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반 함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범주론에서 수반 함자(隨伴函子, 영어: adjoint functor) 또는 딸림 함자(-函子)는 두 개의 함자가 서로간에 가질 수 있는 일종의 밀접한 관계이다. 이는 수학의 많은 분야에서 널리 나타나는 관계이며, 범주론의 연구 대상이다.

정의[편집]

두 범주 , 사이의 두 함자

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사이의 수반(영어: adjunction) 는 다음과 같은 두 개의 자연 변환의 순서쌍이다.

여기서 는 항등 함자이다. 이는 다음 조건을 만족시켜야만 한다.

여기서 는 항등 자연 변환이다. 즉, 다음 두 그림이 가환하여야 한다.

이 경우, 왼쪽 수반 함자(-隨伴函子, 영어: left-adjoint functor)라고 하고, 오른쪽 수반 함자(-隨伴函子, 영어: right-adjoint functor)라고 하며, 쌍대단위원(雙對單位元, 영어: counit), 단위원(單位元, 영어: unit)이라고 한다. 이는 기호로

또는

와 같이 쓴다.

사상 집합을 통한 정의[편집]

국소적으로 작은 범주라면, 이 두 범주 사이의 수반 함자

는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사이의 수반은 함자

사이의 자연 동형

이다.

성질[편집]

프레이드 수반 함자 정리[편집]

다음과 같은 범주가 주어졌다고 하자.

프레이드 수반 함자 정리(영어: Freyd adjoint functor theorem)에 따르면, 함자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1]:121, Theorem V.6.2

  • 는 왼쪽 수반 함자를 갖는다.
  • 는 모든 작은 극한을 보존하며, 해집합 조건을 만족시킨다.

여기서 해집합 조건(解集合條件, 영어: solution set condition)이란 다음과 같다. 임의의 대상 에 대하여,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대상들의 집합 및 사상들의 집합 이 존재한다.

임의의 및 사상 에 대하여, 를 만족시키는 가 존재한다.

만약 실제로 어떤 수반 함자쌍

이 존재한다면, 대상 에 대하여

로 놓으면 해집합 조건이 자명하게 성립한다. 즉, 프레이드 수반 함자 정리에서 자명하지 않은 경우는 해집합 조건으로부터 왼쪽 수반 함자를 구성하는 것이다.

특수 수반 함자 정리[편집]

다음과 같은 범주가 주어졌다고 하자.

특수 수반 함자 정리(영어: special adjoint functor theorem)에 따르면, 함자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1]:129, Theorem V.8.2

  • 는 왼쪽 수반 함자를 갖는다.
  • 는 모든 작은 극한을 보존하며, 단사 사상들의 (집합이 아닐 수 있는) 모임당김을 보존한다.

[편집]

자유-망각 수반[편집]

대수 구조 다양체의 범주 에서, 자유 대수 함자

는 망각 함자

의 왼쪽 수반 함자를 이룬다.

곱-지수 수반[편집]

데카르트 닫힌 범주 의 임의의 대상 에 대하여, 함자

지수 대상 함자

의 왼쪽 수반 함자를 이룬다.

집합함수의 범주에서의 곱-지수 수반은 커링이라고 한다.

다른 범주의 경우, 지수 대상 함자가 왼쪽 수반을 가지지만, 이 함자가 범주론적 이 아닌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왼쪽 수반은 보통 텐서곱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유한 차원 벡터 공간의 범주의 경우 텐서곱은 통상적인 벡터 공간의 텐서곱 이다.)

대각-극한 수반[편집]

범주 및 범주 가 주어졌고, 모든 함자 극한이 존재한다고 하자. 그렇다면, 극한 함자

는 왼쪽 수반 함자

를 가진다. 이는 의 대상을 상수 함자에 대응시킨다.

예를 들어, 을 갖는 범주라고 하자. 그렇다면

는 서로 수반 함자를 이룬다.

마찬가지로, 범주 및 범주 가 주어졌고, 모든 함자 쌍대극한이 존재한다고 하자. 그렇다면, 쌍대극한 함자

는 오른쪽 수반 함자

를 가진다. 즉, 만약 해당 극한 및 쌍대극한이 동시에 존재한다면

가 된다.

참고 문헌[편집]

  1. Mac Lane, Saunders (1998). 《Categories for the working mathematician》. Graduate Texts in Mathematics (영어) 5 2판. Springer. doi:10.1007/978-1-4757-4721-8. ISBN 978-1-4419-3123-8. ISSN 0072-5285. MR 1712872. Zbl 0906.18001. 

외부 링크[편집]

같이 보기[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