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어-펜로즈 유사역행렬: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Zmsquf99 (토론 | 기여)
잔글 분류 추가, 한자 표기 추가
Zmsquf99 (토론 | 기여)
5번째 줄: 5번째 줄:
의사역행렬은 모든 실수 혹은 허수 원소 행렬에 대해 유일하게 존재한다. [[특잇값 분해]]를 사용하면 의사역행렬을 구할 수 있다.
의사역행렬은 모든 실수 혹은 허수 원소 행렬에 대해 유일하게 존재한다. [[특잇값 분해]]를 사용하면 의사역행렬을 구할 수 있다.


= 정의 =
== 정의 ==
<math> A \in \mathrm{M}(m,n;K) </math>에 대하여, <math> A </math>의 의사역행렬 <math> A^+ \in \mathrm{M}(n, m; K)</math>는 무어-펜로즈 조건이라고 불리는 다음의 네 가지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행렬로 정의된다.
<math> A \in \mathrm{M}(m,n;K) </math>에 대하여, <math> A </math>의 의사역행렬 <math> A^+ \in \mathrm{M}(n, m; K)</math>는 무어-펜로즈 조건이라고 불리는 다음의 네 가지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행렬로 정의된다.
# <math>A A^+A = A\,\!</math> &nbsp; &nbsp; &nbsp; ({{math|''AA''<sup>+</sup>}}는 일반전인 단위행렬일 필요는 없으나, {{math|''A''}}의 모든 열벡터를 보존하는 행렬이어야 한다.);
# <math>A A^+A = A\,\!</math> &nbsp; &nbsp; &nbsp; ({{math|''AA''<sup>+</sup>}}는 일반적인 단위행렬일 필요는 없으나, {{math|''A''}}의 모든 열벡터를 보존하는 행렬이어야 한다.);
# <math>A^+A A^+ = A^+\,\!</math> &nbsp; &nbsp; &nbsp; ({{math|''A''<sup>+</sup>}}는 [[반군]]에서의 [[약한 역]]이다.);
# <math>A^+A A^+ = A^+\,\!</math> &nbsp; &nbsp; &nbsp; ({{math|''A''<sup>+</sup>}}는 [[반군]]에서의 [[약한 역]]이다.);
# <math>(AA^+)^* = AA^+\,\!</math> &nbsp; &nbsp; &nbsp; ({{math|''AA''<sup>+</sup>}}는 [[에르미트 행렬]]이다.);
# <math>(AA^+)^* = AA^+\,\!</math> &nbsp; &nbsp; &nbsp; ({{math|''AA''<sup>+</sup>}}는 [[에르미트 행렬]]이다.);
23번째 줄: 23번째 줄:


이러한 경우에는 <math> A A^+=I</math>가 성립하므로, <math>A^+</math>를 ''우측 역행렬''이라고 부른다.
이러한 경우에는 <math> A A^+=I</math>가 성립하므로, <math>A^+</math>를 ''우측 역행렬''이라고 부른다.

== 성질 ==

=== 존재성과 유일성 ===
의사역행렬은 항상 존재하며, 유일하다. 즉, 임의의 행렬 <math>A</math>에 대하여, 의사역행렬 정의의 네 가지 조건을 만족하는 행렬 <math>A^+</math>는 반드시 하나 존재한다.

첫 번째 조건을 만족하는 행렬을 일반화된 역(generalized inverse)이라고 한다. 그러한 행렬이 두 번째 조건도 만족하는 경우, 이를 일반화된 반사적 역(generalized reflexive inverse)이라고 한다. 일반화된 역과 일반화된 반사적 역은 항상 존재하지만 유일하지는 않다. 그러나 나머지 두 조건까지 만족하는 행렬은 유일하게 존재한다.

=== 기본 성질 ===

* 만약 <math>A</math>의 원소가 실수라면, <math>A^+</math>도 그러하다.
* 만약 <math>A</math>가 가역행렬이라면, 의사역행렬이 곧 역행렬이다. 즉, <math>A^+ = A^{-1}</math>이다.
* 영행렬의 의사역행렬은 그 행렬의 전치행렬이다.
* 의사역행렬의 의사역행렬은 원래 행렬과 같다. 즉, <math>(A^+)^+ = A</math>이다.
* 의사역행렬을 구하는 연산은 [[전치행렬|전치]], [[켤레 복소수|켤레]], [[켤레전치]]에 대하여 교환법칙이 성립한다. 즉,
::<math>(A^\mathrm{T})^+ = (A^+)^\mathrm{T},~~ (\,\overline{A}\,)^+ = \overline{A^+},~~ (A^*)^+ = (A^+)^*.\,\!</math>
* 행렬 <math>A</math>에 스칼라를 곱한 행렬의 의사역행렬은 <math>A^+</math>를 그 스칼라로 나눈 것과 같다. 즉,
::<math>(\alpha A)^+ = \alpha^{-1} A^+\,\!</math>. (이때, <math>\alpha\neq 0</math>)

[[분류:선형대수학]]
[[분류:선형대수학]]
[[분류:수학]]
[[분류:수학]]

2018년 11월 20일 (화) 19:05 판

수학선형대수학 분야에서, 행렬 A의사역행렬(疑似逆行列) A+역행렬의 일반화된 꼴이다. 가장 널리 알려진 의사역행렬의 종류는 무어-펜로즈 역행렬로서, E. H. 무어, 아르네 벼르하마르, 로저 펜로즈가 각각 독립적으로 1920년, 1951년, 1955년에 제안했다. 특별히 다른 언급이 없다면 행렬의 의사역행렬은 무어-펜로즈 역행렬을 가리킨다.

의사역행렬은 유일한 해가 존재하지 않는 선형연립방정식에서 최소제곱법에 따른 최적해를 구하기 위해 흔히 사용된다. 혹은 해가 여러 개 존재하는 선형연립방정식에서 유클리드 노름을 최소화하는 해를 찾는 데에 사용되기도 한다. 또한 의사역행렬을 사용하면 선형대수학의 많은 부분을 보다 쉽게 서술하고 증명할 수 있다.

의사역행렬은 모든 실수 혹은 허수 원소 행렬에 대해 유일하게 존재한다. 특잇값 분해를 사용하면 의사역행렬을 구할 수 있다.

정의

에 대하여, 의 의사역행렬 는 무어-펜로즈 조건이라고 불리는 다음의 네 가지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행렬로 정의된다.

  1.       (AA+는 일반적인 단위행렬일 필요는 없으나, A의 모든 열벡터를 보존하는 행렬이어야 한다.);
  2.       (A+반군에서의 약한 역이다.);
  3.       (AA+에르미트 행렬이다.);
  4.       (A+A도 에르미트 행렬이다.).

는 모든 행렬 에 대해 존재하나, 가 최대계수를 가질 때(full-rank)에만 대수적으로 간단하게 표현된다.

만약 의 열벡터가 모두 선형독립인 경우, 는 가역행렬이 되며 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이러한 의사역행렬을 좌측 역행렬이라고 하는데, 가 성립하기 때문이다.

의 행벡터가 모두 선형독립인 경우, 는 가역행렬이 되며 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가 성립하므로, 우측 역행렬이라고 부른다.

성질

존재성과 유일성

의사역행렬은 항상 존재하며, 유일하다. 즉, 임의의 행렬 에 대하여, 의사역행렬 정의의 네 가지 조건을 만족하는 행렬 는 반드시 하나 존재한다.

첫 번째 조건을 만족하는 행렬을 일반화된 역(generalized inverse)이라고 한다. 그러한 행렬이 두 번째 조건도 만족하는 경우, 이를 일반화된 반사적 역(generalized reflexive inverse)이라고 한다. 일반화된 역과 일반화된 반사적 역은 항상 존재하지만 유일하지는 않다. 그러나 나머지 두 조건까지 만족하는 행렬은 유일하게 존재한다.

기본 성질

  • 만약 의 원소가 실수라면, 도 그러하다.
  • 만약 가 가역행렬이라면, 의사역행렬이 곧 역행렬이다. 즉, 이다.
  • 영행렬의 의사역행렬은 그 행렬의 전치행렬이다.
  • 의사역행렬의 의사역행렬은 원래 행렬과 같다. 즉, 이다.
  • 의사역행렬을 구하는 연산은 전치, 켤레, 켤레전치에 대하여 교환법칙이 성립한다. 즉,
  • 행렬 에 스칼라를 곱한 행렬의 의사역행렬은 를 그 스칼라로 나눈 것과 같다. 즉,
. (이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