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세-베유 제타 함수: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새 문서: 수학에서, '''하세-베유 제타 함수'''({{llang|en|Hasse–Weil zeta function}})는 주어진 대수다양체의 일부 성질들을 나타내는 L-함수의 하나이...
 
16번째 줄: 16번째 줄:
== 하세-베유 추측 ==
== 하세-베유 추측 ==
'''하세-베유 추측'''({{llang|en|Hasse–Weil conjecture}})에 따르면, 하세-베유 제타 함수는 복소평면 전체에서 [[유리형함수]]로 [[해석적 연속]]이 가능해야 한다. [[타원곡선]]의 경우는 [[모듈러성 정리]]에 따라 이미 증명되었다.
'''하세-베유 추측'''({{llang|en|Hasse–Weil conjecture}})에 따르면, 하세-베유 제타 함수는 복소평면 전체에서 [[유리형함수]]로 [[해석적 연속]]이 가능해야 한다. [[타원곡선]]의 경우는 [[모듈러성 정리]]에 따라 이미 증명되었다.

== 참고 문헌 ==
* {{책 인용
| 성 = Silverman | first=Joseph H.
| 날짜 = 2009
| 제목 = The Arithmetic of Elliptic Curves
| 기타 = Graduate Texts in Mathematics 106
| publisher = Springer | 위치=New York
| 판=2판
| isbn=978-0-387-09493-9
| issn=0072-5285
| doi=10.1007/978-0-387-09494-6
| url=http://www.math.brown.edu/~jhs/AECHome.html
| 언어고리=en
| zbl = 1194.11005
}}
* {{책 인용|총서=Graduate Texts in Mathematics|권=97|날짜=1993|제목=Introduction to elliptic curves and modular forms|이름=Neal|성=Koblitz|doi=10.1007/978-1-4612-0909-6|isbn=978-1-4612-6942-7|issn=0072-5285|판=2판|zbl=0804.11039|언어고리=en}}


[[분류:대수적 수론]]
[[분류:대수적 수론]]

2014년 1월 1일 (수) 20:08 판

수학에서, 하세-베유 제타 함수(영어: Hasse–Weil zeta function)는 주어진 대수다양체의 일부 성질들을 나타내는 L-함수의 하나이다. 유한체에 대한 점들의 수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다.

정의

가 유리수체에 대한 비특이 사영 대수다양체라고 하자. 그렇다면 모든 소수 에 대하여 를 정의할 수 있다. 그렇다면 의 하세-베유 제타 함수

국소 제타 함수(영어: local zeta function) 들의 곱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 정의는 유한 개의 들의 유리함수에 대하여 약간의 모호함을 가지지만, 이 함수의 성질은 이 모호함에 크게 의존하지 않는다.

이 모호함을 해소하려면 에탈 코호몰로지를 사용하여야 한다.

하세-베유 L-함수

하세-베유 제타 함수의 특수한 경우로, 타원곡선의 하세-베유 L-함수(영어: Hasse–Weil L-function)가 있다. 유리수체에 대한 타원곡선 하세-베유 L-함수 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리만 제타 함수이다.

하세-베유 추측

하세-베유 추측(영어: Hasse–Weil conjecture)에 따르면, 하세-베유 제타 함수는 복소평면 전체에서 유리형함수해석적 연속이 가능해야 한다. 타원곡선의 경우는 모듈러성 정리에 따라 이미 증명되었다.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