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거란 전쟁: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9번째 줄: 19번째 줄:
|사상자2 = 90,000여명 이상 추정(1019년)
|사상자2 = 90,000여명 이상 추정(1019년)
|기타 =
|기타 =
|전역상자= 여요전쟁}}
}}
{{전역상자 여요전쟁}}
'''고려-거란 전쟁'''은 [[993년]], [[1010년]], [[1019년]]에 [[고려]]와 [[거란]]의 [[요나라]] 사이에 벌어진 전쟁이다.
'''고려-거란 전쟁'''은 [[993년]], [[1010년]], [[1019년]]에 [[고려]]와 [[거란]]의 [[요나라]] 사이에 벌어진 전쟁이다.



2015년 9월 15일 (화) 15:55 판

고려-거란 전쟁
날짜993년~1019년
장소
한반도 북부
결과 고려의 형식적 거란 사대와 거란의 강동 6주 포기로 동아시아 세력균형 재정립
교전국

고려

올야
요나라
지휘관
고려 성종
고려 현종
서희
강감찬
강조
양규
김숙흥
요 성종
소손녕
소배압
병력
208,000명 (1019년) 60,000 (993년)
400,000 (1010년)
100,000명 (1019년)
피해 규모
알 수 없음 90,000여명 이상 추정(1019년)
여요전쟁

고려-거란 전쟁993년, 1010년, 1019년고려거란요나라 사이에 벌어진 전쟁이다.

고려 건국 당시, 지금의 몽골과 만주지방에는 거란족과 여진족이 유목생활을 하고 있었다. 이 중 거란족은 야율아보기(耶律阿保機)가 여러 부족을 통일한 뒤, 916년 요나라(遼)를 건국하였다. 922년 야율아보기는 고려에 낙타와 말을 보내기도 하였다. 그러나 926년 거란이 발해를 멸망시키자 고려의 태조는 거란에 대한 적대적 태도를 보이며, 북진 정책을 실행하였다. 942년 요 태종이 낙타 50필을 보내자 고려 태조는 사신은 섬으로 유배보내고 낙타는 만부교(萬夫橋)에서 굶겨 죽여버렸다.

이는 북진정책의 일환으로 취해진 것으로 그 뒤에도 계승되어 고려 정종 때에는 광군(光軍) 30만명을 양성하여 거란의 침입을 대비하기도 하였다. 고려는 송나라가 건국한 이후, 송과 화친정책을 실시하였다. 송은 고려와 협력하여 거란을 공격할 뜻을 비췄고, 발해 유민이 압록강가에 세운 정안국(定安國)도 송과 화친하면서 거란을 협공할 움직임을 보였기 때문에 요는 국제적으로 고립되었다. 이에 요의 성종(聖宗)은 986년 정안국을 멸망시킨 다음 991년 위구(威寇), 진화(振化), 내원(來遠) 등의 압록강 유역에 성을 쌓고 고려 침공을 준비하였다.

전쟁 결과

1019년 전쟁은 끝이 났으며, 이후 양국 사이에 사신이 왕래하면서 국교가 회복되었다. 고려는 요나라의 제안을 받아들여 송나라의 연호를 정지하고 요의 연호를 사용하는 대신, 요나라가 요구한 국왕의 친조와 강동 6주를 반환하지 않게 되었다.

요나라는 고려 침략에 실패하여 요동에서의 지배권이 흔들리기 시작했고, 고려가 있는 한 송나라를 쳐들어갈 수 없게 되었다. 그리하여 고려-송-요 3국의 대등한 세력 균형이 형성되었다. 한편 고려도 서북지역에 커다란 피해를 입었으며, 북진정책을 계속 추진하기도 힘들어졌다. 아울러 고려에서는 요나라와 여진족을 막기 위해 흥화진 북쪽의 압록강 어귀에서부터 동해안의 도련포에 이르는 천리장성과 개경 수비를 위해 나성을 쌓았다.

한편, 민간에서는 요나라가 멸망한 1125년까지 양국 사이에 사행무역(使行貿易)이나 밀무역(密貿易) 등이 성행했으며, 거란의 대장경이 들어와 의천속장경(續藏經) 간행에 영향을 주거나 원효의 《기신론소》(起信論疏)가 거란에 전해져 반포되기도 하였다.

관련 항목

각주