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화작용: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그림 추가
영어판 위키(2022년 6월 12일 버전)를 참고하여 기존의 한국어판 문서의 내용을 보충함.
1번째 줄: 1번째 줄: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동화작용'''({{llang|en|anabolism}})은 더 작은 단위의 [[분자]]를 더 큰 단위의 분자로 합성하는 일련의 [[대사 경로]]이다.<ref>{{cite web|url=http://www.chem.qmul.ac.uk/iupac/bioinorg/AB.html#20|title=Glossary of Terms Used in Bioinorganic Chemistry: Anabolism | vauthors = de Bolster MW |year=1997 |publisher=International Union of Pure and Applied Chemistry |archive-url= https://web.archive.org/web/20071030105041/http://www.chem.qmul.ac.uk/iupac/bioinorg/AB.html |archive-date=30 October 2007 |url-status=dead |access-date=2007-10-30}}</ref> '''합성대사'''(合成代謝)라고도 한다. 이러한 반응에는 [[에너지]]를 필요로 하며, 이는 [[에너지 흡수반응]]이다.<ref>{{cite book | first1 = Connie | last1 = Rye | first2 = Robert | last2 = Wise | first3 = Vladimir | last3 = Jurukovski | first4 = Jung | last4 = Choi | first5 = Yael | last5 = Avissar | name-list-style = vanc |url= https://cnx.org/contents/GFy_h8cu@11.6:rZudN6XP@2/Introduction |title=Biology|year=2013 | publisher = OpenStax |location= Rice University, Houston Texas | isbn = 978-1-938168-09-3 }}</ref> 동화작용은 [[물질대사]]의 합성 과정이며, [[이화작용]]은 물질대사의 분해 과정이다. 동화작용은 일반적으로 [[생합성]]과 [[동의어]]로 간주된다.
[[파일:Catabolism, energy carriers and anabolism.png|thumb]]
'''동화작용'''(同化作用, {{llang|en|anabolism}}) 또는 '''합성대사'''(合成代謝)는 작은 분자로부터 거대 분자를 합성해내는 [[물질대사]]의 과정이다.[1] 합성대사는 장기 및 조직을 구성해나간다. 이 과정은 세포의 성장 및 분화를 일으키며, 세포를 더욱 크게 하고, 복잡한 분자를 [[화학합성]]하는 과정이다. [[뼈]]의 성장 및 미네랄화, 또는 [[근육]]의 증가와 같은 것이 합성대사의 예이다.


== 경로 ==
세포는 단량체를 이용해서 새로운 중합분자를 구성하며 계속해서 [[젖산]], [[아세트산|초산]], [[이산화탄소]], [[암모니아]], [[인산]] 등과 같은 단순한 대사물질로 분해한다. 대사물질의 구성하는 것은 화학 에너지를 방출하는 [[산화]]과정으로서, 모든 에너지가 열로 손실되는 것이 아니라, 일부는 [[아데노신 삼인산]]을 합성함으로써 저장된다. 아데노신 삼인산의 [[가수분해]] 과정은 세포에서 필요로 하는 거의 모든 에너지를 공급해준다. 분해대사는 세포를 유지하기 위한 화학 에너지를 공급해준다. 분해대사의 예로는 [[포도당]] 생성시 사용되는 [[아미노산]]을 추출하기 위해 [[근육]] 단백질을 분해하는 것이나, [[지방산]]을 추출하기 위해 [[지방]]을 분해하는 것 등이 있다.
[[핵산]], [[단백질]], [[다당류]]와 같은 [[거대 분자]]를 만드는 데 사용되는 동화경로는 [[축합 반응]]을 사용하여 [[단량체]]들을 서로 연결한다.<ref name = "MBC_2002">{{cite book |url= https://www.ncbi.nlm.nih.gov/books/NBK21054/ |title=Molecular Biology of the Cell |last=Alberts |first=Bruce |last2=Johnson |first2=Alexander |last3=Julian |first3=Lewis |last4=Raff |first4=Martin |last5=Roberts |first5=Keith |last6=Walter |first6=Peter | name-list-style = vanc |publisher=CRC Press |year=2002 |isbn=978-0-8153-3218-3|edition= 5th |access-date=2018-11-01 |archive-url= https://web.archive.org/web/20170927035510/https://www.ncbi.nlm.nih.gov/books/NBK21054/ |archive-date=27 September 2017}} [https://archive.org/details/MolecularBiologyOfTheCell5th Alt URL]</ref> 거대 분자는 [[효소]]와 [[보조 인자]]를 사용하여 더 작은 분자들로부터 생성된다.
[[File:Catabolism, energy carriers and anabolism.png|thumb|ATP를 사용하여 동화작용의 에너지 흡수과정을 유도한다.|alt=|495x495px]]


== 동화 호르몬 ==
=== 에너지원 ===
동화작용에 필요한 에너지는 큰 분자가 더 작은 분자로 분해되는 과정에서 에너지를 방출하는 이화작용(예: [[세포 호흡]])에 의해 공급된다. 많은 동화작용들은 [[ATP 가수분해|아데노신 삼인산(ATP)의 가수분해]]에 의해 에너지를 공급받는다.<ref>{{cite book | vauthors = Nicholls DG, Ferguson SJ |title=Bioenergetics | edition = 3rd |publisher=Academic Press | date = 2002 |isbn=978-0-12-518121-1}}</ref> 동화작용은 일반적으로 [[환원]] 과정이며 [[엔트로피]]가 감소하는 과정이기 때문에 에너지의 투입이 없으면 열역학적으로 불리한 과정이다.<ref name=":0">{{Cite book|url=https://biochem.science.oregonstate.edu/files/biochem/ahern/BiochemistryFreeandEasy3.pdf|title=Biochemistry Free and Easy|last=Ahern|first=Kevin|last2=Rajagopal|first2=Indira | name-list-style = vanc |publisher=Oregon State University|year=2013|edition= 2nd}}</ref> [[전구체]]라고 불리는 출발 물질들은 ATP를 가수분해하거나 보조 인자인 [[NADH]], [[NADPH]], [[FADH2|FADH<sub>2</sub>]]를 산화시키거나 다른 유리한 부반응을 수행하여 얻을 수 있는 [[화학 에너지]]를 사용하여 서로 결합한다.<ref>{{Cite book | first1 = Donald | last1 = Voet | first2 = Judith G | last2 = Voet | first3 = Charlotte W | last3 = Pratt | name-list-style = vanc |title=Fundamentals of biochemistry : life at the molecular level |date=2013|publisher=Wiley |isbn=978-0-470-54784-7|edition= Fourth |location=Hoboken, NJ |oclc=738349533}}</ref> 때로는 소수성 상호작용이 분자들을 응집시키는 세포의 [[인지질 이중층]] 형성과 같은 경우에서처럼 에너지의 투입 없이 엔트로피에 의해 일어날 수도 있다.<ref>{{Cite book | first1 = Israel | last1 = Hanin | first2 = Giancarlo | last2 = Pepeu | name-list-style = vanc |title=Phospholipids: biochemical, pharmaceutical, and analytical considerations |isbn=978-1-4757-1364-0 |location=New York |oclc=885405600| date = 2013-11-11 }}</ref>
세포에서 분해대사와 합성대사가 동시에 일어나는 것은 비효율적이므로, 이 두 과정을 서로 전환하기 위해 많은 신호가 존재한다. 여기서의 신호는 [[호르몬]] 혹은 물질대사에 직접 관여하는 분자이다. [[내분비학]]에서는 기본적으로 호르몬을 [[동화 호르몬]]과 [[이화 호르몬]]으로 구분한다. [[동화 호르몬]](同化-)은 합성대사와 관련해 신체 기관의 구성을 촉진시키며, [[이화 호르몬]](異化-)은 분해대사와 관련해 신체 기관의 분해를 촉진시킨다.
* 동화 호르몬은 다음과 같다
** [[성장 호르몬]]
** [[IGF1]] 및 기타 유사인슐린 성장 요인
** [[인슐린]]
** [[테스토스테론]]
** [[에스트로겐]]
* 이화 호르몬은 다음과 같다
** [[코티솔]]
** [[글루카곤]]
** [[아드레날린]] 및 기타 [[카테콜아민]]
** [[사이토카인]]
*동화 및 이화 호르몬의 균형을 맞추어주는 호르몬은 다음과 같다
** [[오렉신]]와 [[하이포크레틴]]의 호르몬 쌍
** [[멜라토닌]]
==축합반응==
축합 반응(縮合反應)은 유기 화합물의 두 분자 또는 그 이상의 분자가 반응하여 물 따위의 간단한 분자를 제거하여 새로운 화합물을 만드는 반응이다.


=== 보조 인자 ===
==분자생물학==
[[환원제]]인 [[NADH]], [[NADPH]], [[FADH2|FADH<sub>2</sub>]]<ref name=":1" />와 금속 이온<ref name = "MBC_2002" />은 동화 경로의 다양한 단계에서 보조 인자로 작용한다. NADH, NADPH, FADH<sub>2</sub>는 전자 운반체로 작용하며, 효소 내의 하전된 금속 이온은 [[기질 (화학)|기질]]의 하전된 [[작용기]]를 안정화시킨다.
{{본문|분자생물학}}

한편 생명 현상을 분자 수준으로 연구하는 학문이라고 할 수 있는 [[분자생물학]](分子生物學)은 [[생화학]]에 기반하는 합성대사뿐만아니라 보다 근본적으로 정보의 저장과 사용이라는 측면에서 [[유전자 발현]]을 이해하는 [[유전자]]의 연구분야도 깊이있게 다룬다.
=== 기질 ===
동화 경로에 사용되는 기질은 대부분 세포에서 높은 [[에너지 충전]] 기간 동안 [[이화 경로]]로부터 얻어지는 [[대사 중간생성물]]이다.<ref name=":2" />

== 기능 ==
동화작용은 [[조직 (생물학)|조직]]과 [[기관 (해부학)|기관]]의 형성에 관여한다. 이러한 과정은 [[세포]]의 생장과 분화를 일으키고 복잡한 [[분자]]의 합성을 포함하는 과정으로 신체의 크기를 증가시킨다. 동화 과정의 예로는 [[뼈]]의 생장과 무기질화, 근육량의 증가가 있다.

=== 동화 호르몬 ===
[[내분비학|내분비학자]]들은 전통적으로 [[호르몬]]이 자극하는 물질대사의 부분에 따라 호르몬을 동화 호르몬 또는 이화 호르몬으로 분류했다. 고전적인 동화 호르몬은 단백질 합성 및 근육 생장을 자극하는 [[동화 스테로이드]]와 [[인슐린]]이다.

=== 광합성 탄수화물 합성 ===
[[식물]]과 특정 [[세균]]에서 [[광합성|광합성 탄수화물 합성]]은 이산화 탄소(CO<sub>2</sub>)로부터 [[포도당]], [[셀룰로스]], [[녹말]], [[지질 (생물학)|지질]] 및 [[단백질]]을 생성하는 동화 과정이다.<ref name=":0" /> 광합성의 광의존적 반응에서 생성된 에너지를 사용하고 광합성의 탄소 고정 반응([[캘빈 회로]])에서 [[탄소 고정|탄소 동화]]를 통해 이러한 큰 분자의 전구체를 생성한다.<ref name=":2" />
[[File:Amino acid biosynthesis overview.png|thumb|해당과정과 시트르산 회로의 대사 중간생성물로부터 아미노산의 생합성|alt=|407x407px]]

=== 아미노산 생합성 ===
모든 [[아미노산]]은 [[해당과정]], [[시트르산 회로]] 또는 [[오탄당 인산 경로]]의 이화 과정에서 [[대사 중간생성물]]로부터 생성된다. 해당과정의 대사 중간생성물인 [[포도당 6-인산]]은 [[히스티딘]]의 [[전구체]]이다. [[3-포스포글리세르산]]은 [[글리신]]과 [[시스테인]]의 전구체이다. 3-포스포글리세르산의 [[유도체]]인 [[에리트로스 4-인산]]과 결합된 [[포스포엔올피루브산]]은 [[트립토판]], [[페닐알라닌]], [[티로신 (아미노산)|티로신]]을 형성한다. 그리고 [[피루브산]]은 [[알라닌]], [[발린]], [[류신]], [[아이소류신]]의 전구체이다. 시트르산 회로의 대사 중간생성물인 [[α-케토글루타르산]]은 [[글루탐산]]으로 전환되고, 이어서 [[글루타민]], [[프롤린]], [[아르기닌]]으로 전환된다. 그리고 [[옥살로아세트산]]은 [[아스파르트산]]으로 전환되고, 이어서 [[아스파라긴]], [[메티오닌]], [[트레오닌]], [[리신]]으로 전환된다.<ref name=":2" />

=== 글리코젠 저장 ===
고혈당 상태가 지속되는 동안 해당과정의 [[포도당 6-인산]]은 글리코젠 저장 경로로 전환된다. 포도당 6-인산은 [[포스포글루코뮤테이스]]에 의해 [[포도당 1-인산]]으로 전환되고, 포도당 1-인산은 [[UTP-포도당 1-인산 유리딜릴기전이효소]]에 의해 [[UDP-포도당]]으로 전환된다. [[글리코젠 생성효소]]는 UDP-포도당을 글리코젠 사슬에 첨가한다.<ref name=":2" />

=== 포도당신생합성 ===
[[글루카곤]]은 전통적으로 이화 호르몬이지만, 또한 [[간]]에서 [[포도당신생합성]]의 동화 과정을 자극하고, [[굶주림|기아]] 상태에서 [[저혈당증|저혈당]]을 방지하기 위해 콩팥 겉질과 내장을 덜 자극한다.<ref name=":1">{{cite book | chapter-url = https://bio.libretexts.org/TextMaps/Biochemistry/Book%3A_Biochemistry_Online_(Jakubowski)/10%3A_Metabolic_Pathways/B._MP2%3A_An_Overview_of_Metabolic_Pathways_-_Anabolism | chapter = An Overview of Metabolic Pathways - Anabolism |title=Biochemistry Online |last=Jakubowski |first=Henry | name-list-style = vanc |publisher=LibreTexts | location = College of St. Benedict, St. John's University|year=2002 }}</ref> 포도당신생합성은 피루브산을 포도당으로 변환하는 과정이다. 피루브산은 포도당, [[젖산]], 아미노산, 또는 [[글리세롤]]의 분해로부터 얻을 수 있다.<ref name=":3">{{cite book | first1 = Jeremy M | last1 = Berg | first2 = John L | last2 = Tymoczko | first3 = Lubert | last3 = Stryer | name-list-style = vanc | url = https://archive.org/details/biochemistrychap00jere | title = Biochemistry | date = 2002 | publisher = W.H. Freeman | isbn = 978-0-7167-3051-4 | edition = 5th | location = New York | oclc = 48055706 | url-access = registration }}</ref> 포도당신생합성은 해당과정과 가역 반응을 촉매하는 많은 효소들을 공유하지만, 해당과정의 단순한 역반응은 아니다. 포도당신생합성은 전체 경로가 한 방향으로만 진행되도록 하기 위해 해당과정의 효소는 다른 비가역적 효소를 사용한다.<ref name=":3" />

== 조절 ==
동화작용은 [[촉매 작용]]과 별개의 [[효소]]로 조절되며, 이 효소는 경로의 특정 지점에서 비가역적인 단계를 거친다. 이것은 [[세포]]가 생산 속도를 조절하고 이화작용으로 형성되는 [[낭비 회로]]로 알려진 무한 루프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ref name=":2">{{cite book | title=Principles of Biochemistry | first1 = David L | last1 = Nelson | first2 = Albert L | last2 = Lehninger | first3 = Michael M | last3 = Cox | name-list-style = vanc |year= 2013 |isbn=978-1-4292-3414-6|location= New York |publisher=W.H. Freeman }}</ref>

동화작용과 이화작용 사이의 균형은 [[아데노신 이인산|ADP]]와 [[아데노신 삼인산|ATP]](세포의 [[에너지 충전]]이라고도 함)에 민감하다. 과잉의 ATP는 세포가 동화작용을 촉진하고 이화작용을 늦추게 하는 반면, 과잉의 ADP는 세포가 동화작용을 늦추고 이화작용을 촉진하게 한다.<ref name=":2" /> 이러한 경로는 또한 하루 종일 동물의 정상적인 활동 기간에 맞춰 변동하는 [[해당과정]]과 같은 과정을 [[일주기 리듬]]에 맞추어 조절한다.<ref>{{cite journal | vauthors = Ramsey KM, Marcheva B, Kohsaka A, Bass J | title = The clockwork of metabolism | journal = Annual Review of Nutrition | volume = 27 | pages = 219–40 | year = 2007 | pmid = 17430084 | doi = 10.1146/annurev.nutr.27.061406.093546 }}</ref>

== 어원 ==
동화작용(anabolism)이라는 용어는 "위쪽으로(upward)"라는 의미의 [[그리스어]] "ἁνά"와 "던지다(to throw)"라는 의미의 그리스어 "βάλλειν"로부터 유래하였다.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 [[원자단 이동 반응]]
* [[물질대사]]
* [[이화작용]]
* [[이성단백질]](Heterologous)


== 외부 링크 ==
== 각주 ==
{{각주}}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 왜 고지방 식단(high-fat diet)은 비만을 유발하는가?- 유권열(서울시립대학교 생명과학과))http://www.ksmcb.or.kr/file/webzine/webzine12_file_02.pdf
*( K-MOOC 알기 쉬운 분자생물학 대표교수 서울시립대학교 유권열 교수 생명과학과)http://www.kmooc.kr/courses/course-v1:UOSk+ACE_UOS07+2020_T1/course/


{{물질대사}}
{{물질대사}}

{{전거 통제}}
{{전거통제}}
[[분류:생물학]]

[[분류:생화학]]
[[분류:물질대사]]
[[분류:물질대사]]

2022년 9월 26일 (월) 16:35 판

동화작용(영어: anabolism)은 더 작은 단위의 분자를 더 큰 단위의 분자로 합성하는 일련의 대사 경로이다.[1] 합성대사(合成代謝)라고도 한다. 이러한 반응에는 에너지를 필요로 하며, 이는 에너지 흡수반응이다.[2] 동화작용은 물질대사의 합성 과정이며, 이화작용은 물질대사의 분해 과정이다. 동화작용은 일반적으로 생합성동의어로 간주된다.

경로

핵산, 단백질, 다당류와 같은 거대 분자를 만드는 데 사용되는 동화경로는 축합 반응을 사용하여 단량체들을 서로 연결한다.[3] 거대 분자는 효소보조 인자를 사용하여 더 작은 분자들로부터 생성된다.

ATP를 사용하여 동화작용의 에너지 흡수과정을 유도한다.

에너지원

동화작용에 필요한 에너지는 큰 분자가 더 작은 분자로 분해되는 과정에서 에너지를 방출하는 이화작용(예: 세포 호흡)에 의해 공급된다. 많은 동화작용들은 아데노신 삼인산(ATP)의 가수분해에 의해 에너지를 공급받는다.[4] 동화작용은 일반적으로 환원 과정이며 엔트로피가 감소하는 과정이기 때문에 에너지의 투입이 없으면 열역학적으로 불리한 과정이다.[5] 전구체라고 불리는 출발 물질들은 ATP를 가수분해하거나 보조 인자인 NADH, NADPH, FADH2를 산화시키거나 다른 유리한 부반응을 수행하여 얻을 수 있는 화학 에너지를 사용하여 서로 결합한다.[6] 때로는 소수성 상호작용이 분자들을 응집시키는 세포의 인지질 이중층 형성과 같은 경우에서처럼 에너지의 투입 없이 엔트로피에 의해 일어날 수도 있다.[7]

보조 인자

환원제NADH, NADPH, FADH2[8]와 금속 이온[3]은 동화 경로의 다양한 단계에서 보조 인자로 작용한다. NADH, NADPH, FADH2는 전자 운반체로 작용하며, 효소 내의 하전된 금속 이온은 기질의 하전된 작용기를 안정화시킨다.

기질

동화 경로에 사용되는 기질은 대부분 세포에서 높은 에너지 충전 기간 동안 이화 경로로부터 얻어지는 대사 중간생성물이다.[9]

기능

동화작용은 조직기관의 형성에 관여한다. 이러한 과정은 세포의 생장과 분화를 일으키고 복잡한 분자의 합성을 포함하는 과정으로 신체의 크기를 증가시킨다. 동화 과정의 예로는 의 생장과 무기질화, 근육량의 증가가 있다.

동화 호르몬

내분비학자들은 전통적으로 호르몬이 자극하는 물질대사의 부분에 따라 호르몬을 동화 호르몬 또는 이화 호르몬으로 분류했다. 고전적인 동화 호르몬은 단백질 합성 및 근육 생장을 자극하는 동화 스테로이드인슐린이다.

광합성 탄수화물 합성

식물과 특정 세균에서 광합성 탄수화물 합성은 이산화 탄소(CO2)로부터 포도당, 셀룰로스, 녹말, 지질단백질을 생성하는 동화 과정이다.[5] 광합성의 광의존적 반응에서 생성된 에너지를 사용하고 광합성의 탄소 고정 반응(캘빈 회로)에서 탄소 동화를 통해 이러한 큰 분자의 전구체를 생성한다.[9]

해당과정과 시트르산 회로의 대사 중간생성물로부터 아미노산의 생합성

아미노산 생합성

모든 아미노산해당과정, 시트르산 회로 또는 오탄당 인산 경로의 이화 과정에서 대사 중간생성물로부터 생성된다. 해당과정의 대사 중간생성물인 포도당 6-인산히스티딘전구체이다. 3-포스포글리세르산글리신시스테인의 전구체이다. 3-포스포글리세르산의 유도체에리트로스 4-인산과 결합된 포스포엔올피루브산트립토판, 페닐알라닌, 티로신을 형성한다. 그리고 피루브산알라닌, 발린, 류신, 아이소류신의 전구체이다. 시트르산 회로의 대사 중간생성물인 α-케토글루타르산글루탐산으로 전환되고, 이어서 글루타민, 프롤린, 아르기닌으로 전환된다. 그리고 옥살로아세트산아스파르트산으로 전환되고, 이어서 아스파라긴, 메티오닌, 트레오닌, 리신으로 전환된다.[9]

글리코젠 저장

고혈당 상태가 지속되는 동안 해당과정의 포도당 6-인산은 글리코젠 저장 경로로 전환된다. 포도당 6-인산은 포스포글루코뮤테이스에 의해 포도당 1-인산으로 전환되고, 포도당 1-인산은 UTP-포도당 1-인산 유리딜릴기전이효소에 의해 UDP-포도당으로 전환된다. 글리코젠 생성효소는 UDP-포도당을 글리코젠 사슬에 첨가한다.[9]

포도당신생합성

글루카곤은 전통적으로 이화 호르몬이지만, 또한 에서 포도당신생합성의 동화 과정을 자극하고, 기아 상태에서 저혈당을 방지하기 위해 콩팥 겉질과 내장을 덜 자극한다.[8] 포도당신생합성은 피루브산을 포도당으로 변환하는 과정이다. 피루브산은 포도당, 젖산, 아미노산, 또는 글리세롤의 분해로부터 얻을 수 있다.[10] 포도당신생합성은 해당과정과 가역 반응을 촉매하는 많은 효소들을 공유하지만, 해당과정의 단순한 역반응은 아니다. 포도당신생합성은 전체 경로가 한 방향으로만 진행되도록 하기 위해 해당과정의 효소는 다른 비가역적 효소를 사용한다.[10]

조절

동화작용은 촉매 작용과 별개의 효소로 조절되며, 이 효소는 경로의 특정 지점에서 비가역적인 단계를 거친다. 이것은 세포가 생산 속도를 조절하고 이화작용으로 형성되는 낭비 회로로 알려진 무한 루프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9]

동화작용과 이화작용 사이의 균형은 ADPATP(세포의 에너지 충전이라고도 함)에 민감하다. 과잉의 ATP는 세포가 동화작용을 촉진하고 이화작용을 늦추게 하는 반면, 과잉의 ADP는 세포가 동화작용을 늦추고 이화작용을 촉진하게 한다.[9] 이러한 경로는 또한 하루 종일 동물의 정상적인 활동 기간에 맞춰 변동하는 해당과정과 같은 과정을 일주기 리듬에 맞추어 조절한다.[11]

어원

동화작용(anabolism)이라는 용어는 "위쪽으로(upward)"라는 의미의 그리스어 "ἁνά"와 "던지다(to throw)"라는 의미의 그리스어 "βάλλειν"로부터 유래하였다.

같이 보기

각주

  1. de Bolster MW (1997). “Glossary of Terms Used in Bioinorganic Chemistry: Anabolism”. International Union of Pure and Applied Chemistry. 2007년 10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10월 30일에 확인함. 
  2. Rye, Connie; Wise, Robert; Jurukovski, Vladimir; Choi, Jung; Avissar, Yael (2013). 《Biology》. Rice University, Houston Texas: OpenStax. ISBN 978-1-938168-09-3. 
  3. Alberts, Bruce; Johnson, Alexander; Julian, Lewis; Raff, Martin; Roberts, Keith; Walter, Peter (2002). 《Molecular Biology of the Cell》 5판. CRC Press. ISBN 978-0-8153-3218-3. 2017년 9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1월 1일에 확인함.  Alt URL
  4. Nicholls DG, Ferguson SJ (2002). 《Bioenergetics》 3판. Academic Press. ISBN 978-0-12-518121-1. 
  5. Ahern, Kevin; Rajagopal, Indira (2013). 《Biochemistry Free and Easy》 (PDF) 2판. Oregon State University. 
  6. Voet, Donald; Voet, Judith G; Pratt, Charlotte W (2013). 《Fundamentals of biochemistry : life at the molecular level》 Four판. Hoboken, NJ: Wiley. ISBN 978-0-470-54784-7. OCLC 738349533. 
  7. Hanin, Israel; Pepeu, Giancarlo (2013년 11월 11일). 《Phospholipids: biochemical, pharmaceutical, and analytical considerations》. New York. ISBN 978-1-4757-1364-0. OCLC 885405600. 
  8. Jakubowski, Henry (2002). 〈An Overview of Metabolic Pathways - Anabolism〉. 《Biochemistry Online》. College of St. Benedict, St. John's University: LibreTexts. 
  9. Nelson, David L; Lehninger, Albert L; Cox, Michael M (2013). 《Principles of Biochemistry》. New York: W.H. Freeman. ISBN 978-1-4292-3414-6. 
  10. Berg, Jeremy M; Tymoczko, John L; Stryer, Lubert (2002). 《Biochemistry》 5판. New York: W.H. Freeman. ISBN 978-0-7167-3051-4. OCLC 48055706. 
  11. Ramsey KM, Marcheva B, Kohsaka A, Bass J (2007). “The clockwork of metabolism”. 《Annual Review of Nutrition》 27: 219–40. doi:10.1146/annurev.nutr.27.061406.093546. PMID 174300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