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실
화장실(化粧室. 문자 그대로는 화장을 고치는 방. toilet, 문화어: 위생실)은 수리 시설의 일종으로 일차적으로는 인간의 배설물, 즉 소변과 대변을 처리하기 위한 편의 시설이다. 해우소(解憂所, 근심을 푸는 장소) 또는 뒷간(-間, 뒷쪽에 있는 방), 측간(廁間), 변소(便所, 배설물을 처리하는 곳)라고도 부른다. 이 곳에서 세면을 하거나 간단히 얼굴 화장이나 옷 매무새를 고치는 장소로 쓰이기도 한다. 고대 도시 하라파[1]와 모헨조 다로[2](지금의 인도와 파키스탄쯤에 위치)에는 배설물을 떠내려 보내는 장치가 있는 화장실이 있었으며[3] 인더스 문명에도 이러한 형태의 화장실이 있었다.[4] 현대의 양변기의 시초는 1596년에 존 해링턴 경이 고안했으나,[5] 널리 퍼지지는 않았고, 19세기에 와서야 미국 상류층의 주거지에서 쓰이기 시작했다.[6]
동아시아에서는 농경에 사용되는 비료의 원료로 배설물을 모으기 위해 화장실이 지어졌다. 이러한 용도의 화장실은 화학적 방법으로 비료가 대량 생산·판매되면서 그 숫자가 점차 줄어들게 되었다.
전 세계 인구 중 거의 40퍼센트가 화장실을 가지고 있지 못하다.[7]
상류층들 사이에서는 꽤 이른 시기부터 화장실 개념이 사용된 것으로 보이며 그들은 하류층들을 위해서 화장실을 건설해주기도 했다. 그러나 근현대에 이르기까지 화장실 개념을 갖지 못한 하류층이 많았다. 조선의 양반들도 이런 하류층들을 크게 비판[8][9]하기도 했다.
토일렛[편집]
화장실(化粧室)은 문자 그대로는 화장을 고치는 방이다. toilet은 불어로 화장을 일컫는 것인데 이는 유럽에서 머리에 파우더를 뿌렸는데, 파우더를 씻는 것에서 비롯됐다. 이는 따로 파우더를 씻겨 내리는 곳이 필요해서 만들어졌다.[10]
요강[편집]
한국 전통 한옥은 화장실이 밖에 있어, 늦은 시간에 화장실에 가는 것이 쉽지 않아 방마다 이와 같은 형태의 용기를 사용했다. 지금은 거의 없어졌으나, 시골 장터에서는 여전히 판매되고 있다.[11]
사진[편집]
요강.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 ↑ Bathing Area, Mohenjo-daro, Sindh
- ↑ “Toilet Museum”. 2008년 5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4월 24일에 확인함.
- ↑ “Tampereen yliopiston sähköiset julkaisut”. 2008년 4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4월 24일에 확인함.
- ↑ “Who invented the toilet”. 2007년 1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4월 24일에 확인함.
- ↑ “A History of the flush toilet”. 2008년 4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4월 24일에 확인함.
- ↑ Poop Culture: How America is Shaped by its Grossest National Product by Dave Praeger ISBN 1-932595-21-X
- ↑ Nearly two-thirds of Africans have no toilets - CNN.com
- ↑ http://mnews.imaeil.com/NewestAll/2013011407375050761
- ↑ https://www.khan.co.kr/culture/scholarship-heritage/article/201210102105475
- ↑ 『한 번쯤, 파리지앵처럼』
- ↑ “사라져가는 풍물, 풍습들-요강”. 2009년 7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1월 30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