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백나무: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angquari (토론 | 기여)
→‎생태: 2017. 2.26~28일 제주도 동백을 직접 관찰한 결과 꿀벌도 적극적으로 화분 활동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편집 요약 없음
28번째 줄: 28번째 줄:


== 이용 ==
== 이용 ==
대부분 관상용이며, 씨에서 기름을 짜 동백기름을 만든다. 예전에는 동백기름을 머리에 발라 윤기가 흐르게 하였다. 목재는 엷은 누런색이거나 갈색으로 가구재, 조각재, 세공재로 사용한다.
대부분 관상용이며, 씨에서 기름을 짜 동백기름을 만든다. 예전에는 동백기름을 머리에 발라 윤기가 흐르게 하였다. 목재는 엷은 누런색이거나 갈색으로 가구재, 조각재, 세공재로 사용한다. 종자는 약용으로 쓰이기도 한다.


== 문화 ==
== 문화 ==

2018년 5월 11일 (금) 18:54 판

동백나무

생물 분류ℹ️
계: 식물계
(미분류): 속씨식물군
(미분류): 진정쌍떡잎식물군
(미분류): 국화군
목: 진달래목
과: 차나무과
속: 동백나무속
종: 동백나무
학명
Camellia japonica
L. 1753

동백나무(冬柏--, 영어: the Japanese camellia)는 대한민국 남부와 일본, 중국에 자생하는 상록 교목(常綠喬木)이다.

생태

동백나무는 다 자라면 6~9 미터 정도가 된다. 10월초부터 4월까지 꽃을 피우고 열매에는 세 쪽의 검정색 씨가 들어있다. 꽃은 붉은색이나 흰색, 분홍색 꽃이 피기도 한다. 술은 통 모양의 단체 수술이며, 꽃밥은 황색이다. 잎은 윤기나는 단단한 타원형으로 잎 가장자리는 작은 톱니 같이 되어있다. 잎차례는 어긋나기이다. 줄기는 회백색으로 단단하며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주로 산지·해안·촌락 부근에서 자라며, 한반도에서는 중부 이남에 분포하고 있다. 동쪽으로는 울릉도, 서쪽으로는 대청도까지 올라간다. 육지에서는 충청남도 서천군 서면 마량리의 것이 가장 북쪽이고, 내륙에서는 지리산 산록에 위치한 화엄사 경내에서 자라는 것과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삼인리의 선운사 경내에서 자라는 것들이 가장 북쪽에 위치한 것이다.

동백은 조매화로 새의 도움으로 수분을 한다. 이 동백나무의 꿀을 먹고 사는 새가 동박새이다. 동백은 꿀이 나기는 하지만 너무 이른 시기에 꽃이 피어 수분에 곤충의 도움을 받지 못한다.[1]

기온이 오르는 2월 ~ 4월에는 곤충(꿀벌)도 수분활동에 도움을 준다. 특히, 기후가 따듯한 제주도에서는 2월에도 동박색외에 꿀벌이 많이 찾아온다.

이용

대부분 관상용이며, 씨에서 기름을 짜 동백기름을 만든다. 예전에는 동백기름을 머리에 발라 윤기가 흐르게 하였다. 목재는 엷은 누런색이거나 갈색으로 가구재, 조각재, 세공재로 사용한다. 종자는 약용으로 쓰이기도 한다.

문화

제주도에서는 꽃이 떨어지는 모습이 목이 잘리는 것과 같다고 불길하다고 보는 이도 있으며, 이 나무를 심으면 집에 도둑이 든다하여 꺼리기도 한다. 일본에서는 싱싱하던 꽃이 갑자기 떨어지는 것을 연상하여 갑자기 생기는 불행한 일을 춘사(椿事)라고 하는데, 이때 춘자는 동백나무를 가리킨다. 베르디의 오페라인 춘희가 있는데, 이때 춘자가 동백나무라는 글자이므로 춘희는 동백 아가씨인 셈이다. [1]

문화재

사진첩

각주

  1. 이유미,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 나무 백가지, 현암사

외부 링크

위키미디어 공용에 동백나무 관련 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