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모리타 동치: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73번째 줄: 73번째 줄:
* {{서적 인용 | last=Lam | first=Tsit-Yuen | 저자고리=람짓윈 | title=Lectures on modules and rings | publisher=Springer | series=Graduate Texts in Mathematics | 권= 189 | isbn=978-0-387-98428-5 |mr=1653294 | year=1999 | doi=10.1007/978-1-4612-0525-8|언어=en}}
* {{서적 인용 | last=Lam | first=Tsit-Yuen | 저자고리=람짓윈 | title=Lectures on modules and rings | publisher=Springer | series=Graduate Texts in Mathematics | 권= 189 | isbn=978-0-387-98428-5 |mr=1653294 | year=1999 | doi=10.1007/978-1-4612-0525-8|언어=en}}
* {{서적 인용|arxiv=math/0310146|장=Morita theory in Abelian, derived and stable model categories|이름=Stefan|성=Schwede|제목=Structured ring spectra|쪽=33–86|총서=London Mathematical Society Lecture Notes|권=315|날짜=2004|bibcode=2003math.....10146S|url=http://www.cambridge.org/us/catalogue/catalogue.asp?isbn=9780521603058|editor-first=Andrew|editor-last=Baker|editor2-first=Birgit|editor2-last=Richter|isbn=978-0-52160305-8|출판사=Cambridge University Press|언어=en}}
* {{서적 인용|arxiv=math/0310146|장=Morita theory in Abelian, derived and stable model categories|이름=Stefan|성=Schwede|제목=Structured ring spectra|쪽=33–86|총서=London Mathematical Society Lecture Notes|권=315|날짜=2004|bibcode=2003math.....10146S|url=http://www.cambridge.org/us/catalogue/catalogue.asp?isbn=9780521603058|editor-first=Andrew|editor-last=Baker|editor2-first=Birgit|editor2-last=Richter|isbn=978-0-52160305-8|출판사=Cambridge University Press|언어=en}}
* {{서적 인용|장=Morita duality — a survey|이름=Bruno J.|성=Müller|제목=Abelian groups and modules. Proceedings of the Udine Conference, Udine, April 9–14, 1984|쪽=395–414|doi=10.1007/978-3-7091-2814-5_30|총서=International Centre for Mechanical Sciences Courses and Lectures|권=287|날짜=1984|issn=0254-1971|출판사=Springer-Verlag|editor1-first=R.|editor1-last=Göbel|editor2-first=C.|editor2-last=Metelli|editor3-first=A.|editor3-last=Orsatti|editor4-first=L.|editor4-last=Salce|언어=en}}
* {{서적 인용|장=Morita duality — a survey|이름=Bruno J.|성=Müller|제목=Abelian groups and modules. Proceedings of the Udine Conference, Udine, April 9–14, 1984|쪽=395–414|doi=10.1007/978-3-7091-2814-5_30|총서=International Centre for Mechanical Sciences Courses and Lectures|권=287|날짜=1984|issn=0254-1971|출판사=Springer-Verlag|editor1-first=R.|editor1-last=Göbel|editor2-first=C.|editor2-last=Metelli|editor3-first=A.|editor3-last=Orsatti|editor4-first=L.|editor4-last=Salce|isbn=978-3-211-81847-3|언어=en}}
* {{서적 인용|장=Morita duality, linear compactness and AB5: a survey|저자=Phạm Ngọc Ánh|제목=Abelian groups and modules. Proceedings of the Padova Conference, Padova, Italy, June 23–July 1, 1994|쪽=17-28|doi=10.1007/978-94-011-0443-2_2|isbn=978-94-010-4198-0|총서=Mathematics and Its Applications|권=343|날짜=1985|출판사=Springer-Verlag|editor1-first=Alberto|editor1-last=Facchini|editor2-first=Claudia|editor2-last=Menini|언어=en}}


== 바깥 고리 ==
== 바깥 고리 ==

2016년 5월 10일 (화) 03:52 판

환론에서, 모리타 동치([森田]同値, 영어: Morita equivalence)는 두 위의 가군 범주가 서로 동치가 되는 현상이다.

정의

모리타 동치

위의 오른쪽 가군 가 주어졌을 때, 이에 대응하는 모리타 문맥 을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 ,
  • ,

사영 가군이자, 유한 생성 가군이자, 범주 생성 대상이라고 하자. 그렇다면, 에 대응되는 모리타 문맥 에 대하여,

  • 범주의 동치를 이룬다.
  • 가법 범주의 가법 동치를 이룬다.

반대로, 모든 가군 가법 범주의 가법 동치는 모리타 문맥에 의하여 유도되며, 이 모리타 문맥사영 가군이자, 유한 생성 가군이자, 범주 생성 대상인 가군에 의하여 유도된다. 즉, 가법 범주의 가법 동치

가 주어졌을 때,

로 놓으면, 사영 가군이자, 유한 생성 가군이자, 범주 생성 대상이며, 위 범주의 동치에 의하여 생성되는 모리타 문맥에 의하여 생성된다. 특히, 다음과 같은 자연 동형이 존재한다.

또한, 임의의 두 환 에 대하여 다음 두 모임이 서로 표준적으로 일대일 대응한다.

이와 같이, 두 환 , 위의 가군 범주가 서로 가법 동치라면, 두 환이 서로 모리타 동치(영어: Morita-equivalent)라고 하며,

로 표기한다.

모리타 쌍대성

쌍가군 이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다음과 같은 함자를 정의할 수 있다.

이는 항상 서로 수반 함자를 이룬다.

수반 함자의 성분인 자연스러운 사상

동형 사상일 경우, -오른쪽 가군 -반사 가군(영어: -reflexive module)이라고 하자. 마찬가지로 -왼쪽 가군에 대하여 마찬가지로 반사 가군의 개념을 정의할 수 있다. 반사 가군의 범주를 로 표기하자. 이 경우, 는 위 함자에 대하여 서로 가법 동치이다.

아벨 범주 의 충만한 부분 가법 범주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면 세르 부분 범주라고 한다.

짧은 완전열 에 대하여, 라면 이다.

쌍가군 에 대하여 다음 세 조건들이 서로 동치이다.

  • 세르 부분 범주이며, 세르 부분 범주이며, 이며, 이다.
  • , , , 의 모든 몫가군은 -반사 가군이다.
  • 단사 가군이자 쌍대 생성 대상이며, 마찬가지로 단사 가군이자 쌍대 생성 대상이며, 또한 충실하게 균형 잡힌 쌍가군을 이룬다.

이 경우, 모리타 쌍대성(영어: Morita duality)을 정의한다고 한다.

또한, 위 조건이 성립한다면, 모든 유한 생성 가군유한 쌍대 생성 가군-반사 가군이다. 또한, 위 조건을 만족시키는 에 대하여, -반사 가군인지 여부는 -반사 가군인지 여부와 일치한다. 즉, 위 조건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반사 가군 조건은 에 의존하지 않는다.

모리타 쌍대성 아래, (반사 가군인) 유한 생성 가군의 쌍대 가군은 유한 쌍대 생성 가군이며, 그 역도 성립한다. 모리타 쌍대성 아래, (반사 가군인) 단순 가군의 쌍대 가군은 단순 가군이며, (반사 가군인) 반단순 가군의 쌍대 가군은 반단순 가군이다.

모든 환 및 양의 정수 에 대하여, 와 모리타 동치이다. 이를 정의하는 모리타 문맥-자유 가군 에 의하여 생성된다. 즉,

  • . 이는 행벡터(= 행렬) 쌍가군으로 생각할 수 있다.
  • . 이는 열벡터(= 행렬) 쌍가군으로 생각할 수 있다.
  • 는 행벡터와 열벡터의 스칼라곱이다.
  • 는 열벡터와 행벡터의 외적이다.

아르틴-웨더번 정리에 따라서, 모든 반단순환 는 유한 개의 나눗셈환 위의 행렬환 들의 직접곱과 동형이며, 따라서 유한 개의 나눗셈환들의 직접곱과 모리타 동치이다.

역사

모리타 동치와 모리타 쌍대성은 모리타 기이치(1915~1995)가 1958년에 도입하였다.[1]

참고 문헌

  1. Morita, Kiiti (1958). “Duality for modules and its applications to the theory of rings with minimum condition”. 《Science reports of the Tokyo Kyoiku Daigaku. Section A》 (영어) 6 (150): 83–142. ISSN 0371-3539. Zbl 0080.25702. 

바깥 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