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타토스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17세기 아이슬란드어 필사본에 그려진 라타토스크. 이 그림의 라타토스크는 뿔이 나 있는데, 필사본 어디에서도 그에 대한 설명은 찾을 수 없다.

라타토스크(고대 노르드어: Ratatoskr→송곳 이빨,[1] 뚫는 이빨[2])는 노르드 신화에서 세계수 위그드라실의 줄기에 사는 청설모이다. 꼭대기의 흐르스벨그와 뿌리의 비룡 니드호그 사이를 오가면서 둘 사이에 말을 전한다. 라타토스크는 13세기 이전의 서사시 모음집인 《고 에다》와 13세기에 스노리 스투를루손이 쓴 《신 에다》에 언급된다.

어원[편집]

"라타토스크"라는 이름은 "라타"(rata-)와 "토스크"(-toskr)라는 두 개의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토스크"는 대체로 "엄니"(tusk)를 의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구드브란두르 비그푸손은 "라티"(rati-)가 "여행자"를 의미한다는 가설을 제안했다. 그는 오딘이 사용한 송곳 라티 역시 동일한 요소를 나타낸다고 본다. 비그푸손에 따르면 "라타토스크"는 "여행자 엄니" 또는 "기어오르내리는 엄니"를 뜻한다.[3]

소푸스 부게는 "라타토스크"가 고대 영어에서 비롯된 외래어이며, "쥐 이빨"(rat-tooth)을 의미한다는 가설을 세웠다. 부게의 핵심 논지는 "토스크"라는 성분은 노르드어의 다른 어휘에서는 단 하나도 나타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부게는 "토스크"란 고대 영어의 tūsc가 변형된 것이며, "라타" 성분은 고대 영어의 ræt("쥐")에 해당한다고 보았다.[4]

Albert Sturtevant는 고대 노르드어 "라타"가 〈높으신 분이 말하기를〉에서 분명히 사용되고 있으며, 여기서 오딘이 시예의 봉밀주를 얻기 위해 암벽에다가 "천공"(구멍뚫기)을 행했을 때 사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부게의 가설은 근거가 없다고 비판했다. 그에 따르면 "라티"는 노르드어 고유의 어휘이며, "뚫는 것"이라는 의미라고 판단해야 한다.[4]

한편 Sturtevant는 "토스크"가 노르드어의 어디에서도 발견되지 않는다는 사실로 인해 부게의 "토스크"에 대한 이론은 맞는 것처럼 보일 수도 있다고 말한다. 하지만 Sturtevant는 결론적으로 그 견해에 동의하지 않는다. Sturtevant는 노르드어의 고유명사 "툰네"(Tunne; 노르드 조어 *Tunþē에서 유래)가 “특이한 이빨을 가진 사람을 가리키는 말”이며, 이를 통해 "토스크"의 게르만조어 형태를 제시했다. Sturtevant는 “이 말이 "라타-토스크"에 단 한번밖에 나타나지 않는다는 것은 본 가정에 대한 적절한 반대 증거가 될 수 없다. 노르드어에는 단 한번밖에 언급되지 않는 어휘가 이 외에도 많다”는 결론을 내렸다.[5] 현대의 학자들은 이 이론을 받아들여 "라타토스크"란 "송곳 이빨"(Jesse Byock, Andy Orchard, Rudolf Simek[1]) 또는 "뚫는 이빨"(John Lindow[2])이라고 해석하고 있다.

문헌상 출전[편집]

노르웨이의 상록수 위에 올라간 청설모.

《고 에다》 중 〈그림니르가 말하기를〉을 보면, "그림니르"라는 가명을 사용한 오딘이 라타토스크가 위그드라실 위아래를 오가면서 나무 꼭대기의 수리와 뿌리 아래의 니드호그 사이에 말을 전한다고 한다.

벤저민 소프의 번역:
그 청설모의 이름은 라타토스크로,
위그드라실 물푸레 속을 뛰어다니며
위에 있는 수리의 말을 전하고,
아래에 있는 니드호그의 대답을 듣는다.[6]
헨리 애덤스 벨로우스의 번역:
물푸레나무 위그드라실 위를
뛰어다니는 청설모 있으니 라타토스크라.
위에서는 수리가 하는 말을 듣고,
아래로 가서 니드호그에게 그 말을 전하네.[7]

라타토스크는 《신 에다》의 〈길피의 속임수〉제16장에서 언급된다. 여기서 높으신 분은 다음과 같이 말한다

물푸레나무의 꼭대기에 수리 한 마리가 앉아있고, 그 수리는 많은 것을 알고 있다. 수리의 눈 사이에 베드르폴니르라는 매가 앉아 있다. [...]. 라타토스크라는 청설모가 [...] 물푸레나무의 위아래를 뛰어다닌다. 놈은 중상모략적 험담을 떠들면서, 수리와 니드호그를 화나게 한다.[8]

신화 해석[편집]

루돌프 지메크에 따르면, “이 청설모는 〈그림니르가 말하기를〉에서 세계수의 신화적 광경을 자세히 윤색하는 기능이 있을 뿐이다.”[9] 힐다 엘리스 데이비드슨은 청설모는 나무를 갉아먹는 존재이며, 이는 연속적인 파괴와 재생의 순환을, 변화무쌍한 세계수라는 존재를 상정하는 것이라고 본다.[10] 존 린도우에 따르면, “사가에서, 악의적인 말을 전해서 사람들을 흥분시키거나 싸움을 일으키는 존재가 높은 지위에 있는 경우는 매우 드문데, 그런 점이 왜 신화의 이 역할이 상대적으로 보잘것없는 동물에게 주어졌는지 설명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2]

리처드 W. 토링턴 주니어와 케이티 페럴은 “라타토스크의 역할은 아마 위험을 알리기 위해 소리를 지르는 청설모(Sciurus vulgaris)의 습성에서 비롯된 것일 것이다. 사람이 그 소리를 듣고 청설모가 자기 욕을 한다고 생각하게 되었다고 상상해 보는 것은 그렇게 어렵지 않다”고 말한다.[11]

각주[편집]

  1. Orchard (1997:129), Simek (2007:261), and Byock (2005:173).
  2. Lindow (2001:259).
  3. Guðbrandur (1874:483).
  4. Sturtevant (1956:111).
  5. Sturtevant (1956:111–112).
  6. Thorpe (1907:23).
  7. Bellows (1936:97).
  8. Byock (2005:26).
  9. Simek (2007:261).
  10. Davidson (1993:68–69).
  11. Thorington Jr. and Ferrel (2006:142).

참고 자료[편집]

  • Bellows, Henry Adams (Trans.) (1936). The Poetic Edda. Princeton University Press. New York: The American-Scandinavian Foundation.
  • Byock, Jesse (Trans.) (2005). The Prose Edda. Penguin Classics. ISBN 0-14-044755-5
  • Davidson, Hilda Roderick Ellis (1993). The Lost Beliefs of Northern Europe. Routledge. ISBN 0-415-04937-7
  • Guðbrandur Vigfússon (1874). An Icelandic-English Dictionary: Based on the Ms. Collections of the Late Richard Cleasby. Clarendon Press.
  • Lindow, John (2001). Norse Mythology: A Guide to the Gods, Heroes, Rituals, and Beliefs.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0-19-515382-0
  • Orchard, Andy (1997). Dictionary of Norse Myth and Legend. Cassell. ISBN 0-304-34520-2
  • Simek, Rudolf (2007) translated by Angela Hall. Dictionary of Northern Mythology. D.S. Brewer ISBN 0-85991-513-1
  • Sturtevant, Albert Morey (1956). "Three Old Norse Words: Gamban, Ratatoskr, and Gymir" as collected in Sturtevant, Albert Morey (Editor) (1956). Scandinavian Studies', August 1956, volume 28, number 3.
  • Thorington Jr. Richard W. and Ferrell, Katie (2006). Squirrels: The Animal Answer Guid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ISBN 0-8018-8403-9
  • Thorpe, Benjamin (Trans.) (1907). The Elder Edda of Saemund Sigfusson. Norrœna Soci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