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마 문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버마 문자
원래 이름 မြန်မာအက္ခရာ
유형 아부기다
표기 언어 버마어
사용 시기 984년 또는 1035년 ~ 현재
계통 원시 시나이 문자
 페니키아 문자
  아람 문자
   브라흐미 문자
    그란타 문자
     몬 문자
      버마 문자


버마 문자(버마어: မြန်မာအက္ခရာ; IPA: [mjəmà ʔɛʔkʰəjà])는 아부기다로, 브라흐미계 문자에 속하며, 버마족들이 사용한다.

기본적으로는 버마어 체계에서 쓰이는 문자이지만 몬 어, 샨 어, 카렌어가 속해 있는 카렌어족, 파라웅 어, 카야어 및 미얀마 인근 언어 체계에서 쓰이는 철자이다. 이를 반영하여 유니코드에도 관련 어휘가 쓰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의식용 언어인 산스크리트어에도 사용된다.

문자는 동그란 모양을 띠고 있는데 전통적으로 야자수 잎이 연필과 같은 필기구 역할을 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쓰며 단어 사이에 띄어쓰기를 할 필요가 없다. 단, 현대식 글쓰기에서는 가독성 배가 차원에서 각 절이 끝나면 띠운다.

버마 문자는 몬 어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이며 가장 오래된 문서는 1035년의 것으로 18세기에 돌에 새겨진 비문이 984년에 쓰여졌다는 것이 밝혀지면서 그 연대가 더욱 앞당겨졌다. 버마 문자는 원래 사각형 형태를 띠었지만 17세기부터 야자수잎 모양처럼 둥근 모양을 띠게 되면서 모양이 바뀌었다. 또한 음성학적으로 버마어 자체에 맞춰가면서 문자 또한 현격하게 바뀌었다.

알파벳[편집]

배치[편집]

브라흐미 문자와 같이 미얀마 문자는 파열음이 5개의 문자로 그룹을 지어 나뉘는데 이를 wek (ဝဂ်이라 부른다. 각 그룹의 첫 번째 문자는 무기음이고 두 번째 글자는 유기음, 셋, 넷째 글자는 유성음, 다섯 번째는 비강음이다. 33개 문자 중 25개 문자는 이 원리를 지켜서 구성되며 팔리어의 규칙과 동일하다. 나머지 문자 , , , , , , , )는 번외이며 다른 규칙을 특별히 따르지 않는다.

문자[편집]

초성자음이나 여러 자음이 함께 기능하며 다음에 모음이 와서 하나의 음절이 된다. 다른 아부기다 문자와 같이 모음은 발음구분 기호가 자음의 위, 아래, 앞, 뒤에 표시되어 있어 성조가 구분된다. 자음은 자체적으로 아 소리를 달고 있기 때문에 모음과 결합하면서 변용되고 별도로 성조 변화 표기를 하지는 않는다.

다음의 표는 국제음성기호 상 구분한 문자이며 문자의 소리와 순서에 따라 순서대로 구성한 것이다.

명칭 자음군
무기음 (သိထိလ) 유기음 (ဓနိတ) 유성음 (လဟု) 비강음 (နိဂ္ဂဟိတ)
후두음
(ကဏ္ဍဇ)
ကဝဂ်
က /k/ /kʰ/ /ɡ/ /ᵑɡ/ /ŋ/
ကကြီး [ka̰ dʑí] ခကွေး [kʰa̰ ɡwé] ဂငယ် [ɡa̰ ŋɛ̀] ဃကြီး [ᵑɡa̰ dʑí] [ŋa̰]
구개음
(တာလုဇ)
စဝဂ်
/s/ /sʰ/ /z/ /ⁿz/ ဉ / ည /ɲ/
စလုံး [sa̰ lóʊɴ] ဆလိမ် [sʰa̰ lèɪɴ] ဇကွဲ [za̰ ɡwɛ́] ဈမျဉ်းဆွဲ [ⁿza̰ mjɪ̀ɴ zwɛ́] ညကလေး/ ညကြီး [ɲa̰ dʑí]
치경음
(မုဒ္ဒဇ)
ဋဝဂ်
/t/ /tʰ/ /d/ /ⁿd/ /n/
ဋသန်လျင်းချိတ် [ta̰ təlɪ́ɴ dʑeɪʔ] ဌဝမ်းဘဲ [tʰa̰ wʊ́ɴ bɛ́] ဍရင်ကောက် [da̰ jɪ̀ɴ ɡaʊʔ] ဎရေမှုတ် [ⁿda̰ jè m̥oʊʔ] ဏကြီး [na̰ dʑí]
치음
(ဒန္တဇ)
တဝဂ်
/t/ /tʰ/ /d/ /ⁿd/ /n/
တဝမ်းပူ [ta̰ wʊ́ɴ bù] ထဆင်ထူး [tʰa̰ sʰɪ̀ɴ dú] ဒထွေး [da̰ dwé] ဓအောက်ခြိုက် [ⁿda̰ ʔaʊʔ tɕʰaɪʔ] နငယ် [na̰ ŋɛ̀]
순음
(ဩဌဇ)
ပဝဂ်
/p/ /pʰ/ /b/ /ᵐb/ /m/
ပစောက် ([pa̰ zaʊʔ]) ဖဦးထုပ် ([pʰa̰ ʔóʊʔ tʰoʊʔ]) ဗထက်ခြိုက်‌ ([ba̰ lɛʔ tɕʰaɪʔ]) ဘကုန်း ([ᵐba̰ ɡóʊɴ]) [ma̰]
기타
규칙외
(အဝဂ်)
/j/ /j/ /l/ /w/ /θ/
ယပက်လက် [ja̰ pɛʔ lɛʔ] ရကောက်‌ [ja̰ ɡaʊʔ] လငယ် [la̰ ŋɛ̀] ဝ‌ [wa̰] သ‌ [θa̰]
/h/ /l/ /ʔ/
ဟ‌ [ha̰] ဠကြီး [la̰ dʑí] [ʔa̰]
  • (gh), (jh), (), (ṭh), (), (ḍh), (), (d), (bh) and ()는 팔리어에서 유래한 것이다.

일부 방언에서는 /l/ 발음을 구분하기 위해 발음 구분 기호를 사용하는데 이는 현대 미얀마어에서 /y/발음으로 흡수됐다.

발음구별 구호상 결합 가능한 예는 다음과 같다.

중간 자음에 오는 발음 구별기호는 [m]
Base 문자 IPA MLCTS 비고

ya pin
မျ [mj] my 일반적으로 양순음이나 연구개음에 쓰이는 것. (က ခ ဂ ဃ င ပ ဖ ဗ မ လ သ).
구개음화되는 연구개음: ကျ (ky), ချ (hky), ဂျ (gy) 소리는 다음과 같이 발음된다: [tɕ], [tɕʰ], [dʑ]
မျှ [m̥j] hmy သျှ (hsy) and လျှ (hly)는 쉬 [ʃ] 발음이다.
မျွ [mw] myw
မျွှ [m̥w] hmyw

ya yit
မြ [mj] mr 양순음과 연구개음에만 사용된다.(က ခ ဂ ဃ င ပ ဖ ဗ မ). (단, 팔리어와 산스크리트어 차용 단어는 다른 자음에도 사용된다.)
구개음화 연구개음s: ကြ (kr), ခြ (hkr), ဂြ (gr), ငြ
မြှ [m̥j] hmr
မြွ [mw] mrw
မြွှ [m̥w] hmrw

wa hswe
မွ [mw] mw
မွှ [m̥w] hmw

ha hto
မှ [m̥] hm 다음 경우에 한정 사용된다. ငှ (hng) [ŋ̊], ညှ/ဉှ (hny) [ɲ̥], နှ (hn) [n̥], မှ (hm) [m̥], လှ (hl) [ɬ], ဝှ (hw) [ʍ]. ယှ (hy) and ရှ

같이 보기[편집]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