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문학: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61.98.102.47(토론)의 15295254판 편집을 되돌림
38번째 줄: 38번째 줄:
===== 대표적인 향가 =====
===== 대표적인 향가 =====
gg
gg
ㅇㄱㄷㄱ


==== 고려가요 ====
==== 고려가요 ====

2015년 11월 29일 (일) 23:48 판

한국 문학

한국의 문학한국인 또는 한국어를 구사하는 사람이 한국의 사상과 감정, 정서 등의 가치 있는 체험을 바탕으로 하여 그 시대의 표현 방식을 빌려 형상화한 문학의 총칭이다.

한국 문학이 오늘날 문학이라는 낱말 밑에 사람들이 이해하고 있는 수준에 이르른 것은 서양 문화와의 접촉을 통해서이다. 근대 문학 혹은 현대 문학이라는 시대에 따른 문학사 구분은 바로 서양 문학을 받아들여 한국어로 쓰인 문학 양식의 밑바탕을 닦고 발전시켜온 19세기 말에서 현대에 이르는 약 100여 년간 생겨나 존속되어 온 개념이다.

범주

한국 문학은 선사 이후 문자가 생겨난 이래 오늘날까지 창작된 한국의 문학 전체를 말하며, 이를 바탕하여 표현 방식 등을 기준으로 세분한다. 한국 문학은 역사적으로 크게 기록 문학구비 문학으로 나뉘며, 전자의 경우 또다시 국문 문학한문 문학으로 나뉜다. 여기서 국문 문학은 또다시 고전 문학현대 문학으로 나뉘어 한국 문학의 전체적인 틀을 형성한다.

구비 문학

구비 문학(口碑文學)은 말그대로 사람들의 입에서 입으로 전승되어 온 문학의 형태를 말한다. 이런 형태의 문학은 공통적으로 구연, 공동 창작, 보편성, 단순성, 민중성 등의 특징을 지닌다. 문자의 발생 이전부터 전승되어 온 것으로 한국 문학의 모태이며, 지금도 끊임없이 창작되어 전승되고 있다. 대표적인 구비문학의 예로 들 수 있는 것은 신화, 전설, 민담, 수수께끼, 속담 등이다. 구비문학에는 민족의 삶과 정서가 잘 나타나 있다.

국문 문학

국문 문학(國文文學)은 나랏말 즉, 한국어로 쓰인 문학이다. 한글로 쓰인 순수 국문 문학이 있으며 향찰(鄕札)로 표기한 차자(借字)문학이 있다. 이는 훈민정음 창제 이후에 본격적으로 발달했다.

한문 문학

한문 문학(漢文文學) 또는 한문학(漢文學)은 서력 2세기 경 한자가 한국에 전래된 이래 조선 후기까지 한자로 쓰인 문학의 한 형태이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의 한문 문학은 한문을 배울 수 있었던 귀족 계층에서 주로 향유되었다.

국문 문학과 한문 문학

훈민정음 창제 이전의 한국 문학은 주로 한자를 차용하여 표기하였다고는 하나, 글을 쓴 주체가 한국인이라 점, 그리고 한국의 사상, 감정, 정서 등이 녹아 들어 있다는 점에서 한국 문학으로 분류하고 있다. 또한 훈민정음 창제 이후에 나타나는 국한문 혼용체나, 훈민정음 창제 이전에 나타나는 구결이나 이두 등에 비추어 볼 때, '훈민정음 창제 이전 = 한문학', '훈민정음 창제 이후 = 국문학'이라는 공식은 타당치 않다고 평가되기도 한다.

원시 고대 문학

아득한 옛날인 상고 시대의 역사에 대해 자세한 답변을 해줄 수 있는 기록은 없다. 외족의 침략이 빈번하여 한국의 고문헌이나 기록이 모두 없어져 그 구체적인 양상을 파악할 수 없고, 고려 시대에 이루어진 《삼국사기》, 《삼국유사》 그리고 중국의 진수(陳壽)의 찬(撰)인 《삼국지》 등에서 상고 시대의 생활 풍습을 이야기해 줄 뿐이다. 이러한 문헌에 정착된 문학은 원래 있던 대로의 모습은 아닐 것이고, 또 작자를 전하고 있다 할지라도 모두 오랫동안 전승해 오는 동안 점차 형성된 것으로 이른바 민족 전체가 공동으로 제작한 민족 문학이라 할 수 있다. 이 민족 문학은 후세에 분화·전개된 본격적 문학의 형태와 비겨 혼돈 그대로이며 신화·전설의 설화적 요소와 가요적 요소가 확연히 분화되지 않고 서로 혼융(渾融)된 채로 남아 있다.

이런 상황에서도 볼 수 있듯이 상고 시대의 문학에 대해 알 수 있는 기록이나 작품도 극히 드물다. 단지 몇 개의 시가(詩歌)와 신화만이 후대에 알려지고 있는 것이다.

이 시기의 주요 작품으로는 공무도하가, 황조가, 구지가, 정읍사 등이 있다.

고전문학

고전시가

향가

향가(鄕歌, 문화어: 사뇌가)는 향찰로 쓴 노래로서 보통 신라 때부터 고려 초기까지의 것을 말한다. 향가는 4구체, 8구체, 10구체로 나뉘며, 한자로 지은 노래도 있고, 이두로 지어진 노래도 있다. 삼국시대 때는 4구체 향가가 많았으나, 남북국시대 전기와 고려 초기로 가면서 8구체와 10구체 향가들이 다양하게 지어졌다. 향가는 장르가 다양하며, 노동요나 민요로 추측되는 풍요, 귀신이나 액운을 막기 위해 부르기도 하며, 또는 자신의 감정을 털어놓고 싶어하거나, 사랑을 고백하는 노래들도 있다.

대표적인 향가

gg

고려가요

고려시대에서 조선 초에 유행하던 가요다. 고려가요는 고려시대 사람들의 정서와 사상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열쇠이다. 그러나 조선시대에 유교적 이념에 맞지 않는다는 이유로 상당한 기록이 삭제되었다.

대표적인 고려가요

악장

시조

고려 중엽에 발생한 한국 전통 시 양식의 하나이다. 조선 시대에 유행한 시가 양식이다. 시조는 형태적 특성에 따라 몇 갈래로 나뉘는데 이중 평시조는 초장, 중장, 종장으로 구성되는 3장과, 하나의 장에 2개의 구로 구성되는 6구와 한국어의 특징인 끊어 읽기 단위인 12번의 음보로 구성되는 틀을 지닌 정형시이다. 그 밖에는 형식적 특징으로 구별되는 엇시조, 사설시조 등이 있다.

엇시조

사설시조

가사

대표적인 가사

판소리


민요

잡가

고전 소설

한문학

한문 전래기의 한문학

고려 시대의 한문학

조선 전기의 한문학

조선 후기의 한문학

근대 문학

시와 시조

소설

연극

문학비평

현대 문학

전기 현대 문학

현대 문학의 특색

현대 문학의 특수성

한국의 현대문학은 흔히 기형적(畸形的)인 근대의식, 단절된 역사에서 새로운 전통을 창조하는 문학이라 말하고, 오히려 서구의 근대적 문학사조와 동일한 위치에 있는 것처럼 다루어지는 실정에 놓여 있다. 한국의 현대문학은 한국의 정치·경제 및 문화의 근대화 과정이 특이했듯이 서구의 근대적 문학사조와 긴밀한 연관성을 맺으면서 특수한 발전 과정을 걸어온 것만은 사실이다. 19세기 말 한국을 침략한 외국 자본주의와 전근대적 폐쇄사회(閉鎖社會)의 종말과 함께 걷잡을 수 없이 밀려든 서구의 문예사조는 한국 현대문학으로 하여금 기형적인 이식문화(移植文化)로서의 특수성을 띠게 했다. 따라서 한국의 현대문학은 고유의 문화유산인 고전문학에 대해서 직접적인 연관성이나 주체적인 자아(自我)의 발전 계기로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짧은 기간에 걸쳐 무비판적으로 외래 문학의 조급한 흡수와 이식에서 출발했다고 할 수 있다. 이렇게 한국의 현대 문학이 전통문학인 고전문학의 태반(胎盤)에서 발생·성장하지 못하고, 유럽 문학의 수입·이식에서 출발된 까닭에 확고한 주체의식이나 자기능력에 의한 정상적인 동화(同化)와 섭취(攝取)의 경로를 밟을 수 없었다. 그리하여 한국의 현대문학은 한국문학사의 전체적인 흐름으로 볼 때에는 이질적인 외래 문학이요, 그 본원지인 유럽 문학과 비교할 때는 동질적이면서도 동일한 위치에서 취급할 수 없는 특수한 양상을 띠게 되었다. 다시 말해 유럽의 18세기-20세기에 걸친 문예사조가 각기 전세기의 문학을 기반으로 하여 발전·성장했고, 또 필연적인 모색의 이행(移行)과정이었음에 비추어 한국의 경우는 극히 짧은 기간에 19세기와 20세기가 혼류(混流)된 사조를 모방하고 이식하는 데 열중했다. 여기에 반세기를 겨우 넘는 한국 현대문학의 특수성이 논의되며, 또 오늘날까지 새로운 반성의 계기를 마련해 준다. [1]

신문학과 현대문학

한국의 문학사에서 신문학(新文學)과 현대문학(現代文學)과의 관계는 아직도 문학사적인 시대 구분이나, 술어(術語)로서 뚜렷한 개념으로 구별해 쓰고 있지 않는 실정이다. 신문학이란 말은 형식상으로 유럽의 새로운 문학사조가 수입되기 이전의 전통문학인 구문학(舊文學)에 대하여 새로운 문학, 즉 신문학의 뜻으로 막연히 사용되어 갑오경장 이후의 문학에 전반적으로 통용해 쓰고 있다. 그러나 신문학이란 말은 내용상으로 볼 때 신소설(新小說)까지 포함시키는 이도 있으나, 엄격히 말해 신소설이 지닌 형식적 미완성과 사상적 봉건성을 타파하고 근대적 요소 위에 한층 서구적인 성격에 적합하게 꾸며진 문학을 가리킨다. 즉 언문일치, 문학에 대한 유희적 태도의 배격, 권선징악과 비현실적 관념사고의 배제, 근대사상의 반영 등이 그 구체적 개념이 된다. 따라서 신문학기(新文學期)라 하면 1894년 갑오경장부터 3·1운동이 일어나기 전해인 1918년까지를 일컫는 것이 보통이며, 갑오경장 이후 오늘날까지의 한국 문학을 신문학기로 보는 이도 있어 그 구분이 학자에 따라 구구하다. 한편 현대문학이란 말은 신문학이라는 말보다 더 애매모호하게 사용된다. 즉 서구식으로 20세기 문학을 현대문학이란 뜻으로 쓰기에는 새로운 문학이 서구의 르네상스이후의 문학을 전반적으로 혼합·흡수하고 있는 실정에 비추어 볼 때 시대 구분의 개념이 뚜렷하지 않다. 그러나 보통 한국의 문학은 3·1운동 이후의 본격 문학기부터 볼 수밖에 없는데, 즉<창조(創造)>에서 출발하여<개벽(開闢)><백조(白潮)>를 거쳐 1924년<조선문단(朝鮮文壇)>의 발행으로 성립된다고 할 수 있다. 이때 문학은 소설에서는 사실주의를, 시는 상징주의와 낭만주의를 그 주류(主流)로 했다. [2]

근대사조의 영향

19세기 말 급격히 전변(轉變)하는 세계사의 물결은 중국·일본이 세계 열강(列强) 앞에 문호를 개방한 뒤, 1876년 한국도 강제적인 최초의 근대적인 외교로 일본과 조일수호조약을 체결하였다. 계속하여 미국·영국·독일·프랑스 등 구미 제국과도 개국(開國)의 조약이 맺어지니, 이로써 굳게 닫혔던 쇄국의 문은 열리고, 봉건왕조인 한국도 외세 자본주의가 각축(角逐)하는 와중(渦中)에 빠지게 되었다. 이와 함께 한국 신문학을 촉진시키게 된 서구의 근대사조는 앞뒤의 순서도 없이 물밀듯이 밀려들어 의식적·무의식적으로 그 조잡한 흡수를 강요당하게 되었다. 이러한 피동적인 외래 사조의 접촉은 결과적으로 전통문학에 대한 등한시 내지는 극단적으로 낡은 것은 모조리 나쁘고 새로운 것은 무조건 좋다는 파행적인 관념을 조장,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외래 사조를 숭상하는 현대적인 사대사상의 풍조를 잉태하게 했다. 이렇게 착잡한 현실 속에서도 한국의 현대문학과 연관을 맺게 된 것은 기독교·신교육 사조, 그리고 신문·잡지를 통한 저널리즘이었다. 이미 영·정조 시대에 갖은 탄압 속에서도 중국을 통해 전파해 온 천주교는 여러 차례의 순교(殉敎)의 역경을 거쳐, 한불조약(韓佛條約) 후에야 비로소 신앙의 자유를 획득했다. 그 후 기독교는 신교의 전래와 함께 이 땅의 교육기관인 사학(私學)에 대하여 큰 공헌을 했고, 현대문학의 생성과정에도 적잖은 영향을 미쳤다. 즉 성경(聖經)의 번역을 통해 문장에서도 시문체(詩文體)의 활용과 한글의 보급을 촉진시켰고, 찬송가(讚頌歌)는 새로운 노래인 창가발생의 계기를 만들어 주었다. 더욱이 기독교 재단에 의해 1885년 한국 최초의 현대적 사학인 배재학당이 설립되었고, 그 후 이화학당을 비롯해 많은 교육기관이 교회의 힘으로 건립되니, 이러한 현대적 교육기관은 그대로 신문학을 생성시키는 촉진적 역할을 하게 되었다.[3]

근대적 신문과 잡지

한편 현대식 신문과 잡지 및 관보(官報)의 종합적 체제인<한성순보>가 1883년 창간되니, 이는 한국에 있어 근대적 언론의 효시이며, 한때 중단된 후 주간(週刊)으로 속간된<한성주보>는 국한문(國漢文) 혼용체를 최초로 사용한 신문으로, 그 문체는 신문학 발전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그 뒤 1896년에 발간된<독립신문>은 그 문장을 순한글로 썼다는 점에서 의의가 깊고 그 후에 창간된<황성신문><매일신문><대한매일신보><매일신보><국민신보>등 많은 일간신문과<소년(少年)><청춘(靑春)> 등의 잡지는 초기 문학작품의 대변 또는 새로운 문체를 보급시키는 매개 기관이었다는 점에서 신문학과 밀접한 연관을 맺게 되었다. [4]

박제천의 〈월명〉(月明)은 신라의 향가인 〈제망매가〉를 현대적으로 계승한 작품으로, 나뭇잎을 통해 깨달은 인생의 본질을 노래하고 있다. 나무를 떠나야만 하는 수많은 나뭇잎들을 통해 죽음의 세계로 떠나야 하는 인간 존재를 형상화하고 있다. [5]

소설

연극

문학비평

한국 외에서의 한국 문학

한국 문학은 1980년대까지 그 외 나라들에 널리 알려지지 못했으나, 1980년대 이후 다각도의 번역 작업이 이루어지며 번역의 질 또한 향상되었다. Flowers of Fire은 영어로 번역된 최초의 한국 시집이다. 비영어권 국가에서는 아직까지도 한국 문학의 번역 작업이 더디지만, 한국 영화와 드라마의 큰 인기에 힘입어 점차 한국 문학에 대한 관심 또한 높아지고 있다.

읽어 보기

각주

  1.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현대문학의 특수성
  2.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신문학과 현대문학
  3.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근대 사조의 영향
  4.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근대적 신문과 잡지
  5. 강승원 (편집.). 《EBS 수능특강 언어영역》 초판. 한국교육방송공사. 해설7쪽. 

바깥 고리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