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 집합: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새 문서: 집합론에서, '''클럽 집합'''(club集合, {{llang|en|club set}})은 주어진 순서수보다 작은 순서수들 가운데 "거의 대부분"을 포함하는 집합이...
(차이 없음)

2016년 7월 11일 (월) 09:45 판

집합론에서, 클럽 집합(club集合, 영어: club set)은 주어진 순서수보다 작은 순서수들 가운데 "거의 대부분"을 포함하는 집합이며, 정상 집합(定常集合, 영어: stationary set)은 주어진 순서수보다 작은 순서수들 가운데 "충분한 수"를 포함하여, 임의의 클럽 집합과 하나 이상의 원소를 공유하는 집합이다. 즉, 이 두 개념의 관계는 공집합이 아닌 열린집합조밀 집합의 관계와 같다.

정의

클럽 집합

극한 순서수 가 주어졌다고 하자. 부분 집합

가 다음 두 조건을 만족시키면 -클럽 집합(영어: -club set)이라고 한다.

  • 순서 위상에 대하여 닫힌집합이다. 즉, 임의의 순서수 에 대하여, 라면, 이다.
  • 이다. 즉, 임의의 순서수 에 대하여, 가 존재한다.

정상 집합

임의의 기수 및 부분 집합 가 주어졌으며, 공종도비가산이라고 하자.

만약 와 임의의 -클럽 집합의 교집합공집합이 아니라면, 정상 집합이라고 한다.

성질

연산에 대한 닫힘

클럽 집합은 유한 교집합에 대하여 닫혀 있다. 즉, 기수 및 두 -클럽 집합 가 주어졌을 때, 역시 -클럽 집합이다.

클럽 집합과 정상 집합의 교집합은 정상 집합이다. 즉, 기수 -정상 집합 -클럽 집합 가 주어졌을 때, 역시 정상 집합이다.

솔로베이 분할

다음과 같은 데이터가 주어졌다고 하자.

  • 정칙 비가산 기수
  • 정상 집합

그렇다면, 솔로베이 정상 집합 분할 정리(Solovay定常集合分割定理, 영어: Solovay’s theorem on partitions of stationary sets)에 따르면, 개의 정상 집합들로 분할될 수 있다.

포도르 정리

다음과 같은 데이터가 주어졌다고 하자.

  • 정칙 비가산 기수
  • 정상 집합
  • 함수

또한, 다음이 성립한다고 하자.

  • 임의의 에 대하여,

포도르 정리(영어: Fodor’s theorem)에 따르면, 인 정상 부분 집합 순서수 가 존재한다.[1]:Theorem 1.5

말로 기수

-정상 집합들의 모임을 로 표기하자.

기수의 모임 의 부분 모임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모임을 정의할 수 있다.

이를 말로 연산(영어: Mahlo operation)이라고 한다.

만약 도달 불가능한 기수의 모임일 경우, 의 원소를 말로 기수(영어: Mahlo cardinal)라고 한다. 마찬가지로, 만약 가 약하게 도달 불가능한 기수의 모임일 경우, 의 원소를 약한 말로 기수(영어: weakly Mahlo cardinal)라고 한다.

말로 기수는 큰 기수의 일종이다. 즉, 말로 기수의 존재 또는 부재는 체르멜로-프렝켈 집합론+선택 공리(ZFC)로부터 증명할 수 없다. (이는 물론 ZFC가 무모순적이라는 것을 전제로 한다.)

다이아몬드 원리

기수 -정상 집합 에 대하여, -다이아몬드 집합렬(영어: -diamond sequence) 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함수이다.

  • 임의의 에 대하여,
  • 임의의 에 대하여, -정상 집합이다.

-다이아몬드 원리(영어: -diamond principle) -다이아몬드 집합렬이 존재한다는 명제이다.[2]

은 흔히 다이아몬드 원리 라고 표기한다.

구성 가능성 공리는 다이아몬드 원리를 함의하며, 다이아몬드 원리는 수슬린 가설의 부정 및 연속체 가설을 함의한다.

즉, 이는 체르멜로-프렝켈 집합론+선택 공리로 증명하거나 반증할 수 없다.

역사

말로 기수의 개념은 프리드리히 파울 말로(독일어: Friedrich Paul Mahlo, 1883~1971)가 1911년에 도입하였다.[3][4][5]

정상 집합의 개념은 제라르 블로크(프랑스어: Gérard Bloch)가 1953년에 도입하였다.[6][1]:§1.1

포도르 정리는 포도르 게저(헝가리어: Fodor Géza, 1927~1977)가 1956년에 증명하였다.[7] 솔로베이 정상 집합 분할 정리는 로버트 솔로베이가 1971년에 증명하였다.[8]

"클럽 집합"(영어: club set)이라는 이름은 영어로 "닫힌집합이자 비유계 집합"(영어: closed and unbounded)의 머리글자를 딴 것이다.

참고 문헌

  1. Jech, Thomas (2010). 〈Stationary sets〉 (PDF). Foreman, Matthew; Kanamori, Akihiro. 《Handbook of set theory》 (영어). Springer-Verlag. 93–128쪽. doi:10.1007/978-1-4020-5764-9_2. ISBN 978-1-4020-4843-2. 
  2. Rinot, Assaf (2011). 〈Jensen’s diamond principle and its relatives〉. Babinkostova, L.; Caicedo, A. E.; Geschke, S.; Scheepers, M. 《Set Theory and Its Applications》. Contemporary Mathematics (영어) 533. arXiv:0911.2151. Bibcode:2009arXiv0911.2151R. doi:10.1090/conm/533/10506. ISBN 978-0-8218-4812-8. MR 2777747. 
  3. Mahlo, Paul (1911). “Über lineare transfinite Mengen”. 《Berichte über die Verhandlungen der Königlich Sächsischen Gesellschaft der Wissenschaften zu Leipzig. Mathematisch-Physische Klasse》 (독일어) 63: 187–225. Zbl 42.0090.02. 
  4. Mahlo, Paul (1912). “Zur Theorie und Anwendung der ρ0-Zahlen”. 《Berichte über die Verhandlungen der Königlich Sächsischen Gesellschaft der Wissenschaften zu Leipzig. Mathematisch-Physische Klasse》 (독일어) 64: 108–112. Zbl 43.0113.01. 
  5. Mahlo, Paul (1913). “Zur Theorie und Anwendung der ρ0-Zahlen II”. 《Berichte über die Verhandlungen der Königlich Sächsischen Gesellschaft der Wissenschaften zu Leipzig. Mathematisch-Physische Klasse》 (독일어) 65: 268–282. JFM 44.0092.02. 
  6. Bloch, Gérard (1953). “Sur les ensembles stationnaires de nombres ordinaux et les suites distinguées de fonctions régressives”. 《Comptes rendus hebdomadaires des séances de l’Académie des sciences》 (프랑스어) 236: 265–268. 
  7. Fodor, G. (1956). “Eine Bemerkung zur Theorie der regressiven Funktionen”. 《Acta Scientiarum Mathematicarum Universitatis Szegediensis》 (독일어) 17: 139-142. 
  8. Solovay, Robert M. (1971). 〈Real-valued measurable cardinals〉. Scott, Dana S. 《Axiomatic set theory. Part 1》. Proceedings of Symposia in Pure Mathematics (영어) 13.1.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397–428쪽. doi:10.1090/pspum/013.1/0290961. MR 0290961. 

바깥 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