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비양털주머니쥐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 | ||||||||||||||||||||
보전 상태 | ||||||||||||||||||||
---|---|---|---|---|---|---|---|---|---|---|---|---|---|---|---|---|---|---|---|---|
![]() 관심대상(LC), IUCN 3.1[1] | ||||||||||||||||||||
생물 분류 | ||||||||||||||||||||
| ||||||||||||||||||||
학명 | ||||||||||||||||||||
Caluromys derbianus (Waterhouse, 1841) | ||||||||||||||||||||
![]() 더비양털주머니쥐의 분포 |
더비양털주머니쥐(Caluromys derbianus) 또는 중앙아메리카양털주머니쥐는 주머니쥐과에 속하는 주머니쥐의 일종이다.[2][3] 중앙아메리카 지역에서 발견된다.
서식지[편집]
더비양털주머니쥐는 주로 나무 위에서 생활하며, 벨리즈와 콜롬비아, 코스타리카, 에콰도르, 과테말라, 온두라스, 멕시코, 니카라과 그리고 파나마의 고지대와 저지대 우림에서 산다. 해발 고도 2,600m 높이까지에서 발견된다.[1] 이 종은 산림 남벌로 인해 멸종 위협을 받고 있다.
각주[편집]
- ↑ 가 나 “Caluromys derbianus”.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08판》 (영어). 국제 자연 보전 연맹. 2008. 2008년 12월 28일에 확인함. Database entry includes justification for why this species is of least concern
- ↑ Gardner, A.L. (2005). 〈Order Didelphimorphia〉 [주머니쥐목]. Wilson, D.E.; Reeder, D.M.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영어) 3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3쪽. ISBN 978-0-8018-8221-0. OCLC 62265494.
- ↑ Gardner, Alfred L. (2007). 〈Caluromys derbianus〉. Gardner, Alfred L. 《Mammals of South America, Volume 1: Marsupials, Xenarthrans, Shrews, and Bats》.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9–116 (p. 100)쪽. ISBN 978-0-226-28240-4.
- Sitole, S. (1999). “Caluromys derbianus”. 《Animal Diversity Web》. 2009년 11월 13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