤ | u |
중 | e | ø | o | |
저 | æ | ɑ |
종류[편집]
티베트어는 하나의 언어라기보다는 여러 방언/언어로 이루어진 어군이다. 전통 지방 구분에 따라서는 크게 3가지, 곧 표준어가 속하는 위창어를 비롯하여 암도어, 캄어의 방언으로 나눌 수 있는데, 실제로는 더 다양한 언어와 방언들이 존재한다.
- 북서 티베트어
- 서부 티베트어
- 암도 티베트어
- 캄 티베트어
- 중앙 티베트어(위창어)
- 표준 티베트어(라싸 티베트어)
- 남부 티베트어(네팔 지역)
- 남서 티베트어(부탄 지역)
- 남동 티베트어(중국 지역)
예시[편집]
수자비교[편집]
위짱어, 암도어, 캄바어로 소리낸 티베트어셈씨:[1]
GLOSA | 위짱 (가운데) | 암도 | 캄/캄바 | 고전티베트어 | ||||||
---|---|---|---|---|---|---|---|---|---|---|
라싸 | 쳥쨩 | 돌뽀 | 지렐 | 무곰 | 셸빠 | 욜모 | ||||
'1' | ʨiʔ53 | ʨi53 | ʂik | dokpoi | ʧɪk | ʦɪk55 | ʨīː | xʨɨx | ʨi55 | *xʨik
gtšig |
'2' | ȵi55 | ȵi55 | ɲiː | ŋi | ŋi | ŋi55 | ɲìː | ɦȵi | ɲɯ53 | *gnis
gnis |
'3' | sum55 | sɔ̃53 | sum | sum | sum | sum55 | sūm | sɘm | sũ53 | *xsum
gsum |
'4' | ɕi13 | ɣɯ31 | ɕi̤ː | si | ɕi | ʣi55 | ʑì̤ | ɦʑɘ | ʐə33 | *βʑi
bži |
'5' | ŋa53 | ɴɐ53 | ŋa | ŋa | ŋá | ŋɑ55 | ŋɑ̀ | ɦŋa | ŋɑ53 | *ɬŋɑ
lŋa |
'6' | tʂʰuʔ13 | tʂu31 | ʈṳk | tʰuk | duk | ɖʊk11 | ʈṳ̀ː | tʂəx | tʂo33 | *dɽuk
drug |
'7' | tỹ15 | dɛ̃24 | ty̤n | duin | dun | dɪn55 | t̪ì̤n | ɦdɘn | dĩ33 | *βdun
bdun |
'8' | ɕɛʔ13 | dʑe31 | ce̤ʔ | get | ket | gæ55 | cē̤ː | ɦdʑʲɛ | ʑe33 | *βɽgjat
brgyad |
'9' | ku13 | ɡɯ31 | kṳ | gu | gu | gu55 | kṳ̀ | ɦgɘ | gə33 | *dgu
dgu |
'10' | ʨu53 | ʨɯ53 | tɕu | ʦutʰambaː | ʧú | ʦi55tʰɑm11ba11 | ʨʉ̄ | ʨɘ | ʨə55 | *ɸʨu
btšu |
셈씨소리내기에는 대체로 성조가 있다.
동쪽, 기운데티베트언어로의 셈씨:
GLOSA | 종카-라카 | 발티-라닼 | 스삐티브호띠 | |||||
---|---|---|---|---|---|---|---|---|
종카 | 시킴 | 발띠 | 챵탕 | 라다크 | 뿌릭 | 장스까리 | ||
'1' | ʨí | ʧi | ʧik | ʧik | ʧik | ʧik | ʧiʔ | ʧík |
'2' | ɲí | ni | ɲis | ɲis | ɲis | ɲis | ɲiː | ɲiː |
'3' | súm | súm | xsum | sum | sum | sum | sum | súm |
'4' | ʃi̤ | ʒe | βʒi | zi | zi | ʒi | ʒi | ʒì |
'5' | ŋə | ŋa | ɣɑ | ŋa | ʂŋa | ʂŋə | ŋa | ŋá |
'6' | dʑo | tʰu | truk | ɖruk | ʈuk | ʈuk | ʈuʔ | ʈùk |
'7' | ty̤n | dĩ | βdun | dun | rdun | rdun | ðun | dùn |
'8' | kæ̤ | gɛ | βgyʌt | gʲat | rgʲat | rgyət | ʝət | ɟèt |
'9' | kṳ | go | rgu | gu | rgu | rgu | ɣu | gù |
'10' | ʨu tʰam | ʧɔːmba | ɸʧu | ʧu | rʧu | rču | ʧu | ʧú |
![]() |
이 글은 언어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 ↑ http://lingweb.eva.mpg.de/numeral/Sino-Tibetan.htm.
|제목=
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