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꼬리딱새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 수컷 | ||||||||||||||||
보전 상태 | ||||||||||||||||
---|---|---|---|---|---|---|---|---|---|---|---|---|---|---|---|---|
![]() 취약(VU), IUCN 3.1[1] | ||||||||||||||||
생물 분류 | ||||||||||||||||
| ||||||||||||||||
학명 | ||||||||||||||||
Terpsiphone atrocaudata Eyton, 1839 |
긴꼬리딱새는 삼광조라고도 불린다[2]. 참새목 까치딱새과의 종으로, 한반도의 남부지역, 주로 제주도에 서식하는 여름철새이다. 이전에는 까치딱새과로 분류했다. 수컷과 암컷은 몸 길이가 큰 차이가 나는데, 수컷은 꼬리가 매우 길어서 45cm정도이고, 암컷은 수컷에 비해 꼬리가 짧아 18 cm 정도이다[3]. 배가 희고, 날개는 갈색이며, 나머지는 검다. 또, 부리와 눈 테두리가 파란색을 띤다.
각주[편집]
- ↑ 버드라이프 인터내셔널 (2012). “Terpsiphone atrocaudata”.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12.1판》 (영어). 국제 자연 보전 연맹. 2012년 7월 16일에 확인함.
- ↑ 삼광조는 일본식 이름이다
- ↑ 정홍규 (2012년 7월 15일). “[자연과 인간] 멸종위기 긴꼬리딱새 남해서 첫 발견”. KBS. 2014년 7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7월 15일에 확인함.
|제목=
에 지움 문자가 있음(위치 1) (도움말)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
위키생물종에 관련된 분류 및 자료가 있습니다. |
![]() |
이 글은 새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