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뿔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관뿔매
남아프리카 공화국 콰줄루나탈주의 관뿔매
남아프리카 공화국 콰줄루나탈주의 관뿔매
생물 분류ℹ️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조강
목: 수리목
과: 수리과
아과: 검독수리아과
속: 관뿔매속
(Stephanoaetus)
종: 관뿔매
(S. coronatus)
학명
Stephanoaetus coronatus
Linnaeus, 1766
관뿔매의 분포

관뿔매의 분포 지역 (초록색)
보전상태


준위협(NT): 근미래에 위협에 처할 수 있음
평가기관: IUCN 적색 목록 3.1[1]

관뿔매(Crowned eagle)는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서 발견되는 큰 맹금류이고, 남아프리카에서는 동부 지역으로 제한된다.[2] 선호되는 서식지는 주로 강우림과 다양한 숲이다.[2] 관뿔매는 스테파노아투스속에 속하는 현존하는 유일한 동물이다. 두 번째 종인 마다가스카르관뿔매는 인간이 마다가스카르에 정착한 이후 멸종했다.[3]

적어도 90%의 식단이 포유류이고,[4][5] 개체군이 먹는 일반적인 먹이는 뚜렷한 지역적 차이를 보여준다. 전 범위에 걸쳐서 주요 먹이는 작은 유제류(다이커영양, 작은사슴 등), 바위너구리, 원숭이와 같은 작은 영장류이다.[6] 와 큰 도마뱀은 거의 잡히지 않는다.[6]

비록 관뿔매의 긴 꼬리가 90cm까지 전체 길이를 가져오지만, 아프리카에서 가장 큰 독수리잔점배무늬독수리보다 다소 덜 무겁고 날개 폭이 상당히 짧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먹이감의 무게로 측정했을 때 아프리카에서 가장 강력한 독수리로 여겨진다.[6] 종종 임바발라와 같은 포유류를 잡아먹지만, 예외적으로 몸무게는 30kg(66lb)까지 나간다.[6][7] 관뿔매는 유난히 큰 발톱과 튼튼한 다리를 가지고 있으며, 두개골을 으스러뜨려 죽일 수도 있다. 독수리는 또한 사납다. 둥지 아래에서 발견된 몇몇 기록들은 11kg 무게의 수컷 검댕망가베이의 유해를 보여준다.[8]

생태학적 유사성 때문에, 관뿔매는 부채머리수리의 아프리카 상대역으로 여겨진다. 그것의 대담하고 눈에 띄는 행동 덕분에, 그것은 숲에 사는 큰 독수리에게 유난히 잘 알려져 있다. 비교적 높은 수준의 서식 적응성 때문에, 최근까지 숲에 의존하는 대형 맹금류들의 기준에 의해 잘 사육되고 있는 것으로 여겨졌다.[9] 그러나 오늘날에는 토착 열대 아프리카 숲의 거의 전염성 파괴로 인해 이전에 인식되었던 것보다 훨씬 더 많이 감소하고 있다고 일반적으로 생각된다.[10] 현재 IUCN에 의해 근위급종로 등재되어 있다.

분포 및 서식지[편집]

관뿔매는 아프리카 대륙에서만 발견된다. 동아프리카에서 관뿔매의 서식 범위는 에티오피아 중부, 우간다, 케냐탄자니아의 숲이 우거진 지역, 남아프리카 동부까지 뻗어 있으며, 남부 분포는 나이스나 주변에 제한되어 있다.[2] 서부 아프리카와 중부 아프리카에서는 관뿔매의 서식지가 광활한 아프리카 열대우림의 대부분에 걸쳐 있다. 기니 숲에 서식하는 세네갈, 감비아, 시에라리온, 카메룬에서 콩고 민주 공화국까지, 그리고 남쪽으로 앙골라까지 분포할 수 있다. 큰 분포에도 불구하고, 관뿔매는 현재 서아프리카의 많은 지역에서 드물다.[6]

행동[편집]

우간다 서부 부동고의 영토 위를 날고 있는 관뿔매

아프리카에서 번식하는 대부분의 맹금류들 중, 관뿔매는 이주하지 않고 대부분 앉아 있다.[11] 이 종은 보통 다 자란 후 1년 내내 일정한 지역에서 서식한다. 예를 들어, 고립된 번식지에서 짝을 바꿔야 할 때, 상황에 따라 새들이 어느 정도 움직인다는 증거가 있다.[12] 눈에 띄는 거리 중 가장 큰 움직임은 보통 성숙하기 전에 비교적 널리 떠도는 어린 새들과 관련이 있다.[11][13] 남부 아프리카에서 울렸다가 회복된 다양한 나이의 44마리의 새들이 울리는 지역 근처에서 모두 발견되었다.[11] 관뿔매의 작은 움직임은 케냐의 탁 트인 사바나 언덕, 르와 야생동물 보호구역의 탁 트인 강바닥, 나이로비의 골프장 등 보기 힘든 서식지에서 목격되는 결과를 낳았다.[14]

인간과의 관계[편집]

어린 암컷 관뿔매의 초기 삽화

인간에 대한 공격[편집]

몇몇 작은 육식성 새들이 둥지에 너무 가까이 오면 인간을 공격하지만, 이들은 보통 인간 희생자에게 사소한 결과를 가져온다. 어미 관뿔매는 날개짓이 끝난 후 둥지에 가까이 오는 모든 사람을 선뜻 공격한다.[15] 성인 수컷은 또한 도망치기 전에 인간을 공격할 수 있지만, 드물게 공격할 뿐이다. 독수리의 크기와 힘에도 불구하고, 독수리의 공격은 침입한 동물을 죽이거나 심각하게 손상시키지 않고 대체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작은 결과도 가져올 수 있다. 그러나 둥지 방어 공격은 감염의 위험이나 꿰매야 할 수 있는 깊고 고통스러운 상처를 초래할 수 있다.

관뿔매는 아마도 현존하는 유일한 맹금류로서 인간의 아이들을 먹이로 공격하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한 경우, 몸무게가 약 20kg인 7살 소년이 왕관 독수리에게 매복 공격을 당했는데, 독수리는 그의 발톱을 목구멍과 가슴팍으로 쑤셔 넣었다. 이 공격은 한 여성이 그들을 덮쳤고 독수리를 괭이로 때려 죽임으로써 아이를 구했다.[16] 또 다른 사례로는, 관뿔매 한 쌍 둥지에서 인간 아이의 두개골이 발견되었다.[16] 또 다른 예로, 사이먼 톰셋은 4살 소녀의 실종에 대한 조사를 돕다가 표범이 접근할 수 없고 관뿔매로 알려진 높은 나무에서 아이의 절단된 팔이 발견된 후 관뿔매의 희생자라고 믿게 되었다.[14]

계통 분류[편집]

2021년 카타나흐(Catanach) 등과 생스터(Sangster) 등의 연구에 기초한 검독수리아과 계통 분류이다.[17]

검독수리아과

관뿔매속

Nisaetus

뿔매속

Lophotriorchis

잔점배무늬독수리속

Lophaetus

Ictinaetus

Clanga

흰점어깨수리속

검독수리속

각주[편집]

  1. BirdLife International. 2018. Stephanoaetus coronatus.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18: e.T22696201A129914678. https://dx.doi.org/10.2305/IUCN.UK.2018-2.RLTS.T22696201A129914678.en. Downloaded on 08 November 2021.
  2. Sinclair & Ryan (2003). Birds of Africa south of the Sahara. ISBN 1-86872-857-9
  3. Goodman, Steven M. (1994). Proceedings of the Biological Society of Washington 107(3): 421–428 ISSN 0006-324X Description of a new species of subfossil eagle from Madagascar: Stephanoaetus (Aves: Falconiformes) From The Deposits Of Ampasambazimba. Pdf
  4. Mitani, J.C.; Sanders, W.J.; Lwanga, J.S.; Windfelder, T.L. (2001). Predatory behavior of crowned hawk-eagles (Stephanoaetus coronatus) in Kibale National Park, Uganda (PDF). 《Behavioral Ecology and Sociobiology》 49 (2–3): 187–195. doi:10.1007/s002650000283. hdl:2027.42/42089. S2CID 19062636. 
  5. African Crowned Eagle 보관됨 29 6월 2012 - 웨이백 머신. Sfzoo.org. Retrieved on 2012-08-22.
  6. Kemp, A. C. (1994). Crowned Hawk-eagle (Stephanoaetus coronatus). Pp. 205 in: del Hoyo, Elliott & Sargatal. eds. (1994). Handbook of the Birds of the World, vol. 2. ISBN 84-87334-15-6
  7. Ferguson-Lees & Christie (2001). Raptors of the World. ISBN 0-7136-8026-1
  8. McGraw, W. S.; Cooke, C.; Shultz, S. (2006). “Primate remains from African crowned eagle (Stephanoaetus coronatus) nests in Ivory Coast's Tai Forest: implications for primate predation and early hominid taphonomy in South Africa”. 《American Journal of Physical Anthropology》 131 (2): 151–165. doi:10.1002/ajpa.20420. PMID 16596589. 
  9. Dowsett-Lemaire, F. & Dowsett, R.J. The Birds of Malawi: An Atlas and Handbook. 2006, Tauraco Press and Aves, Liège, Belgium. 556 pages
  10. BirdLife International (2012). Stephanoaetus coronatus. 《IUCN 적색 목록》 (IUCN) 2012. 2013년 11월 26일에 확인함. 
  11. Oatley, T.B., Oschadleus, H.D., Navarro, R.A. and Underhill, L.G. 1998. Review of ring recoveries of birds of prey in southern Africa: 1948–1998. Johannesburg: Endangered Wildlife Trust.
  12. Eagles, Hawks and Falcons of the World by Leslie Brown & Dean Amadon. The Wellfleet Press (1986), ISBN 978-1555214722.
  13. Bildstein, K.L. 2006. Migrating raptors of the world: their ecology and conservation. Cornell University Press, Ithaca, NY.
  14. Thomsett, Simon. “Simon Thomsett on the African Crowned Eagle”. African Raptors. 2013년 6월 24일에 확인함. 
  15. Brown, L. 1976. Eagles of the World. David and Charles, ISBN 0360003184.
  16. Steyn, P. 1982. Birds of prey of southern Africa: their identification and life histories. David Phillip, Cape Town, South Africa.
  17. Amaral et al. (2006, 2009), Arshad (2009), Barrowclough et al. (2014), Breman et al. (2013), Bunce et al. (2005), Catanach et al. (2021), Gamauf and Haring (2004), Griffiths et al. (2007), Haring et al. (2007b), Helbig et al. (2005), Knapp et al. (2019), Kocum (2006), Kruckenhauser et al. (2004), Lerner and Mindell (2005), Lerner et al. (2008, 2017), Nagy and T¨ok¨olyi (2014), Oatley et al. (2015), Ong et al. (2011), Riesing et al. (2003), Sangster et al. (2021), Wink and Sauer-G¨urth (2004)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