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빈투롱: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51번째 줄: 51번째 줄:
빈투롱은 [[아시아사향고양이속|아시아사향고양이]] 및 [[흰코사향고양이]]와 비슷하게 생겼지만 꼬리, 다리 및 발의 길이, 냄새 땀샘의 구조, 그리고 더 큰 코를 가지고 있며 중간 홈이 인중보다 훨씬 좁다. 털의 윤곽선은 훨씬 길고 거칠며, 귀 뒤쪽 전체를 덮고 있는 긴 털은 끝 너머로 뚜렷한 털로 돌출되어 있다. 귀의 앞쪽 점액낭 플랩은 더 넓고 덜 깊게 가장자리가 있다. 꼬리는 특히 밑부분이 더 근육질이며 색상은 일반적으로 몸과 비슷하지만 일반적으로 아래쪽 밑부분이 더 창백하다. 체모는 종종 부분적으로 희끄무레하거나 담황색이며, 얼룩덜룩한 위장색을 띄며, 전체적으로 대부분 연노랑색이나 회색을 띈다. 새끼는 종종 성인보다 창백한 색을 띄지만 머리는 항상 회색 또는 담황색으로 얼룩덜룩하다. 길고 신비로운 [[동모]]는 눈에 띄는 흰색이며 그렇지 않으면 검은 귀 꼭대기에 흰색 테두리가 있다. 선 부위는 희끄무레하다.<ref name=":1" />
빈투롱은 [[아시아사향고양이속|아시아사향고양이]] 및 [[흰코사향고양이]]와 비슷하게 생겼지만 꼬리, 다리 및 발의 길이, 냄새 땀샘의 구조, 그리고 더 큰 코를 가지고 있며 중간 홈이 인중보다 훨씬 좁다. 털의 윤곽선은 훨씬 길고 거칠며, 귀 뒤쪽 전체를 덮고 있는 긴 털은 끝 너머로 뚜렷한 털로 돌출되어 있다. 귀의 앞쪽 점액낭 플랩은 더 넓고 덜 깊게 가장자리가 있다. 꼬리는 특히 밑부분이 더 근육질이며 색상은 일반적으로 몸과 비슷하지만 일반적으로 아래쪽 밑부분이 더 창백하다. 체모는 종종 부분적으로 희끄무레하거나 담황색이며, 얼룩덜룩한 위장색을 띄며, 전체적으로 대부분 연노랑색이나 회색을 띈다. 새끼는 종종 성인보다 창백한 색을 띄지만 머리는 항상 회색 또는 담황색으로 얼룩덜룩하다. 길고 신비로운 [[동모]]는 눈에 띄는 흰색이며 그렇지 않으면 검은 귀 꼭대기에 흰색 테두리가 있다. 선 부위는 희끄무레하다.<ref name=":1" />


꼬리는 머리와 몸통의 길이만큼 길다. 몸통은 71-84cm이고 꼬리는 66-69cm 정도이다.<ref>{{서적 인용|url=http://dx.doi.org/10.5962/bhl.title.97003|제목=The Fauna of British India : including Ceylon and Burma = Mammalia /|성=Blanford|이름=William Thomas|날짜=1888|출판사=Taylor and Francis,|위치=London :}}</ref> 머리와 몸통이 75-90cm이고 꼬리가 71cm인 일부 사육 상태의 빈투롱, 포로 성인 여성의 평균 체중은 21.9kg이며 범위는 11-32kg 정도 된다.<ref>{{저널 인용|제목=Studies on the Binturongs (Arctictis binturong) in captivity at the Arignar Anna Zoological Park, Vandalur|저널=Zoos' Print Journal|성=Arivazhagan|이름=C.|성2=Thiyagesan|이름2=K.|url=https://www.zoosprint.zooreach.org/index.php/zpj/article/view/5886/5304|날짜=2000-12-21|권=16|호=1|쪽=395–402|doi=10.11609/JoTT.ZPJ.16.1.395-402}}</ref> 사육 상태의 동물은 종종 야생 동물보다 무게가 더 많이 나간다.<ref name=":3">{{저널 인용|제목=Copulatory Behavior and Reproduction in the Binturong, Arctictis binturong|저널=Journal of Mammalogy|성=Wemmer|이름=C.|성2=Murtaugh|이름2=J.|url=https://academic.oup.com/jmammal/article-lookup/doi/10.2307/1380710|날짜=1981-05-21|권=62|호=2|쪽=342–352|언어=en|doi=10.2307/1380710|issn=1545-1542}}</ref> 12마리의 사육 상태의 암컷 빈투롱의 평균 무게는 24.4kg인 반면 22마리의 수컷은 평균 19.3kg인 것으로 밝혀졌다.<ref>{{저널 인용|제목=MEDETOMIDINE–KETAMINE–BUTORPHANOL ANESTHETIC COMBINATIONS IN BINTURONGS (ARCTICTIS BINTURONG)|저널=Journal of Zoo and Wildlife Medicine|성=Moresco|이름=Anneke|성2=Larsen|이름2=R. Scott|url=http://www.bioone.org/doi/abs/10.1638/03-016|날짜=2003-12|권=34|호=4|쪽=346–351|언어=en|doi=10.1638/03-016|issn=1042-7260}}</ref> 한 연구에서 야생 암컷의 추정 평균 체중은 10.5kg이었다.<ref name=":3" /> 그러나 태국에 있는 7마리의 야생 수컷 빈투롱의 무게는 평균 13.3kg인 반면 암컷 1마리는 13.5kg으로 비슷한 무게로 밝혀졌다.<ref>{{저널 인용|제목=Chemical immobilization of free-ranging dhole (Cuon alpinus), binturong (Arctictis binturong), and yellow-throated marten (Martes flavigula) in Thailand|저널=European Journal of Wildlife Research|성=Grassman|이름=Lon I.|성2=Janecka|이름2=Jan E.|url=http://link.springer.com/10.1007/s10344-006-0040-8|날짜=2006-12|권=52|호=4|쪽=297–300|언어=en|doi=10.1007/s10344-006-0040-8|issn=1612-4642|성3=Austin|이름3=Sean C.|성4=Tewes|이름4=Michael E.|성5=Silvy|이름5=Nova J.}}</ref> 야생 빈투롱의 평균 체중에 대한 한 추정치는 15kg이었다.<ref>{{저널 인용|제목=Ranging, habitat use and activity patterns of binturong Arctictis binturong and yellow-throated marten Martes flavigula in north-central Thailand|저널=Wildlife Biology|성=Grassman|이름=Lon I.|성2=Tewes|이름2=Michael E.|url=http://www.bioone.org/doi/abs/10.2981/0909-6396%282005%2911%5B49%3ARHUAAP%5D2.0.CO%3B2|날짜=2005-03|권=11|호=1|쪽=49–57|언어=en|doi=10.2981/0909-6396(2005)11[49:RHUAAP]2.0.CO;2|issn=0909-6396|성3=Silvy|이름3=Nova J.}}</ref>
꼬리는 머리와 몸통의 길이만큼 길다. 몸통은 71-84cm이고 꼬리는 66-69cm 정도이다.<ref name=":4">{{서적 인용|url=http://dx.doi.org/10.5962/bhl.title.97003|제목=The Fauna of British India : including Ceylon and Burma = Mammalia /|성=Blanford|이름=William Thomas|날짜=1888|출판사=Taylor and Francis,|위치=London :}}</ref> 머리와 몸통이 75-90cm이고 꼬리가 71cm인 일부 사육 상태의 빈투롱, 포로 성인 여성의 평균 체중은 21.9kg이며 범위는 11-32kg 정도 된다.<ref>{{저널 인용|제목=Studies on the Binturongs (Arctictis binturong) in captivity at the Arignar Anna Zoological Park, Vandalur|저널=Zoos' Print Journal|성=Arivazhagan|이름=C.|성2=Thiyagesan|이름2=K.|url=https://www.zoosprint.zooreach.org/index.php/zpj/article/view/5886/5304|날짜=2000-12-21|권=16|호=1|쪽=395–402|doi=10.11609/JoTT.ZPJ.16.1.395-402}}</ref> 사육 상태의 동물은 종종 야생 동물보다 무게가 더 많이 나간다.<ref name=":3">{{저널 인용|제목=Copulatory Behavior and Reproduction in the Binturong, Arctictis binturong|저널=Journal of Mammalogy|성=Wemmer|이름=C.|성2=Murtaugh|이름2=J.|url=https://academic.oup.com/jmammal/article-lookup/doi/10.2307/1380710|날짜=1981-05-21|권=62|호=2|쪽=342–352|언어=en|doi=10.2307/1380710|issn=1545-1542}}</ref> 12마리의 사육 상태의 암컷 빈투롱의 평균 무게는 24.4kg인 반면 22마리의 수컷은 평균 19.3kg인 것으로 밝혀졌다.<ref>{{저널 인용|제목=MEDETOMIDINE–KETAMINE–BUTORPHANOL ANESTHETIC COMBINATIONS IN BINTURONGS (ARCTICTIS BINTURONG)|저널=Journal of Zoo and Wildlife Medicine|성=Moresco|이름=Anneke|성2=Larsen|이름2=R. Scott|url=http://www.bioone.org/doi/abs/10.1638/03-016|날짜=2003-12|권=34|호=4|쪽=346–351|언어=en|doi=10.1638/03-016|issn=1042-7260}}</ref> 한 연구에서 야생 암컷의 추정 평균 체중은 10.5kg이었다.<ref name=":3" /> 그러나 태국에 있는 7마리의 야생 수컷 빈투롱의 무게는 평균 13.3kg인 반면 암컷 1마리는 13.5kg으로 비슷한 무게로 밝혀졌다.<ref>{{저널 인용|제목=Chemical immobilization of free-ranging dhole (Cuon alpinus), binturong (Arctictis binturong), and yellow-throated marten (Martes flavigula) in Thailand|저널=European Journal of Wildlife Research|성=Grassman|이름=Lon I.|성2=Janecka|이름2=Jan E.|url=http://link.springer.com/10.1007/s10344-006-0040-8|날짜=2006-12|권=52|호=4|쪽=297–300|언어=en|doi=10.1007/s10344-006-0040-8|issn=1612-4642|성3=Austin|이름3=Sean C.|성4=Tewes|이름4=Michael E.|성5=Silvy|이름5=Nova J.}}</ref> 야생 빈투롱의 평균 체중에 대한 한 추정치는 15kg이었다.<ref name=":5">{{저널 인용|제목=Ranging, habitat use and activity patterns of binturong Arctictis binturong and yellow-throated marten Martes flavigula in north-central Thailand|저널=Wildlife Biology|성=Grassman|이름=Lon I.|성2=Tewes|이름2=Michael E.|url=http://www.bioone.org/doi/abs/10.2981/0909-6396%282005%2911%5B49%3ARHUAAP%5D2.0.CO%3B2|날짜=2005-03|권=11|호=1|쪽=49–57|언어=en|doi=10.2981/0909-6396(2005)11[49:RHUAAP]2.0.CO;2|issn=0909-6396|성3=Silvy|이름3=Nova J.}}</ref>


암수 모두 분비샘을 가지고 있는데, 암컷은 외음부 양쪽에, 수컷은 음낭과 음경 사이에 있다.<ref>{{저널 인용|제목=The External Genitalia and Perfume Gland in Arctictis binturong|저널=Journal of Mammalogy|성=Story|이름=H. Elizabeth|url=https://academic.oup.com/jmammal/article-lookup/doi/10.2307/1375032|날짜=1945-02|권=26|호=1|쪽=64|doi=10.2307/1375032}}</ref><ref>{{저널 인용|제목=Scent Marking in the Binturong, Arctictis binturong|저널=Journal of Mammalogy|성=Kleiman|이름=D. G.|url=https://academic.oup.com/jmammal/article-lookup/doi/10.2307/1379278|날짜=1974-03-30|권=55|호=1|쪽=224–227|언어=en|doi=10.2307/1379278|issn=1545-1542}}</ref> 분비샘에서는 마치 버터 팝콘을 연상시키는 냄새가 나는데, 이는 소변에 존재하는 휘발성 화합물인 2-아세틸-1-피롤린으로 인한 것으로 보이며, 이는 고온의 [[마이야르 반응]]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ref>{{저널 인용|제목=Reproductive endocrine patterns and volatile urinary compounds of Arctictis binturong: discovering why bearcats smell like popcorn|저널=The Science of Nature|성=Greene|이름=Lydia K.|성2=Wallen|이름2=Timothy W.|url=http://link.springer.com/10.1007/s00114-016-1361-4|날짜=2016-06|권=103|호=5-6|언어=en|doi=10.1007/s00114-016-1361-4|issn=0028-1042|성3=Moresco|이름3=Anneke|성4=Goodwin|이름4=Thomas E.|성5=Drea|이름5=Christine M.}}</ref> 대부분의 식육목 동물들과 달리 수컷 빈투롱은 음경뼈가 없다.<ref>{{저널 인용|제목=The Baculum was Gained and Lost Multiple Times during Mammalian Evolution|저널=Integrative and Comparative Biology|성=Schultz|이름=Nicholas G.|성2=Lough-Stevens|이름2=Michael|url=https://academic.oup.com/icb/article-lookup/doi/10.1093/icb/icw034|날짜=2016-10|권=56|호=4|쪽=644–656|언어=en|doi=10.1093/icb/icw034|issn=1540-7063|성3=Abreu|이름3=Eric|성4=Orr|이름4=Teri|성5=Dean|이름5=Matthew D.}}</ref>
암수 모두 분비샘을 가지고 있는데, 암컷은 외음부 양쪽에, 수컷은 음낭과 음경 사이에 있다.<ref name=":6">{{저널 인용|제목=The External Genitalia and Perfume Gland in Arctictis binturong|저널=Journal of Mammalogy|성=Story|이름=H. Elizabeth|url=https://academic.oup.com/jmammal/article-lookup/doi/10.2307/1375032|날짜=1945-02|권=26|호=1|쪽=64|doi=10.2307/1375032}}</ref><ref>{{저널 인용|제목=Scent Marking in the Binturong, Arctictis binturong|저널=Journal of Mammalogy|성=Kleiman|이름=D. G.|url=https://academic.oup.com/jmammal/article-lookup/doi/10.2307/1379278|날짜=1974-03-30|권=55|호=1|쪽=224–227|언어=en|doi=10.2307/1379278|issn=1545-1542}}</ref> 분비샘에서는 마치 버터 팝콘을 연상시키는 냄새가 나는데, 이는 소변에 존재하는 휘발성 화합물인 2-아세틸-1-피롤린으로 인한 것으로 보이며, 이는 고온의 [[마이야르 반응]]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ref>{{저널 인용|제목=Reproductive endocrine patterns and volatile urinary compounds of Arctictis binturong: discovering why bearcats smell like popcorn|저널=The Science of Nature|성=Greene|이름=Lydia K.|성2=Wallen|이름2=Timothy W.|url=http://link.springer.com/10.1007/s00114-016-1361-4|날짜=2016-06|권=103|호=5-6|언어=en|doi=10.1007/s00114-016-1361-4|issn=0028-1042|성3=Moresco|이름3=Anneke|성4=Goodwin|이름4=Thomas E.|성5=Drea|이름5=Christine M.}}</ref> 대부분의 식육목 동물들과 달리 수컷 빈투롱은 음경뼈가 없다.<ref>{{저널 인용|제목=The Baculum was Gained and Lost Multiple Times during Mammalian Evolution|저널=Integrative and Comparative Biology|성=Schultz|이름=Nicholas G.|성2=Lough-Stevens|이름2=Michael|url=https://academic.oup.com/icb/article-lookup/doi/10.1093/icb/icw034|날짜=2016-10|권=56|호=4|쪽=644–656|언어=en|doi=10.1093/icb/icw034|issn=1540-7063|성3=Abreu|이름3=Eric|성4=Orr|이름4=Teri|성5=Dean|이름5=Matthew D.}}</ref>


== 분포 및 서식지 ==
== 분포 및 서식지 ==
빈투롱은 [[인도]], [[네팔]], [[방글라데시]], [[부탄]], [[미얀마]], [[태국]], [[말레이시아]]에서 [[라오스]], [[캄보디아]], [[베트남]], [[중국]]의 [[윈난성|윈난]], [[인도네시아]]의 [[수마트라섬|수마트라]], [[칼리만탄]], [[자와섬|자바]], [[필리핀]]의 [[팔라완섬|팔라완]]까지 이르는 광범위한 서식지를 가지고 있다.<ref name="Pocock1939" />
빈투롱은 [[인도]], [[네팔]], [[방글라데시]], [[부탄]], [[미얀마]], [[태국]], [[말레이시아]]에서 [[라오스]], [[캄보디아]], [[베트남]], [[중국]]의 [[윈난성|윈난]], [[인도네시아]]의 [[수마트라섬|수마트라]], [[칼리만탄]], [[자와섬|자바]], [[필리핀]]의 [[팔라완섬|팔라완]]까지 이르는 광범위한 서식지를 가지고 있다.<ref name="Pocock1939" />


빈투롱의 서식지는 키 큰 숲에 국한되어 있다.  아삼에서는 산기슭과 나무 덮개가 좋은 언덕에서 일반적이지만 숲이 우거진 평야에서는 덜 일반적입니다. 마나스 국립공원(Manas National Park), 라킴푸르(Lakhimpur) 지역의 둘룽(Dulung) 및 카코이(Kakoi) 보호림, 카르비 앙롱(Karbi Anglong), 노스 카차르 힐스(North Cachar Hills), 카차르(Cachar) 및 하일라칸디(Hailakandi) 지역의 언덕 숲에서 기록되었습니다.
빈투롱의 서식지는 키 큰 숲에 위치한다.<ref name=":7">{{저널 인용|제목=Lekagul, Boonsong, and Jeffrey A. McNeely. MAMMALS OF THAILAND. Association for the Conservation of Wildlife, Bangkok, Thailand, li + 758 pp., 1977. Price $50.00|저널=Journal of Mammalogy|성=Muul|이름=I.|url=http://dx.doi.org/10.2307/1379792|날짜=1979-02-20|권=60|호=1|쪽=241–242|doi=10.2307/1379792|issn=1545-1542}}</ref> 아삼에서는 산기슭과 나무 덮개가 좋은 언덕에서 일반적이지만 숲이 우거진 평야에서는 덜 일반적입니다. 마나스 국립공원(Manas National Park), 라킴푸르(Lakhimpur) 지역의 둘룽(Dulung) 및 카코이(Kakoi) 보호림, 카르비 앙롱(Karbi Anglong), 노스 카차르 힐스(North Cachar Hills), 카차르(Cachar) 및 하일라칸디(Hailakandi) 지역의 언덕 숲에서 기록되었습니다.<ref>{{저널 인용|제목=Small Omnivores and Carnivores|저널=Zoo and Wild Mammal Formulary|url=http://dx.doi.org/10.1002/9781119515098.ch11|날짜=2019-07-10|쪽=145–163|doi=10.1002/9781119515098.ch11}}</ref>


미얀마에서는 Tanintharyi 자연 보호 구역, Hukaung Valley의 60m (200 피트) 고도, Rakhine Yoma 코끼리 보호 구역의 220-280m (720-920 피트) 고도, 580m (1,900 피트) 및 최대 1,190m (3,900 피트)의 다른 3 개 장소에서 빈투롱이 촬영되었습니다.
미얀마에서는 Tanintharyi 자연 보호 구역, Hukaung Valley의 60m (200 피트) 고도, Rakhine Yoma 코끼리 보호 구역의 220-280m (720-920 피트) 고도, 580m (1,900 피트) 및 최대 1,190m (3,900 피트)의 다른 3 개 장소에서 빈투롱이 촬영되었습니다.<ref name=":8">{{저널 인용|제목=Estimating abundance with sparse data: tigers in northern Myanmar|저널=Population Ecology|성=Lynam|이름=Antony J.|성2=Rabinowitz|이름2=Alan|url=http://dx.doi.org/10.1007/s10144-008-0093-5|날짜=2008-06-18|권=51|호=1|쪽=115–121|doi=10.1007/s10144-008-0093-5|issn=1438-3896|성3=Myint|이름3=Than|성4=Maung|이름4=Myint|성5=Latt|이름5=Kyaw T.|성6=Po|이름6=Saw Htoo T.}}</ref>


태국의 카오야이 국립공원에서는 몇몇 개체가 무화과나무와 덩굴에서 먹이를 먹는 것이 관찰되었다.
태국의 카오야이 국립공원에서는 몇몇 개체가 무화과나무와 덩굴에서 먹이를 먹는 것이 관찰되었다.<ref name=":9">{{저널 인용|제목=Khao Yai National Park, Thailand|저널=Biological Conservation|성=Jensen|이름=James H.|성2=Sabhasri|이름2=Sanga|url=http://dx.doi.org/10.1016/0006-3207(72)90026-2|날짜=1972-01|권=4|호=2|쪽=150–151|doi=10.1016/0006-3207(72)90026-2|issn=0006-3207}}</ref>


라오스에서는 광대한 상록수림에서 관찰되었다. 말레이시아에서는 1970년대에 벌목된 야자수 농장을 둘러싼 2차 숲에서 빈투롱이 기록되었다.
라오스에서는 광대한 상록수림에서 관찰되었다.<ref name=":10">{{저널 인용|제목=Ecomorphological Disparity of Small Carnivore Guilds|저널=Small Carnivores|성=Meloro|이름=Carlo|url=http://dx.doi.org/10.1002/9781118943274.ch5|날짜=2022-08-05|쪽=93–106|doi=10.1002/9781118943274.ch5}}</ref> 말레이시아에서는 1970년대에 벌목된 야자수 농장을 둘러싼 2차 숲에서 빈투롱이 기록되었다.<ref>{{저널 인용|제목=Mammal Diversity and Conservation in a Secondary Forest in Peninsular Malaysia|저널=Biodiversity and Conservation|성=Azlan J|이름=Mohd.|url=http://dx.doi.org/10.1007/s10531-004-3953-0|날짜=2006-03|권=15|호=3|쪽=1013–1025|doi=10.1007/s10531-004-3953-0|issn=0960-3115}}</ref>


팔라완에서는 해수면에서 400m까지의 초원-숲 모자이크를 포함하여 1차 및 2차 저지대 숲에 서식합니다.<ref>{{저널 인용|제목=Genetic Variants Associated with Poor Responsiveness to Sulfonylureas in Filipino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저널=Journal of the ASEAN Federation of Endocrine Societies|성=Paz-Pacheco|이름=Elizabeth|성2=Nevado|이름2=Jose|url=http://dx.doi.org/10.15605/jafes.037.s8|날짜=2023-05-10|권=38|호=S1|쪽=31–40|doi=10.15605/jafes.037.s8|issn=0857-1074|성3=Cutiongco-de la Paz|이름3=Eva Maria|성4=Jasul|이름4=Gabriel|성5=Aman|이름5=Aimee Yvonne Criselle|성6=Alejandro-Ribaya|이름6=Elizabeth Laurize|성7=Francisco|이름7=Mark David|성8=Guanzon|이름8=Ma. Luz Vicenta|성9=Uyking-Naranjo|이름9=May}}</ref>
팔라완에서는 해수면에서 400m(1,300피트)까지의 초원-숲 모자이크를 포함하여 1차 및 2차 저지대 숲에 서식합니다.


== 습성 및 생태 ==
== 습성 및 생태 ==
[[파일:Binturong (Arctictis binturong) camera trapped at a feeding platform on a fruiting Ficus at Pakke tiger reserve.JPG|섬네일|카메라 트랩을 통해 촬영한 열매를 맺는 무화과나무 근처 먹이 발판에서의 빈투롱]]
빈투롱은 낮과 밤에 활동합니다.<ref name=":9" /><ref name=":10" /> 팍케 호랑이 보호구역에서 낮에 세 번 목격되었다.<ref name=":11">{{저널 인용|제목=Rare and Interesting Butterfly (Lepidoptera) Records from Arunachal Pradesh, India|저널=Journal of the Bombay Natural History Society (JBNHS)|성=Singh|이름=Arun P.|url=http://dx.doi.org/10.17087/jbnhs/2015/v112i3/114421|날짜=2015-12-01|권=112|호=3|쪽=138|doi=10.17087/jbnhs/2015/v112i3/114421|issn=2454-1095}}</ref> 미얀마에 설치된 카메라 트랩은 13마리의 동물을 포착했는데, 한 마리는 황혼 무렵에, 7마리는 밤에, 다섯 마리는 대낮에 포착되었습니다. 모든 사진은 한 마리의 동물이었고 모두 땅에서 찍은 것입니다. 빈투롱은 매우 민첩하지 않기 때문에 나무 사이를 이동할 때 비교적 자주 땅으로 내려와야 할 수도 있습니다.<ref name=":8" />

푸키에오 야생동물 보호구역(Phu Khieo Wildlife Sanctuary)에 서식하는 5마리의 방사목 빈투롱(binturong)은 이른 아침과 늦은 저녁에 최고조에 달한 틈새와 야행성 성향이 지배하는 부정맥 활동을 보였다. 정오부터 늦은 오후까지 비활동 기간이 줄었습니다. 그들은 건기에는 매일 25m(82피트)에서 2,698m(8,852피트) 사이를 이동했으며 우기에는 일일 이동을 4,143m(13,593피트)로 늘렸습니다. 수컷의 범위는 0.9 - 6.1<sup>km2</sup> (0.35 및 2.36 sq mi)로 다양했다. 두 마리의 수컷은 우기에 약간 더 큰 범위를 보였다. 그들의 범위는 30%에서 70% 사이에서 겹쳤습니다.<ref name=":5" />  카오 야이 국립 공원에서 무선 칼라 암컷의 평균 가정 범위는 4km 2 (1.5 평방 마일)로 추정되었으며 수컷은 4.5-20.5km<sup>2</sup> (1.7-7.9 평방 마일)로 추정되었습니다.<ref>{{저널 인용|제목=Nest site characteristics of four sympatric species of hornbills in Khao Yai National Park, Thailand|저널=Ibis|성=POONSWAD|이름=PILAI|url=http://dx.doi.org/10.1111/j.1474-919x.1995.tb03238.x|날짜=1995-04|권=137|호=2|쪽=183–191|doi=10.1111/j.1474-919x.1995.tb03238.x|issn=0019-1019}}</ref>

binturong은 본질적으로 수목입니다. 포콕은 런던 동물원에서 여러 마리의 포획된 사람들의 행동을 관찰했다. 쉴 때는 머리를 꼬리 밑으로 집어넣고 웅크리고 누운다. 그들은 좀처럼 뛰어오르지 않았고, 비록 느리기는 했지만, 능숙하게 올라갔고, 나뭇가지들의 위쪽을 따라, 또는 거꾸로 그 아래를 따라 똑같이 쉽고 자신 있게 나아갔다. prehensile 꼬리는 항상 보조 수단으로 준비되어 있습니다. 그들은 먼저 케이지 머리의 수직 막대를 내려와 앞발로 움켜쥐고 꼬리를 견제했다. 그들은 짜증이 나면 사납게 으르렁거렸다. 배회할 때, 그들은 주기적으로 낮게 끙끙 앓는 소리나 쉭쉭거리는 소리를 냈는데, 이것은 부분적으로 벌어진 입술로 공기를 내뿜는 소리였다.<ref name=":1" />

빈투롱은 꼬리를 사용하여 서로 의사소통한다.<ref name=":6" /> 나뭇가지에 매달리고, 종종 멈추고,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꼬리를 사용하여 부드럽게 움직입니다. 털을 손질하고, 털을 흔들고 핥고, 긁는 것과 관련된 뚜렷한 편안함 행동을 보여줍니다. 흔들림은 편안함 행동의 가장 특징적인 요소입니다.<ref>{{저널 인용|제목=Short-chain carboxylic acids from the anal glands of the binturong, Arctictis binturong (Viverridae, Mammalia)|저널=Biochemical Systematics and Ecology|성=Weldon|이름=Paul J|성2=Gorra|이름2=Michael F|url=http://dx.doi.org/10.1016/s0305-1978(99)00128-3|날짜=2000-11|권=28|호=9|쪽=903–904|doi=10.1016/s0305-1978(99)00128-3|issn=0305-1978|성3=Wood|이름3=William F}}</ref>


=== 먹이 ===
=== 먹이 ===
빈투롱은 잡식성이며 작은 포유류, 새, 물고기, 지렁이, 곤충 및 과일을 먹으며<ref name=":4" /> 설치류도 잡아먹는다.<ref name=":7" />  물고기와 지렁이는 수생동물도 아니고 포섭동물도 아니기 때문에 먹이에서 중요하지 않은 품목일 가능성이 높으며 기회가 있을 때만 그러한 먹이를 만난다. 포식성 포유류의 특성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빈투롱의 식단은 대부분 식물성일 것입니다.<ref name=":1" /> 무화과는 식단의 주요 구성 요소입니다.<ref name=":9" /><ref name=":11" /><ref>{{저널 인용|제목=Some notes on fig-eating by arboreal mammals in Malaysia|저널=Primates|성=Lambert|이름=Frank|url=http://link.springer.com/10.1007/BF02381118|날짜=1990-07|권=31|호=3|쪽=453–458|언어=en|doi=10.1007/BF02381118|issn=0032-8332}}</ref> 포획된 빈투롱은 특히 질경이를 좋아하지만 가금류의 머리와 알도 먹는다.<ref name=":0" />

binturong은 씨앗의 단단한 외부 덮개를 긁을 수 있기 때문에 특히 교살자 무화과의 씨앗 분산에 중요한 에이전트입니다.<ref>{{저널 인용|제목=Genetic diversity of captive binturongs (<i>Arctictis binturong</i>, Viverridae, Carnivora): implications for conservation|저널=Journal of Zoology|성=Cosson|이름=L.|성2=Grassman|이름2=L. L.|url=http://dx.doi.org/10.1111/j.1469-7998.2006.00209.x|날짜=2006-09-05|권=271|호=4|쪽=386–395|doi=10.1111/j.1469-7998.2006.00209.x|issn=0952-8369|성3=Zubaid|이름3=A.|성4=Vellayan|이름4=S.|성5=Tillier|이름5=A.|성6=Veron|이름6=G.}}</ref>

사육 상태의 빈투롱의 식단에는 상업적으로 준비된 고기 믹스, 바나나, 사과, 오렌지, 복숭아 통조림 및 미네랄 보충제가 포함됩니다.<ref name=":3" />


=== 번식 ===
=== 번식 ===
평균 성적 성숙 연령은 여성의 경우 30.4개월, 남성의 경우 27.7개월입니다. 빈투롱의 발정 주기는 18일에서 187일, 평균 82.5일이다. 임신 기간은 84일에서 99일입니다. 사육 중인 새끼의 크기는 1마리에서 6마리까지 다양하며, 한 마리가 태어날 때마다 평균 2마리의 새끼를 낳습니다. 네오네이트의 무게는 280-340g(9.9-12.0oz)이며 종종 슈러글이라고 합니다. 생식력은 15세까지 지속됩니다.<ref name=":3" />

포로 상태에서 알려진 최대 수명은 25세 이상인 것으로 생각됩니다.<ref>{{저널 인용|제목=The New Encyclopedia of Mammals2002248David Macdonald Edited by, Sasha Norris Edited by. <i>The New Encyclopedia of Mammals</i>.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960 pp., ISBN: 0 19 850823 9 £35.00|저널=Reference Reviews|성=Anthony|이름=L.J.|url=http://dx.doi.org/10.1108/rr.2002.16.5.23.248|날짜=2002-05|권=16|호=5|쪽=23–23|doi=10.1108/rr.2002.16.5.23.248|issn=0950-4125}}</ref>


== 위협 ==
== 위협 ==
[[파일:Young pet bear cat in Taman Negara Malaysia.jpg|섬네일|말레이시아 타만 네가라 국립공원에서 [[오랑 아슬리]] 부족에게 애완동물로 길러지는 어린 빈투롱]]
빈투롱에 대한 주요 위협은 빈투롱 산맥 전체에 걸쳐 벌목과 숲을 비산림 토지 이용으로 전환하여 서식지 손실과 숲을 황폐화하는 것입니다. 서식지 손실은 순다이족 지역의 저지대에서 심각했으며, 빈투롱이 자연림을 대체하는 농장을 이용한다는 증거는 없다. 중국에서는 만연한 삼림 벌채와 기회주의적 벌목 관행으로 인해 적절한 서식지가 파편화되거나 부지가 완전히 제거되었습니다. 필리핀에서는 야생 동물 거래를 위해 포획되며, 그 범위의 남쪽에서는 식용으로도 잡힙니다. 라오스에서는 우리에 갇힌 살아있는 육식 동물 중 가장 자주 전시되며 가죽은 적어도 비엔티안에서는 자주 거래됩니다. 라오스의 일부 지역에서는 진미로 간주되며 베트남에 식품으로 거래되기도 합니다.<ref name="iucn" />

말레이시아의 [[오랑 아슬리]] 부족은 빈투롱을 애완동물로 기르는 전통을 가지고 있다.<ref>{{서적 인용|url=http://dx.doi.org/10.4324/9781003025733-3|제목=Redbrick, Whitehall|성=Southern|이름=James|날짜=2021-03-30|출판사=Routledge|쪽=79–107}}</ref><ref>{{서적 인용|url=https://books.google.com/books?id=QLAmEAAAQBAJ|제목=Resource Use and Sustainability of Orang Asli: Indigenous Communities in Peninsular Malaysia|성=Abdullah|이름=Mohd Tajuddin|성2=Bartholomew|이름2=Candyrilla Vera|날짜=2021-05-01|출판사=Springer Nature|언어=en|isbn=978-3-030-64961-6|url-status=live|확인날짜=2021-10-01|요약문url=https://web.archive.org/web/20230401180746/https://books.google.com/books?id=QLAmEAAAQBAJ|요약문날짜=2023-04-01|성3=Mohammad|이름3=Aqilah}}</ref>


== 보존 ==
== 보존 ==
[[파일:CZ Binturong.jpg|섬네일|미국 신시내티 동식물원의 빈투롱]]
빈투롱은 CITES 부록 III과 1972년 인도 야생 생물(보호)법의 별표 I에 포함되어 있어 최고 수준의 보호를 받고 있습니다. 중국에서는 심각한 멸종 위기에 처한 것으로 등재되어 있습니다. 방글라데시에서는 완전히 보호되고 있으며 태국, 말레이시아 및 베트남에서는 부분적으로 보호되고 있습니다. 인도네시아에서는 허가된 빈투롱 사냥이 허용되며, 브루나이에서는 보호되지 않다.

매년 5월 둘째 주 토요일은 세계 빈투롱의 날로 지정되어 여러 동물원에서 빈투롱에 대한 인식과 보존을 위한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 동물원 ===
=== 동물원 ===
빈투롱은 동물원에서 흔히 볼 수 있으며 포획 된 개체는 장기 보존에 필수적인 유전 적 다양성의 원천입니다. 그들의 지리적 기원은 일반적으로 알려지지 않았거나 여러 세대의 포로 사육 동물의 자손입니다.<ref name=":2" />


== 각주 및 참고 문헌 ==
== 각주 및 참고 문헌 ==

2023년 11월 11일 (토) 22:10 판

빈투롱

생물 분류ℹ️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포유강
목: 식육목
아목: 고양이아목
하목: 사향고양이하목
과: 사향고양이과
아과: 아시아사향고양이아과
속: 빈투롱속
(Arctictis)
Temminck, 1824
종: 빈투롱
학명
Arctictis binturong[1]
Raffles, 1822
빈투롱의 분포

보전상태


취약(VU): 절멸가능성 높음
평가기관: IUCN 적색 목록 3.1[2]

빈투롱(binturong [bɪnˈtuːrɒŋ][*])은 남아시아동남아시아 원산의 사향고양이과 동물로 베어캣이라고도 불린다. 흔하게 보이는 동물은 아니며 IUCN 적색 목록에 "취약" 등급으로 등재되어 있다. 지난 30년간 개체수의 30% 이상이 사라진 것으로 생각된다.[2] 빈투롱은 빈투롱속(Arctictis)의 유일종으로서 단형종이다.[3]

어원

빈투롱(Binturong)이라는 낱말은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에 속한 단어인 "ma-tuRun"과 관련이 있다. 인도네시아 리아우에서는 벤투롱(benturong), 혹은 텐투룬(tenturun)이라고 한다.[4]

빈투롱의 학명인 아르크틱티스 빈투롱(Arctictis binturong)은 그리스어로 곰을 뜻하는 ‘아르크트’(arkt-)와 족제비를 뜻하는 ‘익티스’(iktis)에서 파생되었으며 그 뜻은 '곰 족제비'를 의미한다.[5]

분류

비베라 빈투롱(Viverra binturong)은 1822년 토머스 스탬퍼드 래플스(Thomas Stamford Raffles)가 말라카의 표본을 토대로 처음 기재한 학명이다.[6] 오늘날에 쓰이는 학명인 아르크틱티스(Arctictis binturong)는 1824년 쿤라트 야코프 테밍크에 의해 기재되었다.[7] 빈투롱속(Arctictis)은 단형종으로 그 형태는 아시아사향고양이흰코사향고양이와 유사하다.[8]

19세기 및 20세기에는 다음과 같은 동물학적 표본이 기술되었다.[9]

  • 1822년 프레데릭 퀴비에(Frédéric Cuvier)가 제안한 파라독수루스 알비프론(Paradoxurus albifrons)은 알프레드 뒤보셀(Alfred Duvaucel)이 준비한 부탄의 빈투롱(binturong) 그림을 기반으로 했다.[10]
  • 1835년 테밍크의 Arctictis penicillata는 수마트라와 자바에서 온 표본이었다.[11]
  • 1910년 조엘 아삽 알렌(Joel Asaph Allen)이 제안한 아르크틱티스 화이(Arctictis whitei)는 필리핀 팔라완 섬에서 채집된 두 마리의 암컷 빈투롱의 가죽이었다.[12]
  • 1911년 에른스트 슈바르츠(Ernst Schwarz)가 제안한 아르크틱티스 파겔리(Arctictis pageli)는 보르네오 북부에서 채집된 암컷의 피부와 두개골이었다.[13]
  • 1916년 올드필드 토마스(Oldfield Thomas)가 제안한 아르크틱티스 게이르드네리(Arctictis gairdneri)는 태국 남서부에서 채집된 수컷 빈투롱(binturong)의 두개골이었다.[14]
  • 1916년 Marcus Ward Lyon Jr.가 제안한 Arctictis niasensis는 Nias Island의 빈투롱의 피부 조직이었다.[15]
  • 1936년 앙리 제이콥 빅터 소디 (Henri Jacob Victor Sody)의 A. b. kerkhoveni는 Bangka Island의 표본을 기반으로 했다.[16]
  • 1987년 왕(Wang)과 리(Li)에 의한 A. b. menglaensis는 중국 윈난성(Yunnan Province)의 표본을 기반으로 했다.[17]

9개의 아종이 2개의 군집을 형성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아시아 본토의 북부 군집은 끄라 지협에 의해 순다 군집과 분리되어 있다.[17]

특징

폴 제르베의 Histoire naturelle des mammifères에 묘사된 빈투롱의 두개골과 치열

빈투롱은 길고 두꺼운 몸체와 짧고 튼튼한 다리, 거친 검은색의 두꺼운 털을 가지고 있다. 덥수룩하고 굵은 꼬리는 시작 지점에서는 두꺼웠다가 점차 가늘어지며 끝쪽에는 안쪽으로 말리는 형태를 지닌다. 주둥이는 짧고 뾰족하며 코에서 약간 위로 향하고 뻣뻣한 털로 덮여 있으며 뾰족한 부분이 갈색이며 갈라짐에 따라 길어지고 얼굴 주위에 특이한 방사형 원을 형성한다. 눈은 크고 검게 두드러진다. 귀는 짧고 둥글며 가장자리는 흰색이며 끝부분은 검은색을 띤다. 턱에는 6개의 짧고 둥근 앞니가 있고, 길고 날카로운 송곳니가 2개, 양쪽에 6개의 어금니가 있다. 다리의 털은 짧고 노란빛을 띤다. 발가락은 다섯 개이며 크고 강한 발톱이 있다. 발바닥에는 털이 없으며 전체 길이에 걸쳐 땅에 적용되는 식물 모양이며 뒷발바닥은 앞 발바닥보다 길다.[6]

미국 오클라마호시티의 골학 박물관에 있는 빈투롱 골격

빈투롱은 아시아사향고양이흰코사향고양이와 비슷하게 생겼지만 꼬리, 다리 및 발의 길이, 냄새 땀샘의 구조, 그리고 더 큰 코를 가지고 있며 중간 홈이 인중보다 훨씬 좁다. 털의 윤곽선은 훨씬 길고 거칠며, 귀 뒤쪽 전체를 덮고 있는 긴 털은 끝 너머로 뚜렷한 털로 돌출되어 있다. 귀의 앞쪽 점액낭 플랩은 더 넓고 덜 깊게 가장자리가 있다. 꼬리는 특히 밑부분이 더 근육질이며 색상은 일반적으로 몸과 비슷하지만 일반적으로 아래쪽 밑부분이 더 창백하다. 체모는 종종 부분적으로 희끄무레하거나 담황색이며, 얼룩덜룩한 위장색을 띄며, 전체적으로 대부분 연노랑색이나 회색을 띈다. 새끼는 종종 성인보다 창백한 색을 띄지만 머리는 항상 회색 또는 담황색으로 얼룩덜룩하다. 길고 신비로운 동모는 눈에 띄는 흰색이며 그렇지 않으면 검은 귀 꼭대기에 흰색 테두리가 있다. 선 부위는 희끄무레하다.[8]

꼬리는 머리와 몸통의 길이만큼 길다. 몸통은 71-84cm이고 꼬리는 66-69cm 정도이다.[18] 머리와 몸통이 75-90cm이고 꼬리가 71cm인 일부 사육 상태의 빈투롱, 포로 성인 여성의 평균 체중은 21.9kg이며 범위는 11-32kg 정도 된다.[19] 사육 상태의 동물은 종종 야생 동물보다 무게가 더 많이 나간다.[20] 12마리의 사육 상태의 암컷 빈투롱의 평균 무게는 24.4kg인 반면 22마리의 수컷은 평균 19.3kg인 것으로 밝혀졌다.[21] 한 연구에서 야생 암컷의 추정 평균 체중은 10.5kg이었다.[20] 그러나 태국에 있는 7마리의 야생 수컷 빈투롱의 무게는 평균 13.3kg인 반면 암컷 1마리는 13.5kg으로 비슷한 무게로 밝혀졌다.[22] 야생 빈투롱의 평균 체중에 대한 한 추정치는 15kg이었다.[23]

암수 모두 분비샘을 가지고 있는데, 암컷은 외음부 양쪽에, 수컷은 음낭과 음경 사이에 있다.[24][25] 분비샘에서는 마치 버터 팝콘을 연상시키는 냄새가 나는데, 이는 소변에 존재하는 휘발성 화합물인 2-아세틸-1-피롤린으로 인한 것으로 보이며, 이는 고온의 마이야르 반응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26] 대부분의 식육목 동물들과 달리 수컷 빈투롱은 음경뼈가 없다.[27]

분포 및 서식지

빈투롱은 인도, 네팔, 방글라데시, 부탄, 미얀마, 태국, 말레이시아에서 라오스, 캄보디아, 베트남, 중국윈난, 인도네시아수마트라, 칼리만탄, 자바, 필리핀팔라완까지 이르는 광범위한 서식지를 가지고 있다.[3]

빈투롱의 서식지는 키 큰 숲에 위치한다.[28] 아삼에서는 산기슭과 나무 덮개가 좋은 언덕에서 일반적이지만 숲이 우거진 평야에서는 덜 일반적입니다. 마나스 국립공원(Manas National Park), 라킴푸르(Lakhimpur) 지역의 둘룽(Dulung) 및 카코이(Kakoi) 보호림, 카르비 앙롱(Karbi Anglong), 노스 카차르 힐스(North Cachar Hills), 카차르(Cachar) 및 하일라칸디(Hailakandi) 지역의 언덕 숲에서 기록되었습니다.[29]

미얀마에서는 Tanintharyi 자연 보호 구역, Hukaung Valley의 60m (200 피트) 고도, Rakhine Yoma 코끼리 보호 구역의 220-280m (720-920 피트) 고도, 580m (1,900 피트) 및 최대 1,190m (3,900 피트)의 다른 3 개 장소에서 빈투롱이 촬영되었습니다.[30]

태국의 카오야이 국립공원에서는 몇몇 개체가 무화과나무와 덩굴에서 먹이를 먹는 것이 관찰되었다.[31]

라오스에서는 광대한 상록수림에서 관찰되었다.[32] 말레이시아에서는 1970년대에 벌목된 야자수 농장을 둘러싼 2차 숲에서 빈투롱이 기록되었다.[33]

팔라완에서는 해수면에서 400m까지의 초원-숲 모자이크를 포함하여 1차 및 2차 저지대 숲에 서식합니다.[34]

습성 및 생태

카메라 트랩을 통해 촬영한 열매를 맺는 무화과나무 근처 먹이 발판에서의 빈투롱

빈투롱은 낮과 밤에 활동합니다.[31][32] 팍케 호랑이 보호구역에서 낮에 세 번 목격되었다.[35] 미얀마에 설치된 카메라 트랩은 13마리의 동물을 포착했는데, 한 마리는 황혼 무렵에, 7마리는 밤에, 다섯 마리는 대낮에 포착되었습니다. 모든 사진은 한 마리의 동물이었고 모두 땅에서 찍은 것입니다. 빈투롱은 매우 민첩하지 않기 때문에 나무 사이를 이동할 때 비교적 자주 땅으로 내려와야 할 수도 있습니다.[30]

푸키에오 야생동물 보호구역(Phu Khieo Wildlife Sanctuary)에 서식하는 5마리의 방사목 빈투롱(binturong)은 이른 아침과 늦은 저녁에 최고조에 달한 틈새와 야행성 성향이 지배하는 부정맥 활동을 보였다. 정오부터 늦은 오후까지 비활동 기간이 줄었습니다. 그들은 건기에는 매일 25m(82피트)에서 2,698m(8,852피트) 사이를 이동했으며 우기에는 일일 이동을 4,143m(13,593피트)로 늘렸습니다. 수컷의 범위는 0.9 - 6.1km2 (0.35 및 2.36 sq mi)로 다양했다. 두 마리의 수컷은 우기에 약간 더 큰 범위를 보였다. 그들의 범위는 30%에서 70% 사이에서 겹쳤습니다.[23]  카오 야이 국립 공원에서 무선 칼라 암컷의 평균 가정 범위는 4km 2 (1.5 평방 마일)로 추정되었으며 수컷은 4.5-20.5km2 (1.7-7.9 평방 마일)로 추정되었습니다.[36]

binturong은 본질적으로 수목입니다. 포콕은 런던 동물원에서 여러 마리의 포획된 사람들의 행동을 관찰했다. 쉴 때는 머리를 꼬리 밑으로 집어넣고 웅크리고 누운다. 그들은 좀처럼 뛰어오르지 않았고, 비록 느리기는 했지만, 능숙하게 올라갔고, 나뭇가지들의 위쪽을 따라, 또는 거꾸로 그 아래를 따라 똑같이 쉽고 자신 있게 나아갔다. prehensile 꼬리는 항상 보조 수단으로 준비되어 있습니다. 그들은 먼저 케이지 머리의 수직 막대를 내려와 앞발로 움켜쥐고 꼬리를 견제했다. 그들은 짜증이 나면 사납게 으르렁거렸다. 배회할 때, 그들은 주기적으로 낮게 끙끙 앓는 소리나 쉭쉭거리는 소리를 냈는데, 이것은 부분적으로 벌어진 입술로 공기를 내뿜는 소리였다.[8]

빈투롱은 꼬리를 사용하여 서로 의사소통한다.[24] 나뭇가지에 매달리고, 종종 멈추고,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꼬리를 사용하여 부드럽게 움직입니다. 털을 손질하고, 털을 흔들고 핥고, 긁는 것과 관련된 뚜렷한 편안함 행동을 보여줍니다. 흔들림은 편안함 행동의 가장 특징적인 요소입니다.[37]

먹이

빈투롱은 잡식성이며 작은 포유류, 새, 물고기, 지렁이, 곤충 및 과일을 먹으며[18] 설치류도 잡아먹는다.[28]  물고기와 지렁이는 수생동물도 아니고 포섭동물도 아니기 때문에 먹이에서 중요하지 않은 품목일 가능성이 높으며 기회가 있을 때만 그러한 먹이를 만난다. 포식성 포유류의 특성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빈투롱의 식단은 대부분 식물성일 것입니다.[8] 무화과는 식단의 주요 구성 요소입니다.[31][35][38] 포획된 빈투롱은 특히 질경이를 좋아하지만 가금류의 머리와 알도 먹는다.[6]

binturong은 씨앗의 단단한 외부 덮개를 긁을 수 있기 때문에 특히 교살자 무화과의 씨앗 분산에 중요한 에이전트입니다.[39]

사육 상태의 빈투롱의 식단에는 상업적으로 준비된 고기 믹스, 바나나, 사과, 오렌지, 복숭아 통조림 및 미네랄 보충제가 포함됩니다.[20]

번식

평균 성적 성숙 연령은 여성의 경우 30.4개월, 남성의 경우 27.7개월입니다. 빈투롱의 발정 주기는 18일에서 187일, 평균 82.5일이다. 임신 기간은 84일에서 99일입니다. 사육 중인 새끼의 크기는 1마리에서 6마리까지 다양하며, 한 마리가 태어날 때마다 평균 2마리의 새끼를 낳습니다. 네오네이트의 무게는 280-340g(9.9-12.0oz)이며 종종 슈러글이라고 합니다. 생식력은 15세까지 지속됩니다.[20]

포로 상태에서 알려진 최대 수명은 25세 이상인 것으로 생각됩니다.[40]

위협

말레이시아 타만 네가라 국립공원에서 오랑 아슬리 부족에게 애완동물로 길러지는 어린 빈투롱

빈투롱에 대한 주요 위협은 빈투롱 산맥 전체에 걸쳐 벌목과 숲을 비산림 토지 이용으로 전환하여 서식지 손실과 숲을 황폐화하는 것입니다. 서식지 손실은 순다이족 지역의 저지대에서 심각했으며, 빈투롱이 자연림을 대체하는 농장을 이용한다는 증거는 없다. 중국에서는 만연한 삼림 벌채와 기회주의적 벌목 관행으로 인해 적절한 서식지가 파편화되거나 부지가 완전히 제거되었습니다. 필리핀에서는 야생 동물 거래를 위해 포획되며, 그 범위의 남쪽에서는 식용으로도 잡힙니다. 라오스에서는 우리에 갇힌 살아있는 육식 동물 중 가장 자주 전시되며 가죽은 적어도 비엔티안에서는 자주 거래됩니다. 라오스의 일부 지역에서는 진미로 간주되며 베트남에 식품으로 거래되기도 합니다.[2]

말레이시아의 오랑 아슬리 부족은 빈투롱을 애완동물로 기르는 전통을 가지고 있다.[41][42]

보존

미국 신시내티 동식물원의 빈투롱

빈투롱은 CITES 부록 III과 1972년 인도 야생 생물(보호)법의 별표 I에 포함되어 있어 최고 수준의 보호를 받고 있습니다. 중국에서는 심각한 멸종 위기에 처한 것으로 등재되어 있습니다. 방글라데시에서는 완전히 보호되고 있으며 태국, 말레이시아 및 베트남에서는 부분적으로 보호되고 있습니다. 인도네시아에서는 허가된 빈투롱 사냥이 허용되며, 브루나이에서는 보호되지 않다.

매년 5월 둘째 주 토요일은 세계 빈투롱의 날로 지정되어 여러 동물원에서 빈투롱에 대한 인식과 보존을 위한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동물원

빈투롱은 동물원에서 흔히 볼 수 있으며 포획 된 개체는 장기 보존에 필수적인 유전 적 다양성의 원천입니다. 그들의 지리적 기원은 일반적으로 알려지지 않았거나 여러 세대의 포로 사육 동물의 자손입니다.[17]

각주 및 참고 문헌

  1. Wozencraft, W.C. (2005). “Species Arctictis binturong. Wilson, D.E.; Reeder, D.M.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영어) 3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549쪽. ISBN 978-0-8018-8221-0. OCLC 62265494. 
  2. Widmann, P., De Leon, J. and Duckworth, J. W. (2008). “Arctictis binturong”.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15.2판》 (영어). 국제자연보전연맹(IUCN). 
  3. Pocock, R. I. (1939). The fauna of British India, including Ceylon and Burma. Mammalia. – Volume 1. Taylor and Francis, London. Pp. 431–439.
  4. Wilkinson, R. J. (1901). A Malay-English dictionary Kelly & Walsh Limited, Hongkong, Shanghai and Yokohama.
  5. Scherren, Henry. (1905). 《The Zoological Society of London : a sketch of its foundation and development, and the story of its farm, museum, gardens, menagerie and library / by Henry Scherren.》. London :: Cassell,. 
  6. Raffles, Thomas Stamford (1821년 6월). “XVII. Descriptive Catalogue of a Zoological Collection, made on account of the Honourable East India Company, in the Island of Sumatra and its Vicinity, under the Direction of Sir Thomas Stamford Raffles, Lieutenant-Governor of Fort Marlborough; with addi”. 《Transactions of the Linnean Society of London》 13 (1): 239–274. doi:10.1111/j.1095-8339.1821.tb00064.x. ISSN 1945-9432. 
  7. Temminck, Coenraad Jacob (1824). 《Monographie de mammalogie /》. Paris,: [s.n.] 
  8. Blanford, William Thomas (1888). 《The Fauna of British India : including Ceylon and Burma = Mammalia /》. London :: Taylor and Francis,. 
  9. Moore, J. C. (1968년 2월 20일). “Ellerman, J. R., and T. C. S. Morrison-Scott. Checklist of Palaearctic and Indian Mammals 1758 to 1946. British Museum (Natural History), London, England, 2nd ed., 810 pp., 1966. Price, approximately $9.00”. 《Journal of Mammalogy》 49 (1): 169–169. doi:10.2307/1377763. ISSN 1545-1542. 
  10. Geoffroy Saint-Hilaire, Etienne; Cuvier, Frédéric (1824). 《Histoire naturelle des mammifères : avec des figures originales, coloriées, dessinées d'aprèsdes animaux vivans》. A Paris :: Chez A. Belin ... ,. 
  11. Anggraini, Widya; Mia Azizah; Widhyastini, I.G.A Manik (2023년 5월 8일). “Daily Behavior of Binturong (Arctictis binturong) in Ex-situ Conservation Taman Margasatwa Ragunan”. 《JURNAL SAINS NATURAL》 13 (2): 92–98. doi:10.31938/jsn.v13i2.471. ISSN 2621-508X. 
  12. Morgan, Gary S.; Macphee, Ross D.E.; Woods, Roseina; Turvey, Samuel T. (2019년 3월 4일). “Late Quaternary Fossil Mammals from the Cayman Islands, West Indies”. 《Bulletin of the American Museum of Natural History》 2019 (428): 1. doi:10.1206/0003-0090.428.1.1. ISSN 0003-0090. 
  13. Schwarz, Ernst (1911년 6월). “LXXIV.— Seven new Asiatic mammals, with note on the “Viverra fasciata” of Gmelin”. 《Annals and Magazine of Natural History》 (영어) 7 (42): 634–640. doi:10.1080/00222931108692986. ISSN 0374-5481. 
  14. Thomas, Oldfield (1916년 3월). “XXVII.— A new binturong from Siam”. 《Annals and Magazine of Natural History》 (영어) 17 (99): 270–271. doi:10.1080/00222931508693780. ISSN 0374-5481. 
  15. Lyon, Marcus Ward (1916). “Mammals collected by Dr. W. L. Abbott on the chain of islands lying off the western coast of Sumatra, with descriptions of twenty-eight new species and subspecies”. 《Proceedings of the United States National Museum》 (영어) 52 (2188): 437–462. doi:10.5479/si.00963801.52-2188.437. 
  16. Ruprecht, Andrzej L. (1979년 5월 12일). “Book received. A. M. Husson, 1978: The mammals of Suriname. Leiden, E. J. Brill. 569 pp”. 《Acta Theriologica》 24: 200, 236. doi:10.4098/at.arch.79-19. ISSN 0001-7051. 
  17. Cosson, L.; Grassman, L. L.; Zubaid, A.; Vellayan, S.; Tillier, A.; Veron, G. (2007년 4월). “Genetic diversity of captive binturongs ( Arctictis binturong , Viverridae, Carnivora): implications for conservation”. 《Journal of Zoology》 (영어) 271 (4): 386–395. doi:10.1111/j.1469-7998.2006.00209.x. ISSN 0952-8369. 
  18. Blanford, William Thomas (1888). 《The Fauna of British India : including Ceylon and Burma = Mammalia /》. London :: Taylor and Francis,. 
  19. Arivazhagan, C.; Thiyagesan, K. (2000년 12월 21일). “Studies on the Binturongs (Arctictis binturong) in captivity at the Arignar Anna Zoological Park, Vandalur”. 《Zoos' Print Journal》 16 (1): 395–402. doi:10.11609/JoTT.ZPJ.16.1.395-402. 
  20. Wemmer, C.; Murtaugh, J. (1981년 5월 21일). “Copulatory Behavior and Reproduction in the Binturong, Arctictis binturong”. 《Journal of Mammalogy》 (영어) 62 (2): 342–352. doi:10.2307/1380710. ISSN 1545-1542. 
  21. Moresco, Anneke; Larsen, R. Scott (2003년 12월). “MEDETOMIDINE–KETAMINE–BUTORPHANOL ANESTHETIC COMBINATIONS IN BINTURONGS (ARCTICTIS BINTURONG)”. 《Journal of Zoo and Wildlife Medicine》 (영어) 34 (4): 346–351. doi:10.1638/03-016. ISSN 1042-7260. 
  22. Grassman, Lon I.; Janecka, Jan E.; Austin, Sean C.; Tewes, Michael E.; Silvy, Nova J. (2006년 12월). “Chemical immobilization of free-ranging dhole (Cuon alpinus), binturong (Arctictis binturong), and yellow-throated marten (Martes flavigula) in Thailand”. 《European Journal of Wildlife Research》 (영어) 52 (4): 297–300. doi:10.1007/s10344-006-0040-8. ISSN 1612-4642. 
  23. Grassman, Lon I.; Tewes, Michael E.; Silvy, Nova J. (2005년 3월). “Ranging, habitat use and activity patterns of binturong Arctictis binturong and yellow-throated marten Martes flavigula in north-central Thailand”. 《Wildlife Biology》 (영어) 11 (1): 49–57. doi:10.2981/0909-6396(2005)11[49:RHUAAP]2.0.CO;2. ISSN 0909-6396. 
  24. Story, H. Elizabeth (1945년 2월). “The External Genitalia and Perfume Gland in Arctictis binturong”. 《Journal of Mammalogy》 26 (1): 64. doi:10.2307/1375032. 
  25. Kleiman, D. G. (1974년 3월 30일). “Scent Marking in the Binturong, Arctictis binturong”. 《Journal of Mammalogy》 (영어) 55 (1): 224–227. doi:10.2307/1379278. ISSN 1545-1542. 
  26. Greene, Lydia K.; Wallen, Timothy W.; Moresco, Anneke; Goodwin, Thomas E.; Drea, Christine M. (2016년 6월). “Reproductive endocrine patterns and volatile urinary compounds of Arctictis binturong: discovering why bearcats smell like popcorn”. 《The Science of Nature》 (영어) 103 (5-6). doi:10.1007/s00114-016-1361-4. ISSN 0028-1042. 
  27. Schultz, Nicholas G.; Lough-Stevens, Michael; Abreu, Eric; Orr, Teri; Dean, Matthew D. (2016년 10월). “The Baculum was Gained and Lost Multiple Times during Mammalian Evolution”. 《Integrative and Comparative Biology》 (영어) 56 (4): 644–656. doi:10.1093/icb/icw034. ISSN 1540-7063. 
  28. Muul, I. (1979년 2월 20일). “Lekagul, Boonsong, and Jeffrey A. McNeely. MAMMALS OF THAILAND. Association for the Conservation of Wildlife, Bangkok, Thailand, li + 758 pp., 1977. Price $50.00”. 《Journal of Mammalogy》 60 (1): 241–242. doi:10.2307/1379792. ISSN 1545-1542. 
  29. “Small Omnivores and Carnivores”. 《Zoo and Wild Mammal Formulary》: 145–163. 2019년 7월 10일. doi:10.1002/9781119515098.ch11. 
  30. Lynam, Antony J.; Rabinowitz, Alan; Myint, Than; Maung, Myint; Latt, Kyaw T.; Po, Saw Htoo T. (2008년 6월 18일). “Estimating abundance with sparse data: tigers in northern Myanmar”. 《Population Ecology》 51 (1): 115–121. doi:10.1007/s10144-008-0093-5. ISSN 1438-3896. 
  31. Jensen, James H.; Sabhasri, Sanga (1972년 1월). “Khao Yai National Park, Thailand”. 《Biological Conservation》 4 (2): 150–151. doi:10.1016/0006-3207(72)90026-2. ISSN 0006-3207. 
  32. Meloro, Carlo (2022년 8월 5일). “Ecomorphological Disparity of Small Carnivore Guilds”. 《Small Carnivores》: 93–106. doi:10.1002/9781118943274.ch5. 
  33. Azlan J, Mohd. (2006년 3월). “Mammal Diversity and Conservation in a Secondary Forest in Peninsular Malaysia”. 《Biodiversity and Conservation》 15 (3): 1013–1025. doi:10.1007/s10531-004-3953-0. ISSN 0960-3115. 
  34. Paz-Pacheco, Elizabeth; Nevado, Jose; Cutiongco-de la Paz, Eva Maria; Jasul, Gabriel; Aman, Aimee Yvonne Criselle; Alejandro-Ribaya, Elizabeth Laurize; Francisco, Mark David; Guanzon, Ma. Luz Vicenta; Uyking-Naranjo, May (2023년 5월 10일). “Genetic Variants Associated with Poor Responsiveness to Sulfonylureas in Filipino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Journal of the ASEAN Federation of Endocrine Societies》 38 (S1): 31–40. doi:10.15605/jafes.037.s8. ISSN 0857-1074. 
  35. Singh, Arun P. (2015년 12월 1일). “Rare and Interesting Butterfly (Lepidoptera) Records from Arunachal Pradesh, India”. 《Journal of the Bombay Natural History Society (JBNHS)》 112 (3): 138. doi:10.17087/jbnhs/2015/v112i3/114421. ISSN 2454-1095. 
  36. POONSWAD, PILAI (1995년 4월). “Nest site characteristics of four sympatric species of hornbills in Khao Yai National Park, Thailand”. 《Ibis》 137 (2): 183–191. doi:10.1111/j.1474-919x.1995.tb03238.x. ISSN 0019-1019. 
  37. Weldon, Paul J; Gorra, Michael F; Wood, William F (2000년 11월). “Short-chain carboxylic acids from the anal glands of the binturong, Arctictis binturong (Viverridae, Mammalia)”. 《Biochemical Systematics and Ecology》 28 (9): 903–904. doi:10.1016/s0305-1978(99)00128-3. ISSN 0305-1978. 
  38. Lambert, Frank (1990년 7월). “Some notes on fig-eating by arboreal mammals in Malaysia”. 《Primates》 (영어) 31 (3): 453–458. doi:10.1007/BF02381118. ISSN 0032-8332. 
  39. Cosson, L.; Grassman, L. L.; Zubaid, A.; Vellayan, S.; Tillier, A.; Veron, G. (2006년 9월 5일). “Genetic diversity of captive binturongs (Arctictis binturong, Viverridae, Carnivora): implications for conservation”. 《Journal of Zoology》 271 (4): 386–395. doi:10.1111/j.1469-7998.2006.00209.x. ISSN 0952-8369. 
  40. Anthony, L.J. (2002년 5월). “The New Encyclopedia of Mammals2002248David Macdonald Edited by, Sasha Norris Edited by. The New Encyclopedia of Mammals.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960 pp., ISBN: 0 19 850823 9 £35.00”. 《Reference Reviews》 16 (5): 23–23. doi:10.1108/rr.2002.16.5.23.248. ISSN 0950-4125. 
  41. Southern, James (2021년 3월 30일). 《Redbrick, Whitehall》. Routledge. 79–107쪽. 
  42. Abdullah, Mohd Tajuddin; Bartholomew, Candyrilla Vera; Mohammad, Aqilah (2021년 5월 1일). 《Resource Use and Sustainability of Orang Asli: Indigenous Communities in Peninsular Malaysia》 (영어). Springer Nature. ISBN 978-3-030-64961-6. 2021년 10월 1일에 확인함. 요약문 (2023년 4월 1일).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