걱: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Joo9won (토론 | 기여)
→‎분포: 어원, 역사, 특징
Joo9won (토론 | 기여)
51번째 줄: 51번째 줄:
일반적으로 걱 열매는 멜론 정도 크기의 원형 또는 타원형 과실로 길이는 13cm, 너비는 10cm이다. 표면 전체는 가시 모양의 돌기가 돋아 있는 두껍고 단단한 껍질로 둘러싸여있다. 녹색의 걱은 열매가 익기 시작하면서 주황색으로 변하고, 수확 직전 완전히 익은 상태에는 붉은색을 띤다. 이때 걱의 표면은 매우 단단해지지만 수확 후 쉽게 쪼그라들기 때문에 보관과 운송에 주의를 요한다.<ref name=":1" />
일반적으로 걱 열매는 멜론 정도 크기의 원형 또는 타원형 과실로 길이는 13cm, 너비는 10cm이다. 표면 전체는 가시 모양의 돌기가 돋아 있는 두껍고 단단한 껍질로 둘러싸여있다. 녹색의 걱은 열매가 익기 시작하면서 주황색으로 변하고, 수확 직전 완전히 익은 상태에는 붉은색을 띤다. 이때 걱의 표면은 매우 단단해지지만 수확 후 쉽게 쪼그라들기 때문에 보관과 운송에 주의를 요한다.<ref name=":1" />


부드러운 식감을 가진 걱 열매는 두꺼운 과육(Mesocarp)을 가지고 있다. 걱 내부는 노란 부분의 열매와 붉은 부분의 가종피로 나뉘어져 있다. 열매의 크기가 클 수록 먹는 부위인 가종피의 비율도 큰 편이다.<ref>{{저널 인용|제목=Propagation and production of Gac (Momordica Cochinchinensis Spreng.), A greenhouse case study|저널=Experimental Agriculture|성=Parks, Sophie; Murray, Carly; Gale, David; AL-Khawaldeh, B; Spohr, Lorraine|이름=|url=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259431185_Propagation_and_production_of_Gac_Momordica_Cochinchinensis_Spreng_A_greenhouse_case_study|날짜=2013|출판사=}}</ref>
부드러운 식감을 가진 걱 열매는 두꺼운 과육(Mesocarp)을 가지고 있다. 걱 내부는 노란 부분의 열매와 붉은 부분의 가종피로 나뉘어져 있다. 열매의 크기가 클 수록 먹는 부위인 가종피의 비율도 큰 편이다.<ref name=":2">{{저널 인용|제목=Propagation and production of Gac (Momordica Cochinchinensis Spreng.), A greenhouse case study|저널=Experimental Agriculture|성=Parks, Sophie; Murray, Carly; Gale, David; AL-Khawaldeh, B; Spohr, Lorraine|이름=|url=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259431185_Propagation_and_production_of_Gac_Momordica_Cochinchinensis_Spreng_A_greenhouse_case_study|날짜=2013|출판사=}}</ref>
<br />


<gallery>
<gallery>
58번째 줄: 57번째 줄:
파일:Momordica cochinchinensis seeds, by Omar Hoftun.jpg|씨
파일:Momordica cochinchinensis seeds, by Omar Hoftun.jpg|씨
</gallery>
</gallery>

== 번식 ==
암수딴몸식물인 걱은 수분시 수술과 암술이 모두 필요하다. 따라서 최소한 한 개 이상의 수나무를 열매를 맺는 암나무 주변에 심어야 한다. 번식을 위해서 수나무와 암나무가 술을 교환하게 되는데 이는 계절 단위로 이루어진다. 씨로부터 자라난 걱의 수나무와 암나무의 비율은 고정적이지 않다. 수분은 주로 곤충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사람 손으로 수분할 경우 열매의 과실이 더 많은 편이다. 새로 자라나는 식물의 경우 많은 과실을 위해 덩이뿌리로부터 만들어지는데 그 이유는 씨에서 발아가 시작되는 경우 식물의 휴면상태나 나이와 같은 환경에 많은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ref name=":2" />

== 쓰임 ==
원산지인 베트남에서는 걱을 식용과 약용으로 널리 사용되어 왔다. 약용으로는 1200여 년 전 중국과 베트남에서 전통 약재로 사용되어 왔다.<ref>{{웹 인용|url=https://research.jcu.edu.au/bmdt/news-and-updates/researchers-use-nature-to-fight-cancer|제목=Researchers use nature to fight cancer|언어=en|확인날짜=2019-01-10}}</ref> 무비에지([[wiktionary:mù|mù]][[wiktionary:biē|biē]][[wiktionary:zǐ|zǐ]], 단단한 자라 모양의 씨)이라고도 불리는 걱의 씨는 전통 약재로 경구용과 국소용 등 다양하게 사용된다.<ref>{{저널 인용|제목=Gac fruit (Momordica cochinchinensis Spreng.): a rich source of bioactive compounds and its potential health benefits|저널=International Journal of Food Science & Technology|성=Chuyen|이름=Hoang V.|성2=Nguyen|이름2=Minh H.|url=https://onlinelibrary.wiley.com/doi/abs/10.1111/ijfs.12721|날짜=2015|권=50|호=3|쪽=567–577|언어=en|doi=10.1111/ijfs.12721|issn=1365-2621|성3=Roach|이름3=Paul D.|성4=Golding|이름4=John B.|성5=Parks|이름5=Sophie E.}}</ref>

숙성된 걱의 씨를 둘러싸고 있는 가종피(Aril)를 이용한 베트남의 대표 음식베트남 결혼식, 설날에 대표적으로 등장하는 붉은 색 음식으로 “Xoi Gac”으로 불린다. 인도에서는 덜 익은 녹색의 걱도 식재료로 사용한다. 가시로 둘러싸인 껍질을 제거하고 열매를 잘게 썰어 감자와 조롱박을 섞어 사용한다.<ref>{{저널 인용|제목=Effects of maturity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Gac fruit (Momordica cochinchinensis
Spreng.)|저널=Food Science & Nutrition|성=Tran|이름=Xuan T.|성2=Parks|이름2=Sophie E.|url=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4779482/|날짜=2015-10-06|권=4|호=2|쪽=305–314|doi=10.1002/fsn3.291|issn=2048-7177|pmc=PMC4779482|pmid=27004120|성3=Roach|이름3=Paul D.|성4=Golding|이름4=John B.|성5=Nguyen|이름5=Minh H.}}</ref> 한편 스리랑카에서는 걱을 카레와 함께 사용하고, 태국에서는 아이스크림에 첨가한다.<ref>{{웹 인용|url=https://www.rmit.edu.vn/node/10269/draft|제목=RMIT researcher uncovers the exceptional health benefits of gấc fruit|언어=en|확인날짜=2019-01-10}}</ref>

걱 열매의 가공 과정에서 대부분 버려지는 과육(Pulp), 껍질, 씨 부분에도 영양소가 가득하다고 한다. 베타카로틴과 라이코펜 뿐 아니라 눈 질병에 도움을 주는 루테인과 잔토필이 풍부하다.<ref>{{저널 인용|제목=Phytochemical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different fruit fractions (peel, pulp, aril and seed) of Thai gac (Momordica cochinchinensis Spreng)|저널=Food Chemistry|성=Kubola|이름=Jittawan|성2=Siriamornpun|이름2=Sirithon|url=https://www.ncbi.nlm.nih.gov/pubmed/25214106|날짜=2011-08-01|권=127|호=3|쪽=1138–1145|doi=10.1016/j.foodchem.2011.01.115|issn=0308-8146|pmid=25214106}}</ref> 씨의 경우 중국에서는 오랜기간 전통 약재로 사용되어 왔는데 트립신 억제인자가 풍부하여 인간의 건강에 도움을 준다.<ref>{{저널 인용|제목=Multiple trypsin inhibitors from Momordica cochinchinensis seeds, the Chinese drug mubiezhi|저널=Peptides|url=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abs/pii/S019697810400004X|날짜=2004-02-01|권=25|호=2|쪽=163–169|언어=en|doi=10.1016/j.peptides.2004.01.002|issn=0196-9781}}</ref>

높은 베타카로틴과 라이코펜 함량 때문에 걱의 가종피(Aril)에서 추출한 추출물은 소프트 캡슐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으로 생산되거나 주스 형태로 생산된다.<ref>{{웹 인용|url=https://www.brownalumnimagazine.com/articles/2015-06-12/the-next-big-fruit-juice|제목=The Next Big Fruit Juice?|언어=en|확인날짜=2019-01-10}}</ref> 걱을 재료로 만든 음식을 섭취한 베트남 아이들은 그렇지 않은 아이들에 비해 체내 베타카로틴 함량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ref>{{저널 인용|제목=Plasma β-carotene and retinol concentrations of children increase after a 30-d supplementation with the fruit Momordica cochinchinensis (gac)|저널=The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성=Murphy|이름=Suzanne P.|성2=Dueker|이름2=Stephen R.|url=https://academic.oup.com/ajcn/article/75/5/872/4689401|날짜=2002-05-01|권=75|호=5|쪽=872–879|언어=en|doi=10.1093/ajcn/75.5.872|issn=0002-9165|성3=Vuong|이름3=Le T.}}</ref>

== 영양소 ==
많은 연구를 통해 걱의 풍부한 베타카로틴과 라이코펜을 확인할 수 있다.<ref>{{저널 인용|제목=Carotenoids Concentration of Gac (Momordica cochinchinensis Spreng.) Fruit Oil Using Cross-Flow Filtration Technology|저널=Journal of Food Science|성=Mai|이름=Huỳnh Cang|성2=Truong|이름2=Vinh|url=https://onlinelibrary.wiley.com/doi/abs/10.1111/1750-3841.12661|날짜=2014|권=79|호=11|쪽=E2222–E2231|언어=en|doi=10.1111/1750-3841.12661|issn=1750-3841|성3=Debaste|이름3=Frédéric}}</ref><ref>{{저널 인용|제목=Oxidative Metabolites of Lycopene and γ-Carotene in Gac (Momordica cochinchinensis)|저널=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성=Maoka|이름=Takashi|성2=Yamano|이름2=Yumiko|url=https://doi.org/10.1021/jf505008d|날짜=2015-02-11|권=63|호=5|쪽=1622–1630|doi=10.1021/jf505008d|issn=0021-8561|성3=Wada|이름3=Akimori|성4=Etho|이름4=Tetsuji|성5=Terada|이름5=Yukimasa|성6=Tokuda|이름6=Harukuni|성7=Nishino|이름7=Hoyoku}}</ref><ref>{{저널 인용|제목=Comparative analysis of carotenoid content in Momordica cochinchinensis (Cucurbitaceae) collected from Australia, Thailand and Vietnam|저널=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성=Wimalasiri|이름=Dilani|성2=Brkljača|이름2=Robert|url=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5583111/|날짜=2017-8|권=54|호=9|쪽=2814–2824|doi=10.1007/s13197-017-2719-0|issn=0022-1155|pmc=PMC5583111|pmid=28928521|성3=Piva|이름3=Terrence J.|성4=Urban|이름4=Sylvia|성5=Huynh|이름5=Tien}}</ref> 뿐만아니라 가종피(Aril)와 씨에는 단불포화지방산과 고도불포화지방산이 가득하다.<ref name=":3">{{저널 인용|제목=Fatty Acid and Carotenoid Composition of Gac (Momordica cochinchinensis Spreng) Fruit|저널=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성=Ishida|이름=Betty K.|성2=Turner|이름2=Charlotta|url=https://doi.org/10.1021/jf030616i|날짜=2004-01-01|권=52|호=2|쪽=274–279|doi=10.1021/jf030616i|issn=0021-8561|성3=Chapman|이름3=Mary H.|성4=McKeon|이름4=Thomas A.}}</ref> 전체 지방산 중 70% 이상이 불포화 지방산이고 그 중 50%가 단불포화지방산이다. 다른 열매들과는 달리 걱에는 높은 수준의 오메가 6(리놀렌산)과 오메가3를 함유되어 있는데 걱에 포함된 지방은 카로테노이드와 같은 지용성 영양소의 흡수를 돕는다.<ref name=":3" /> 이는 당근, 토마토와의 생체이용률 비교 실험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ref>{{저널 인용|제목=Carotenoids from gac fruit aril (Momordica cochinchinensis [Lour.] Spreng.) are more bioaccessible than those from carrot root and tomato fruit|저널=Food Research International|url=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0963996916305257|날짜=2017-09-01|권=99|쪽=928–935|언어=en|doi=10.1016/j.foodres.2016.10.053|issn=0963-9969}}</ref> <br />


== 각주 ==
== 각주 ==

2019년 1월 10일 (목) 12:56 판

목별

생물 분류ℹ️
계: 식물계
(미분류): 속씨식물문
(미분류): 진정쌍떡잎식물강
(미분류): 장미군
목: 박목
과: 박과
속: 여주속
종: 목별
학명
Momordica cochinchinensis
(Lour.) Spreng.

학명이명
이명 목록[1]
  • Momordica macrophylla Gage
  • Momordica meloniflora Hand.-Mazz.
  • Momordica mixta Roxb.
  • Muricia cochinchinensis Lour.
  • Zucca commersoniana Ser.

목별(木鼈, 학명: Momordica cochinchinensis 모모르디카 코킹키넨시스[*])은 박과여러해살이 덩굴풀이다.[2] 베트남어 이름인 (gấc)으로도 알려져 있다.[3][4] 주로 동남아지역에서 많이 재배되고, 호주 북동부에서도 자생한다.[1] 베타카로틴라이코펜이 풍부하여 짙은 주황색을 띄는게 특징이다.

어원

베트남에서 주로 발견되는 걱은 베트남어로 “quả gấc”으로 불리는데 여기서 “quả”는 열매 혹은 과일을 뜻한다.[5] 학명은 코친치넨시스 모모르지카(Cochinhinensis Momordica)로 코친치넨시스(Cochinchinensis)는 프랑스 식민지 시기의 남부 베트남의 지명이였던 코친치나(Cohinchinna)에서 유래했다. 모모디아(Momordica)는 식물 잎의 가장자리가 물린 것처럼 톱니형상을 띤 것에서 유래한 것으로 대표적으로는 여주(Bitter Cucumber)가 있다.[5]

역사

200년전 베트남에 방문한 포르투갈의 신부 루시소(J. Lourcis)가 걱을 발견하면서 세상에 알려졌다. 1790년에 출판된 Flora Cochinchinesis에 그는 이 열매의 이름을 Murica cochinchinensis라 지었다. 후에 카톨릭 교구 (Sprengel)에서 린네(Linnean)의 속 분류에 따라 모모르지카에 해당한다고 하여 1826년에 이름을 바꾸게 되었다.[6]

분포

남아시아(방글라데시, 인도), 동남아시아(대만, 라오스, 말레이시아, 미얀마, 베트남, 인도네시아, 중국, 캄보디아, 태국, 필리핀), 태평양(오스트레일리아, 파푸아뉴기니) 지역이 원산지이다.[7]

특징

걱은 암술과 수술이 별개의 개체로 이뤄진 암수딴몸식물(Dioecious Vines)로 5-10cm 정도의 꽃을 피운다. 줄기는 20m까지 자라며 심은지 2~3개월이 지나면 개화하기 시작하는데 1년에 한 번 한다. 한 번에 30~60개의 열매를 맺는다.[8] 꽃을 맺고 약 5개월이 지나면 열매가 익기 시작하여 짙은 주황색이 되는데 이때부터 수확 가능하다. 매년 9월~12월에 걸쳐 수확된다.

잎자루가 없이 마주나며, 5월쯤에 누런색의 작은 이 피고, 7월쯤에 붉은 색 열매를 맺는다.[2] 는 8월쯤에 따서 으로 쓰는데, 납작하고 둥글어서 자라와 모양이 비슷하다.[2]

열매

일반적으로 걱 열매는 멜론 정도 크기의 원형 또는 타원형 과실로 길이는 13cm, 너비는 10cm이다. 표면 전체는 가시 모양의 돌기가 돋아 있는 두껍고 단단한 껍질로 둘러싸여있다. 녹색의 걱은 열매가 익기 시작하면서 주황색으로 변하고, 수확 직전 완전히 익은 상태에는 붉은색을 띤다. 이때 걱의 표면은 매우 단단해지지만 수확 후 쉽게 쪼그라들기 때문에 보관과 운송에 주의를 요한다.[8]

부드러운 식감을 가진 걱 열매는 두꺼운 과육(Mesocarp)을 가지고 있다. 걱 내부는 노란 부분의 열매와 붉은 부분의 가종피로 나뉘어져 있다. 열매의 크기가 클 수록 먹는 부위인 가종피의 비율도 큰 편이다.[9]

번식

암수딴몸식물인 걱은 수분시 수술과 암술이 모두 필요하다. 따라서 최소한 한 개 이상의 수나무를 열매를 맺는 암나무 주변에 심어야 한다. 번식을 위해서 수나무와 암나무가 술을 교환하게 되는데 이는 계절 단위로 이루어진다. 씨로부터 자라난 걱의 수나무와 암나무의 비율은 고정적이지 않다. 수분은 주로 곤충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사람 손으로 수분할 경우 열매의 과실이 더 많은 편이다. 새로 자라나는 식물의 경우 많은 과실을 위해 덩이뿌리로부터 만들어지는데 그 이유는 씨에서 발아가 시작되는 경우 식물의 휴면상태나 나이와 같은 환경에 많은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9]

쓰임

원산지인 베트남에서는 걱을 식용과 약용으로 널리 사용되어 왔다. 약용으로는 1200여 년 전 중국과 베트남에서 전통 약재로 사용되어 왔다.[10] 무비에지(biē, 단단한 자라 모양의 씨)이라고도 불리는 걱의 씨는 전통 약재로 경구용과 국소용 등 다양하게 사용된다.[11]

숙성된 걱의 씨를 둘러싸고 있는 가종피(Aril)를 이용한 베트남의 대표 음식베트남 결혼식, 설날에 대표적으로 등장하는 붉은 색 음식으로 “Xoi Gac”으로 불린다. 인도에서는 덜 익은 녹색의 걱도 식재료로 사용한다. 가시로 둘러싸인 껍질을 제거하고 열매를 잘게 썰어 감자와 조롱박을 섞어 사용한다.[12] 한편 스리랑카에서는 걱을 카레와 함께 사용하고, 태국에서는 아이스크림에 첨가한다.[13]

걱 열매의 가공 과정에서 대부분 버려지는 과육(Pulp), 껍질, 씨 부분에도 영양소가 가득하다고 한다. 베타카로틴과 라이코펜 뿐 아니라 눈 질병에 도움을 주는 루테인과 잔토필이 풍부하다.[14] 씨의 경우 중국에서는 오랜기간 전통 약재로 사용되어 왔는데 트립신 억제인자가 풍부하여 인간의 건강에 도움을 준다.[15]

높은 베타카로틴과 라이코펜 함량 때문에 걱의 가종피(Aril)에서 추출한 추출물은 소프트 캡슐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으로 생산되거나 주스 형태로 생산된다.[16] 걱을 재료로 만든 음식을 섭취한 베트남 아이들은 그렇지 않은 아이들에 비해 체내 베타카로틴 함량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17]

영양소

많은 연구를 통해 걱의 풍부한 베타카로틴과 라이코펜을 확인할 수 있다.[18][19][20] 뿐만아니라 가종피(Aril)와 씨에는 단불포화지방산과 고도불포화지방산이 가득하다.[21] 전체 지방산 중 70% 이상이 불포화 지방산이고 그 중 50%가 단불포화지방산이다. 다른 열매들과는 달리 걱에는 높은 수준의 오메가 6(리놀렌산)과 오메가3를 함유되어 있는데 걱에 포함된 지방은 카로테노이드와 같은 지용성 영양소의 흡수를 돕는다.[21] 이는 당근, 토마토와의 생체이용률 비교 실험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22]

각주

  1. Momordica cochinchinensis (Lour.) Spreng.”. 《The Plant List》 (영어). 큐 왕립식물원. 2012년 3월 23일. 2018년 2월 13일에 확인함. 
  2. “목별”. 《표준국어대사전》. 국립국어원. 2018년 2월 13일에 확인함. 
  3. 껌뚜(Cẩm Tú) (2017년 3월 8일). “걱(gấc) 열매의 잠재력”. 《베한타임즈》. 2018년 2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2월 13일에 확인함. 
  4. 성낙중 (2015년 10월 30일). “아열대작물이 뜬다<38> 게욱(geuk,gac)”. 《농업인신문. 2018년 2월 13일에 확인함. 
  5. “Taxon: Momordica cochinchinensis (Lour.) Spreng. U.S. National Plant germplasm System”. 2019년 1월 9일에 확인함. 
  6. Vuong, Le (2000). “Underutilized β-carotene–rich Crops of Vietnam”. 《Food & Nutrition Bulletin》. 
  7. Momordica cochinchinensis (Lour.) Spreng.”. 《GRIN-Global Web v 1.10.1.5》 (영어). 미국 농무부. 2009년 5월 28일. 2018년 2월 13일에 확인함. 
  8. Osman, Mohamad; Sulaiman, Zulkefly; Saleh, Ghizan; Shahril Ab Rahman, Mohd.; Mohd. Zainuddin, Zulkifli; Abu Sin, Maizura; Arina ab halim, Anna; Hamidon, Azimah. “Gac fruit, a plant genetic resource with high potential”. 《Transactions of Persatuan Genetik Malaysia》. 
  9. Parks, Sophie; Murray, Carly; Gale, David; AL-Khawaldeh, B; Spohr, Lorraine (2013). “Propagation and production of Gac (Momordica Cochinchinensis Spreng.), A greenhouse case study”. 《Experimental Agriculture》. 
  10. “Researchers use nature to fight cancer” (영어). 2019년 1월 10일에 확인함. 
  11. Chuyen, Hoang V.; Nguyen, Minh H.; Roach, Paul D.; Golding, John B.; Parks, Sophie E. (2015). “Gac fruit (Momordica cochinchinensis Spreng.): a rich source of bioactive compounds and its potential health benefits”. 《International Journal of Food Science & Technology》 (영어) 50 (3): 567–577. doi:10.1111/ijfs.12721. ISSN 1365-2621. 
  12. Tran, Xuan T.; Parks, Sophie E.; Roach, Paul D.; Golding, John B.; Nguyen, Minh H. (2015년 10월 6일). “Effects of maturity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Gac fruit (Momordica cochinchinensis Spreng.)”. 《Food Science & Nutrition》 4 (2): 305–314. doi:10.1002/fsn3.291. ISSN 2048-7177. PMC 4779482. PMID 27004120.  |제목=에 라인 피드 문자가 있음(위치 91) (도움말)
  13. “RMIT researcher uncovers the exceptional health benefits of gấc fruit” (영어). 2019년 1월 10일에 확인함. 
  14. Kubola, Jittawan; Siriamornpun, Sirithon (2011년 8월 1일). “Phytochemical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different fruit fractions (peel, pulp, aril and seed) of Thai gac (Momordica cochinchinensis Spreng)”. 《Food Chemistry》 127 (3): 1138–1145. doi:10.1016/j.foodchem.2011.01.115. ISSN 0308-8146. PMID 25214106. 
  15. “Multiple trypsin inhibitors from Momordica cochinchinensis seeds, the Chinese drug mubiezhi”. 《Peptides》 (영어) 25 (2): 163–169. 2004년 2월 1일. doi:10.1016/j.peptides.2004.01.002. ISSN 0196-9781. 
  16. “The Next Big Fruit Juice?” (영어). 2019년 1월 10일에 확인함. 
  17. Murphy, Suzanne P.; Dueker, Stephen R.; Vuong, Le T. (2002년 5월 1일). “Plasma β-carotene and retinol concentrations of children increase after a 30-d supplementation with the fruit Momordica cochinchinensis (gac)”. 《The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영어) 75 (5): 872–879. doi:10.1093/ajcn/75.5.872. ISSN 0002-9165. 
  18. Mai, Huỳnh Cang; Truong, Vinh; Debaste, Frédéric (2014). “Carotenoids Concentration of Gac (Momordica cochinchinensis Spreng.) Fruit Oil Using Cross-Flow Filtration Technology”. 《Journal of Food Science》 (영어) 79 (11): E2222–E2231. doi:10.1111/1750-3841.12661. ISSN 1750-3841. 
  19. Maoka, Takashi; Yamano, Yumiko; Wada, Akimori; Etho, Tetsuji; Terada, Yukimasa; Tokuda, Harukuni; Nishino, Hoyoku (2015년 2월 11일). “Oxidative Metabolites of Lycopene and γ-Carotene in Gac (Momordica cochinchinensis)”.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63 (5): 1622–1630. doi:10.1021/jf505008d. ISSN 0021-8561. 
  20. Wimalasiri, Dilani; Brkljača, Robert; Piva, Terrence J.; Urban, Sylvia; Huynh, Tien (2017년 8월). “Comparative analysis of carotenoid content in Momordica cochinchinensis (Cucurbitaceae) collected from Australia, Thailand and Vietnam”.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54 (9): 2814–2824. doi:10.1007/s13197-017-2719-0. ISSN 0022-1155. PMC 5583111. PMID 28928521. 
  21. Ishida, Betty K.; Turner, Charlotta; Chapman, Mary H.; McKeon, Thomas A. (2004년 1월 1일). “Fatty Acid and Carotenoid Composition of Gac (Momordica cochinchinensis Spreng) Fruit”.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52 (2): 274–279. doi:10.1021/jf030616i. ISSN 0021-8561. 
  22. “Carotenoids from gac fruit aril (Momordica cochinchinensis [Lour.] Spreng.) are more bioaccessible than those from carrot root and tomato fruit”. 《Food Research International》 (영어) 99: 928–935. 2017년 9월 1일. doi:10.1016/j.foodres.2016.10.053. ISSN 0963-99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