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극한 (범주론):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Namobot (토론 | 기여)
→‎참고 문헌: 봇: 인용 틀 변수 이름 수정
Properideal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2번째 줄: 2번째 줄:


==정의==
==정의==
J와 C가 범주이고 F가 J에서 C로의 [[함자 (수학)|함자]]이며 N이 C의 대상이라 하자. 이때 함자 F의 [[함자의 뿔|뿔]]이란 J의 임의의 대상 X에 대해 N에 다음의 조건을 만족하는 사상 ψ<sub>X</sub> : N F(X)가 주어진 것이다:
<math>J</math>와 <math>C</math>가 범주이고 <math>F\colon J\to C</math>가 [[함자 (수학)|함자]]이며 <math>N</math>이 <math>C</math>의 대상이라 하자. 이때 함자 <math>F</math>의 ''''''({{llang|en|cone}})이란 <math>J</math>의 임의의 대상 <math>X</math>에 대해 다음을 만족하는 <math>N</math> 사상 <math>\psi_X\colon N\to F(X)</math>이다:
:임의의 f : X Y ∈ J에 대해 F(f) o ψ<sub>X</sub> = ψ<sub>Y</sub>.
* <math>J</math>의 임의의 사상 <math>f\colon X\to Y</math>에 대해 <math>F(f)\circ\psi_X=\psi_Y</math>.


함자의 '''극한'''이란 한마디로 [[보편뿔]]이다. 구체적으로 말해, F의 뿔 (L, φ<sub>X</sub>)F의 극한이라는 것은 F의 임의의 뿔 (N, ψ<sub>X</sub>)에 대해 유일한 사상 u : N → L이 존재해서 모든 X에 대해 φ<sub>X</sub> o u = ψ<sub>X</sub>을 만족시키는 경우를 말한다. 이를 두고 사상 ψ<sub>X</sub>들이 L을 통해 u로 유일 분해된다고 말할 수도 있다.
함자의 '''극한'''이란 한마디로 '''보편뿔'''({{llang|en|universal cone}})이다. 구체적으로 말해, <math>F</math>의<math>(L, \phi_X)</math>이 <math>F</math>의 극한이라는 것은 <math>F</math>의 임의의 뿔 <math>(N, \psi_X)</math>에 대해 유일한 사상 <math>u\colon L\to N</math>이 존재해서 모든 <math>X</math> 대해 <math>\phi_X\circ u=\psi_X</math>을 만족시키는 경우를 말한다. 이를 두고 사상 <math>\psi_X</math>들이 <math>L</math>을 통해 <math>u</math>로 유일하게 분해된다고 말할 수도 있다.
<div style="text-align: center;">[[그림:FunctorCone-03.png]]</div>
<div style="text-align: center;">[[그림:FunctorCone-03.png]]</div>



2016년 12월 16일 (금) 19:27 판

수학의 한 분야인 범주론에서 극한(極限, 영어: limit)은 수학의 여러 분야에서 사용되는 보편적 구조물들(예로서 이나 역극한 등)이 갖는 공통된 성질을 보존하며 일반화시킨 추상적인 개념이다. 그 쌍대 개념인 쌍대극한(雙對極限, 영어: colimit)은 서로소 합집합이나 직합 등의 일반화이다. 극한과 쌍대극한은 보편 사상수반 함자 등의 범주론적 개념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정의

가 범주이고 함자이며 의 대상이라 하자. 이때 함자 (영어: cone)이란 의 임의의 대상 에 대해 다음을 만족하는 과 사상 이다:

  • 의 임의의 사상 에 대해 .

함자의 극한이란 한마디로 보편뿔(영어: universal cone)이다. 구체적으로 말해, 의 뿔 의 극한이라는 것은 의 임의의 뿔 에 대해 유일한 사상 이 존재해서 모든 에 대해 을 만족시키는 경우를 말한다. 이를 두고 사상 들이 을 통해 로 유일하게 분해된다고 말할 수도 있다.

참고 문헌

바깥 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