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각 장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양자장론에서 초등각 장론(超等角場論, 영어: superconformal field theory, 약자 SCFT)은 등각 대칭초대칭을 동시에 갖는 양자장론이다.

4차원 초등각 장론[편집]

4차원 초등각 장론은 4차원 초등각 대칭을 따르는 양자장론이며, 4차원 초대칭 양자장론의 재규격화군흐름의 적외선 극한으로 얻어진다.

4차원 초등각 대수[편집]

4차원에서, 초전하의 수가 개인 초등각 대수는 이다.[1] 그 보손 성분은

이다. 다만, 일 경우 U(1) R대칭이 깨져,

가 된다.[1]

4차원 초등각 대수의 생성원 및 이들의 보손 대칭 표현은 다음과 같다.

생성원 기호 R대칭 표현 로런츠 표현 에르미트 수반
운동량 +1 1 (½,½)
왼손 초전하 (½,0)
오른손 초전하 (0,½)
확대 0 1 (0,0)
각운동량 0 1 (1,0) ⊕ (0,1)
R대칭 0 (0,0)
왼손 특수 초전하 −½ (½,0)
오른손 특수 초전하 −½ (0,½)
특수 등각 변환 −1 1 (½,½)

, , , 사이의 리 괄호등각 대칭과 같으며. 나머지 리 괄호들은 다음과 같다.[2]

여기서

이다.

표현[편집]

4차원 초등각 장론에서의 1차 등각장은 R대칭 표현과 등각 무게 및 로런츠 표현에 의하여 결정된다. 유니터리 초등각 장론의 경우 이 값들에 대하여 유니터리 하한(영어: unitarity bound)이라는 부등식들이 존재한다.[3]

3차원 초등각 장론[편집]

3차원 초등각 대수는 이며, 그 보손 부분군은

이다. 즉, R대칭군은 이다.[4]

2차원 초등각 장론[편집]

2차원 초등각 대수는 비라소로 대수를 포함하므로 무한 차원의 리 초대수이며, 이에 따라 2차원 초등각 장론들은 여러 특수한 성질들을 갖는다.

성질[편집]

4차원 초등각 장론의 R전하 및 등각 무게는 -최대화(영어: -maximization)라는 방법으로 계산할 수 있다.[5][6] 즉, 이들 값들은 항상 대수적 수이다.

[편집]

초대칭 양-밀스 이론은 4차원 초등각 장론이며, 이는 D3-막의 세계부피 이론이다. 6차원 (2,0) 초등각 장론리만 곡면축소화하면, 𝒮류 이론(영어: theories of class 𝒮)이라는 초등각 장론들을 얻는다.[7] 4차원 초등각 장론에 대하여서는 자이베르그 이중성이라는 이중성이 존재한다.

3차원에서는 베스-추미노 모형재규격화군 흐름의 고정점을 만나, 초등각 장론을 이룬다.[8] 그러나 4차원에서는 베스-추미노 모형의 적외선 극한은 자유 이론이다.

6차원에서는 6차원 (2,0) 초등각 장론이 존재한다. 이는 M5-막의 세계부피 이론이다.

참고 문헌[편집]

  1. Nahm, Werner (1978). “Supersymmetries and their representations” (PDF). 《Nuclear Physics B》 (영어) 135: 149. 2018년 7월 26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6월 16일에 확인함. 
  2. Gates, S. J.; Grisaru, Marcus T.; Rocek, M.; Siegel, W. (1983). 《Superspace, or one thousand and one lessons in supersymmetry》. Frontiers in Physics (영어) 58. arXiv:hep-th/0108200. Bibcode:2001hep.th....8200G. 
  3. Minwalla, Shiraz (1998). “Restrictions imposed by superconformal invariance on quantum field theories”. 《Advances in Theoretical and Mathematical Physics》 (영어) 2: 781-846. arXiv:hep-th/9712074. 
  4. Park, Jeong-Hyuck (2000년 10월). “Superconformal symmetry in three dimensions”. 《Journal of Mathematical Physics》 (영어) 41 (10): 7129–7161. arXiv:hep-th/9910199. Bibcode:2000JMP....41.7129P. doi:10.1063/1.1290056. 
  5. Intriligator, Kenneth; Wecht, Brian. “The exact superconformal R-symmetry maximizes ” (영어). arXiv:hep-th/0304128. doi:10.1016/S0550-3213(03)00459-0.  |제목=에 지움 문자가 있음(위치 47) (도움말)
  6. Intriligator, Kenneth; Wecht, Brian. “Exploring the 4d Superconformal Zoo” (영어). arXiv:hep-th/0402084. 
  7. Gaiotto, Davide; Gregory W. Moore, Andrew Neitzke (2013년 2월 15일). “Wall-crossing, Hitchin systems, and the WKB approximation”. 《Advances in Mathematics》 (영어) 234: 239–403. arXiv:0907.3987. Bibcode:2009arXiv0907.3987G. doi:10.1016/j.aim.2012.09.027. ISSN 0001-8708. 
  8. West, Peter C. (1997). “Introduction to rigid supersymmetric theories”. arXiv:hep-th/9805055. 
  • Shnider, Steven (1988년 11월). “The superconformal algebra in higher dimensions”. 《Letters in Mathematical Physics》 (영어) 16 (4): 377–383. doi:10.1007/BF00402046.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